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무용
· ISBN : 9791157414376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5-03-27
책 소개
목차
I. 미학·철학과 춤
1. 무용미학의 역사와 개념
- 고전 철학 속 춤의 미학
- 18~19세기 발레와 낭만주의 미학
- 20세기 현대무용과 아방가르드 미학
2. 현대의 무용철학
- 현상학과 무용
- 기호학적 접근
- 정동 이론
3. 동시대 탈경계의 미학
- 신체와 미디어
- 탈경계적 춤
Ⅱ. 비평과 춤
1. 비평, 예술비평, 무용비평
2. 무용비평의 역사
3. 무용비평의 유형과 접근법
- 주요 유형
- 주요 접근법
4. 21세기 무용비평의 미래
- 온라인 플랫폼과 비평
- 인공지능과 자동화된 비평의 등장
Ⅲ. 인류학과 춤
1. 인류학과 무용인류학
2. 서구 무용인류학의 역사와 흐름
- 민족지 속 춤
- 학문으로서의 무용인류학
- 디지털 민족지의 수용
3. 주요 무용인류학자와 연구 사례
4. 무용학 속 무용인류학의 의미
Ⅳ. 문화연구와 춤
1. 문화연구의 역사와 동향
- 문화연구의 개념과 전개
- 문화연구의 주요 이론
- 무용학과 문화연구의 만남
2. 무용문화연구의 흐름과 주요 이론
- 퍼포먼스 이론과 춤
- 몸과 정체성 연구
- 글로벌 문화 속의 춤
3. 21세기 무용 문화의 변화
- 디지털 기술과 춤 문화
- 공간적 다양성과 춤
Ⅴ. 소매틱과 춤
1. 소매틱의 역사와 주요 이론
- 소매틱의 기원과 발전
- 소매틱의 주요 이론과 실천가
2. 몸의 인식과 움직임 탐구
- 감각과 움직임의 상관관계
- 소매틱 기반의 현대무용 훈련
- 신체-정신 연결의 철학적 의미
3. 치유와 춤
- 소매틱과 심리치료
- 장애와 춤
- 노년기와 춤
Ⅵ. 포스트휴머니즘과 춤
1. 포스트휴머니즘의 개념과 무용학적 의미
- 포스트휴머니즘의 정의와 철학적 흐름
- 춤의 포스트휴먼적 논의
2.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의 춤 실천 사례
- 인공지능(AI)과 알고리즘을 활용한 춤
- 로봇과 퍼포먼스
-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아바타, 인터랙티브 퍼포먼스
3. 생태환경과 춤
- Blue Humanities와 춤의 유동
- 에코페미니즘과 춤의 정치
- 비인간 존재와 춤의 재해석
Ⅶ. 영미권 주요 무용학자와 비평가
1. 무용학 형성에 기여한 주요 학자
2. 주요 한국어 무용 이론서 및 번역본 리스트
저자소개
책속에서
무용미학의 역사는 고대의 철학적 성찰에서 시작해 낭만주의의 예술혁명, 그리고 현대의 끝없는 경계 확장에 이르기까지 변화와 다양성의 연속이었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시대에 춤은 윤리와 모방의 관점에서 논의되었고, 낭만주의에 들어서 춤은 감수성과 상상력의 예술로 비상했다. 20세기에 와서는 춤이 자유와 혁신의 매체로 거듭나 전통 미학을 해체하고 재구성하기에 이르렀다. 이 여정 속에서 무용은 단순한 육체 활동을 넘어 ‘인간 경험의 총체’를 담아내는 예술 형식으로 자리매김했으며, 그 미학적 개념 역시 시대적 맥락에 따라 꾸준히 재해석되어 왔다.
무용비평의 역사는 무용 그 자체의 역사 및 매체 환경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전개되었다. 초기에는 무용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비평 장르가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작하여, 발레의 황금기를 거치며 신문과 잡지를 통한 무용비평이 등장했고, 20세기 현대무용의 탄생과 함께 본격적인 전문 비평가의 시대가 열렸다. 이후 포스트모던 시대와 디지털 시대에 이르러 비평의 양상은 다시 한번 변화하고 다원화되었다.
현대무용(Modern dance)의 등장은 무용비평의 지형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20세기 초에 이사도라 덩컨, 마사 그레이엄, 루스 세인트 데니스 등 선구적인 현대무용가들이 기존 발레의 형식을 거부하고 새로운 표현을 추구하자, 이를 이해하고 지지해 줄 전문 비평가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미국에서는 1920년대까지도 신문에서 무용 기사를 다루는 일이 드물었고, 주로 음악이나 연극 담당 기자가 겸사겸사 춤 공연을 리뷰하는 정도였다. 그러다 1927년, 뉴욕 타임스가 최초로 전담 무용비평가로 존 마틴(John Martin)을 고용하면서 무용비평의 전문직 시대가 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