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무용 > 무용이론/비평/역사
· ISBN : 9791157414291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4-12-26
책 소개
목차
Ⅰ. Ballet _ 그 소소한 기억과 역사
나의 발레를 기억하며
발레의 기원과 시대별 구분
무대와 객석을 이어 주는 발레 해설과 비평
Ⅱ. Ballet _ 음악을 보다
“클래식으로 춤을 춥니다”
“음악을 보고, 춤을 들어라”
발란신과 스트라빈스키
발란신의 〈주얼스〉와 아크메이즘, 상트페테르부르크
Ⅲ. Ballet _ 그림으로 밝히다
발레와 미술의 만남, 그 이야기
그림, 발레리나를 조명하다
그림, 무대를 조명하다
Ⅳ. Ballet _ 드라마로 읽다
“이 작품은 무슨 내용인가요?”
19세기 스토리 발레
20세기 드라마 발레
Ⅴ. Ballet _ 스크린에서 만나다
발레리나라는 키워드
심리 영화의 고전 〈The Red Shoes〉
발레 영화와 이데올로기
다시 심리로
Ⅵ. Ballet _ 런웨이를 걷다
발레코어룩의 시대
코코 샤넬의 발레
도시에서 발레 스텝을
발레리나 같은 보석으로
Ⅶ. Ballet _ 한국의 미(美)를 수놓다
K-컬처의 시대
‘우리의 것’을 꿈꾸며
‘우리의 것’을 더 높이, 더 멀리
동시대 한국의 발레
저자소개
책속에서
발레란 무엇일까? 서양 춤의 예술적 근원, 무용문화연구 속 정치적·심리적 기제, 예술춤과 대중춤을 아우르는 동시대 춤 미학의 근원에도 발레의 속성이 뿌리 깊게 있었다. 그래서일까. 때론 발레만 보기에도 부족한 시간이란 생각이 든다. 춤 연구자이자 비평가로서 발레는 사유의 기초이자 활력이었다. 이 책 또한 그러하다.
발레(ballet)라는 용어는 이탈리아어 ‘발라레(ballare)’에서 유래되었다. 이는 오늘날의 특정 예술춤 장르로서의 발레가 아니라 그저 ‘춤을 추다(dance)’라는 동사로 널리 사용되는 용어였다. 춤을 의미하는 이 용어는 15세기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궁정 연회의 춤을 모태로 한다. 당시의 춤은 귀족을 위한 호화로운 축하 사교 행사, 특히 결혼식 축하연에 등장하는 형태로 장관을 연출했으며 춤의 대가로부터 스텝과 예절을 배운 귀족들이 직접 참여하는 화려한 궁정 예술 중 하나였다.
발레의 대중화는 〈해설이 있는 발레〉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고 할 정도로 이 공연에는 중요한 사회적 의미가 부여되었으며, 20여 년이 지난 지금은 국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공연 형식이 되었다. 그 시작은 우리나라 대표 국립단체의 소규모 정례 공연이었지만 이제는 국공립 및 민간 발레 단체까지 많은 발레단이 다양한 작품으로 해설을 곁들인 공연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