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세무/재무/회계
· ISBN : 9791157412549
· 쪽수 : 600쪽
· 출판일 : 2021-08-10
책 소개
목차
머리글
제1장 자료 소개 및 분석방법
제2장 KDEB와 한반도 통로 이론
제3장 개성자본회계의 역사적 배경
제4장 개성자본회계 첫 번째 과정
제5장 개성자본회계 두 번째 과정
제6장 개성자본회계 세 번째 과정
제7장 개성자본회계 네 번째 과정
제8장 개성자본회계 다섯 번째 과정
마무리글
부록 - 개성자본회계 이두 용어 풀이 사전 외
저자소개
책속에서
제3장 :
DEB 발달의 7가지 전제조건과 고려의 문예부흥을 연결하고 특히 산가지 계산법(算學 Arithmetic Computation)으로 12세기 고려시대와 18-19세기 개성상인 회계장부의 맥을 연결하고 있다. 이 장에서는 11세기부터 고려가 주도한 ‘중세경제혁명(Medieval Economic Revolution)’)’의 키워드 전문(錢文 Copper Currency), 비보(飛報 Tweet), 비전(飛錢 Flying Money), 우편(郵便 Posting), 올벼(早稻 Early Ripening Rice) 그리고 환어음(換於音 Bill of Exchange), 회계 고등고시 등을 개성의 낙타교와 낙타봉요리 소개와 함께 제시하여 매우 흥미롭다.
제4장 :
본 장에서는 KDEB의 ‘받자 권리=주자 책임’ 원리가 회계 1순환에서 어떻게 완전성과 복식성과 미래성을 구비하면서 나타나는가를 제시하고 있다. 본 장에서는 세계 회계역사에서 가장 소중히 여기는 성실 기장과 회계의 존엄성(Accounting Respectability)을 국내 식민지 근대화를 주장하는 학자들에게 일본 근대화의 아버지로 칭송되는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가 그의 서양회계 번역서 『帳合之法』에서 빼먹고 번역한 사실을 흥미롭게 서술하고 있다.
제5장 :
현대인에게 계정이란 아마도 화폐 다음으로 많이 사용하는 개념이다. 구글계정, 삼성계정, 아마존계정 등 온라인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해 인증과 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계정 설정이 필수이다. 이 온라인서비스가 모두 회계학의 ‘거래 기록의 응집시스템(Cohesive System)’으로서 ‘계정(Account) 이론’에서 비롯된다. 이 장에서는 7-8세기 신라 정창원문서에서 21세기 블록체인의 기반인 분산장책까지를 종합하여 회계순환의 두 번째 과정인 장책 작성과정을 비교하여 그 연관성을 이해시킨다. 회계의 제2 순환단계란 회계정보의 통신전달(Post Mailing for Communication)과 데이터 보관(Bookkeeping for Data) 단계를 의미하는데 전달과 보관과정의 총본부 총계정원장(General Ledger)이 중앙집중이 아니라 분산체제로 구성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이 장에서 가장 획기적인 주장은 ‘선생질’, ‘총장질’, ‘계집질’ ‘서방질’ 등 한국인의 일상생활용어와 한옥건축 사개맞춤법과 사개송도치부법, 이탈리아 베니스 비둘기집 이론을 비교하여 유사한 것과 정반대되는 것의 대조분류 정렬(likes and opposites)은 자동으로 장책으로 전기(Posting to the Ledger)되어 장책의 이중 형태(Bilateral Characteristic)가 오늘날 컴퓨터의 자동 정리와 자동 점검이라는 내부통제시스템(Internal Control System)으로 발전하는 사고가 KDEB에서는 매우 오래된 전통이었다는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