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리더십 > 리더십
· ISBN : 9791157950126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5-02-25
책 소개
목차
감사의 글
시작의 글 - 이제는 하이브리드형 기업과 하이브리드형 인재가 필요하다
1단계 : 목표 수립 - 글로벌 비즈니스 리더십
1. 기업은 변화의 객체가 아니라 주체이다
2. 세계에서 능력도 인정받고 사랑도 받아야 한다
3. 세계화와 현지화를 동시에 생각하라
2단계 : 환경 분석 - 글로벌 시장 환경 적응
1. 국가별로 차별화된 접근 전략을 실행하라
가. 선진국일수록 빈익빈 부익부가 심하다
나. 신흥국은 바이어기업과 벤더기업에 주목하라
다. 개발도상국에 한국의 발전 모델을 전파해라
2. 글로벌 기업은 다문화를 체질화시켜야 성공한다
가. 다문화 인력을 글로벌 인재로 활용하라
나. 국내 외국인 근로자를 해외 판매 에이전트로 육성하라
다. 현지 채용 외국인 근로자의 문화와 종교를 존중하라
라. 다문화, 다종교, 다인종을 고려하면 시장이 열린다
3단계: 전략 - 비즈니스 기회와 리스크
1. 사회문제 해결에서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라
가. 자선적, 상업적, 전략적 분야별로 분산투자하라
나. 외투 기업으로서 해외시장에 진입하기
다. 잠재시장에서 틈새시장 만들어 내기
2. 사회리스크도 비즈니스리스크다
가. 노동 집약적인 산업에서는 사회리스크를 예방하라
나. 족적이 큰 산업에서도 사회리스크를 예방하라
다. 사회리스크를 리스크 관리에 통합하라
3. 기존의 CSR 전략을 어떻게 새롭게 수정할 것인가?
가. 기업사회공헌 - 자립시켜 자생할 수 있도록 출구 전략을 가져라
나. 기업사회혁신 - 성과목표를 확실히 세우고 타깃을 선정하라
다. 기업사회책임 - 업종별 CSR 특성을 강화해라
4단계: 실행 -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이해관계자 경영
1. 하이브리드형 인재를 양성하라
가. 경제적가치와 사회적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인재
나. ‘사내기업사회혁신가’가 자랄 수 있도록 배려하라
다.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CSR.CSV 전문가를 양성하라
2. 다자간 협력 구조를 구축하라
가. 타 부서와의 협력 - 뭉치면 살고 헤어지면 죽는다
나. 본사와 해외 지사 - 몸은 떨어져 있어도 마음만은 하나여야 한다
다. 다른 기업들과의 공조 - 힘을 합쳐서 파이를 키워라
3. 이해관계자와 함께 발전하라
가. 리더십과 이사회로부터 출발해라
나. 임직원들을 존중하고 소통하라
다. 협력회사와 상생하고 지원해라
라. 고객과 정서적 유대감을 쌓아라
마. 정부 정책에 주의를 기울여라
바. 지역사회를 발전시키는 데 힘써라
사. NPO와 NGO의 전문성을 활용하라
아. 투자자의 새로운 움직임을 주시하라
5단계: 커뮤니케이션 - 진정성 있는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1. 자기 기업만의 기업 브랜드와 기업 철학을 담아라
가. 창업자의 철학과 가치를 알려라
나. 독자적인 브랜드 가치를 높여라
다. 커뮤니케이션에 혼을 담아라
2. 전략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라
가. 형식보다는 본질을 알리는 데 집중해라
나. 전략이 없는 커뮤니케이션은 실패한다
다. 다양하게 업그레이드된 커뮤니케이션을 실행하라
6단계: 성과 평가 - 결과보다 중요한 성과와 영향
1. 시상과 평가가 전부는 아니다
2. 결과보다는 성과와 영향을 목표로 해라
마치는 글: CSR과 CSV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라
저자소개
책속에서
보통 경제활동이 힘들거나 열악해서 기존의 자본주의적 사고방식으로는 도저히 소비자로 생각할 수 없었던 빈곤층과 소외 계층에게, 그들이 인간적인 존엄성과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고안된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어 판매하는 것이다. 자선 활동은 이들을 수동적으로 만들지만, 이러한 BOP 시장 제품과 서비스는 이들을 자립하도록 도와준다는 것이 BOP 시장 제품과 서비스의 철학이다.
예를 들면, 인도의 타타모터스 사는 2008년 단돈 2천 달러의 4인승 초소형차 나노 모델을 출시한 바 있다. 돈 많은 부유층만 차를 가질 수 있다는 선입견을 깨고 빈곤층과 소외 계층의 사회적 존엄성을 높이고 경제적 자유를 누릴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준 것이다.
GE도 일찍부터 태양열 에너지, 사용자가 현장에서 하는 정수 시설, 휴대형 의료 기기 등과 같은 BOP 기반 제품이나 서비스의 상용화에 노력을 쏟고 있다. 또한 많은 기업들은 지역사회의 빈곤층과 소외 계층의 삶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새로운 사회적가치가 있는 소셜 비즈니스(Social Business) 시장에 주목하고 있다.
- 다. 잠재시장에서 틈새시장 만들어 내기 中
나는 2010년 10월 21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아시아CSR포럼에서 ‘CSR과 글로벌 경쟁력’이라는 주제로 발표한 인텔의 기업책임이사인 마이클 제이콥슨(Michael M. Jacobson)과 대화를 할 기회가 있었다. 나는 경제적가치와 사회적가치 간의 공유가치창출을 강조하는 인텔의 경우 각기 다른 부서 간의 협력을 어떻게 장려하는지, 성과 체계는 어떻게 운영하는지를 질문하였다.
마이클 제이콥슨 이사는 지속가능경영 증진 차원에 있어서 회사가 기업 전체의 지속가능경영, 즉 경제적가치도 다하고 사회적가치도 다하는 공유가치창출 목표를 수립하고 성과를 달성하면 모든 부서가 동일한 비율의 인센티브를 추가로 받는 제도를 운영한다고 답변하였다. 그는 무엇보다 기업 내부 비즈니스 부서 그룹 간의 연계를 높이는 것이, CSR에 있어서 비즈니스 케이스를 발견하고 경제적가치와 사회적가치의 공유가치창출을 할 수 있는 지름길이라고 강조하였다. - 가. 타 부서와의 협력 - 뭉치면 살고 헤어지면 죽는다 中
포터 교수가 논문에서 소개한 사례는 네슬레 네스프레소(Nespresso)가 아프리카나 라틴아메리카 시골의 열악한 커피 농가에 선진 농작법 전수, 은행 대출 보증, 모종 작물과 살충제, 비료 확보 등을 지원함으로써 로컬 소싱으로 원재료 조달을 한 CSV 사례이다.
재배지에 직접 품질 검증 시설을 만들고, 커피 원두 품질을 구매 시점에 직접 확인하고, 좋은 원두에는 프리미엄을 지불하여 농부들이 원두 품질을 개선하도록 장려했다. 그 결과 농지당 생산량이 증가하고 커피 원두 품질이 향상되면서 농가 수입도 늘었다. 네슬레가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양질의 원두 양도 증가하여 커피 농가와 네슬레 모두 이득을 보게 되었다.
또한 코트디부아르 코코아 농부에 관한 연구 결과는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서 CSV가 얼마나 효과적인지 알려 준다. 공정거래는 농부 수입을 10∼20% 증가시켜 주지만, CSV 투자는 300% 증가시켰다고 한다. 구매 방식을 바꾸고 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하려면 충분한 자본의 투자와 시간이 필요하지만, 인내심을 가지고 지원을 계속한다면 결국 모든 사람에게 경제적.사회적 이득이 생긴다. - 바. 지역사회를 발전시키는 데 힘써라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