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마케팅/브랜드
· ISBN : 9791157747580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4-03-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chapter 1 부의 설계자
돈 버는 일은 재능의 영역이 아니다
불안을 극복하려는 노력
부자가 되기 위한 구상
누구나 변화하는 방법
집에서 1,000만 원을 버는 노하우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시도
부록 1 초보의 수익화 시도 방법
chapter 2 비즈니스의 도구들
우리는 무엇이든 팔 수 있다
나만의 채널 개설
채널을 만들고 키워야 하는 이유 | 온라인 플랫폼으로 돈 버는 방법 | 채널의 주제 선정
사람을 모으는 콘텐츠 제작
타인의 문제를 나의 콘텐츠로 | 콘텐츠 제작의 기초는 글쓰기 | 망한 글도 되살리는 기적의 삼단 논법 | 삼단 논법을 적용한 글쓰기 예시
유용한 트래픽 확보
트래픽이 늘어나면 좋은 이유 | 트래픽 증가로 만족할 것인가, 수익화를 설계할 것인가?
구독자가 없을 때 시도할 수 있는 것
수익화를 시도하기에 가장 적절한 시기 | 누구나 도움이 필요하다 | 구독자도 콘텐츠도 부족하다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이타적인 마인드셋 장착
기브 앤 테이크 | 이타적인 마인드를 장착한 기버가 되자 | 팬슈머를 모아야 성공한다
부록 2 콘텐츠 생산자가 매일 해야 하는 일
chapter 3 온라인 비즈니스 설계
온라인 수익화를 위한 기초 준비
수익화 전략 1단계: 마케팅
마케팅은 알게 만드는 것 | 목적은 오직 트래픽의 확보 | 터지는 콘텐츠로 잠재 고객을 확보하라 | 콘텐츠 큐레이터가 되자
수익화 전략 2단계: 브랜딩
브랜딩은 믿게 만드는 것 | 퍼스널 브랜딩보다 중요한 퀵 브랜딩 | 퀵 브랜딩의 방법 | 브랜딩 효과를 증폭하는 방법 | 브랜딩을 위한 서브 채널 개설
수익화 전략 3단계: 세일즈
세일즈는 사게 만드는 것 | 수익률을 높이는 기간 한정 혜택 | 구매율을 높이는 양자택일 효과 | 비공개 랜딩 페이지 구축
성공적인 수익화를 위한 무료 콘텐츠 기획법
부록 3 온라인 비즈니스 설계자가 되는 단계별 전략
chapter 4 고수익을 위한 설계 업그레이드
플랫폼을 벗어난 안정적인 고수익 설계
유튜브가 망하면 어떻게 될까? | 고수익 설계는 이메일을 바탕으로 | 이메일 주소를 모으는 방법 | 고수익 시스템의 프로세스
나의 브랜드 가치를 올리는 방법
업그레이드의 중요성 | 업그레이드로 새로운 무기를 장착하자
고가 상품의 판매 기획
고가 상품 설계법 | 효율적인 구매 동선의 설계 | 고가 상품을 제안해야 하는 순간 | 세일즈를 위한 루머 생성과 약속 이행
커뮤니티 활성화 전략
커뮤니티를 활성화해야 하는 이유 | 상품 판매 후 해야 하는 일 | 챌린지와 협업으로 완성되는 비즈니스 설계
고객 구매 여정의 설계
부록 4 반감 없이 유료 콘텐츠를 제안하는 방법
에필로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사람마다 능력 차이가 있는 것은 분명하다. 이 책을 읽고 있는 여러분이 나보다 능력이 뛰어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능력이 뛰어나도 아무런 시도를 하지 않는다면 그 능력은 쓸모 있는 것이 아니다. 나는 무언가 시도하고 나서 후회한 적이 없다. 모든 시도가 성공적이었기 때문은 아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시도는 실패했다고 해서 위협적인 결과로 돌아오지 않는다. 그저 조금 실망스럽거나 창피할 뿐이다. 그러니 일단 꾸준히 시도해 보길 바란다. 나는 최고의 블로거도 유튜버도 아니지만 10년 이상 꾸준히 해 보겠다는 생각으로 온라인 비즈니스 업계에 뛰어들었다. 10년이 지난 후 그동안 쌓아 둔 스토리가 얼마나 큰 가치로 돌아올지 기대된다. 여러분도 그랬으면 좋겠다. 적어도 아예 시도조차 안 하는 사람으로 남지 않길 바란다.
내 채널에 방문한 사람들의 문제에 공감하고, 해결책을 찾기 위해 노력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하나의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재료가 준비된다. ‘나는 재능도 없고 평범한데 어떻게 다른 사람의 문제를 해결해 주지?’ 이렇게 의심하기 시작하면 한 발짝도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 해결책은 그렇게 대단하지 않아도 괜찮다. 검색만 하면 금방 찾을 수 있는 정보를 몰라서 고민하는 사람이 은근히 많다. 일단 타인의 문제를 인식하고, 내가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지 연구한 다음, 그 내용을 콘텐츠로 만들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