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식품영양학/조리
· ISBN : 9791158402921
· 쪽수 : 1002쪽
· 출판일 : 2018-02-10
목차
제1장. 건강식품 산업 동향
1. 건강기능식품 산업 동향
1-1. 건강기능식품 소비자 동향
1)건강기능식품 섭취 이유 및 향후 구매 요인
2)건강기능식품 주요 소비자 및 구매 시 고려하는 건강문제
3)건강기능식품 소비 제형 및 구매 정보 현황
1-2. 건강기능식품과 신소재식품
1) 유전자재조합식품 등 신소재식품 안전관리 강화
2) 건강기능식품 안전관리
1-3. 건강기능식품 시장
1)건강기능식품 시장현황
2) 건강기능식품의 전망 및 시사점
3)건강기능식품정의
4)건강기능식품 원료
1-4. 건강기능식품 영업허가와 관리
1) 건강기능식품 수입업 판매업 영업신고 및 관리
2)우수건강기능식품제조기준(GMP) 운영 관리 및 활성화
3)건강기능식품 제조업 영업허가 및 관리
4)영업자 및 품질관리인 교육관리
5) 기능성 표시 및 광고 관리
6) 건강기능식품 관련정보 공개
7)건강기능식품 위해사실(부작용 사례 포함)보고
8)건강기능식품 불법 함유성분 안전 관리
9)건강기능식품 품질관리
10)의약품제조시설의 건강기능식품제조시설 이용 및 관리
1-5. 건강기능십품 시장 규모 및 업체 현황
1) 국내 시장 규모
2) 주요 업체 현황
3) 제조 및 수입 기준
1-6. 건강기능식품 유통 및 판매 현황
1) 소매시장 규모
2) 유통 구조
1-7. 건강기능식품 관련 기업
1) 기술개발 시 애로사항
2) 건강기능식품 기어? 생산/판매 및 기술니즈 현황
3)효능별 현황
1-8. 건강기능식품 국내시장
1)국내 산업 현황
1-9. 건강기능식품 국외시장
1) 전체현황
2) 일본
3) 미국
4) 중국
5) 해외시장 트렌드
1-10. 국내 식품산업
1) 업체현황
2) 생산실적 현황
3) 시장규모
4) 업종별 생산실적 현황
5) 지역별 생산실적 현황
6) 업체별 생산 및 매출 현황
7) 경영성과 분석
8) 품목별 생산실적 현황
1-11. 세계 식품산업
1) 농촌 물가
2) 농림어업 취업자
3) 세계시장 동향
4) BREXIT가 농업과 농정에 미칠 영향
5) 브렉시트와 농업부문
1-12. 건강기능식품 소비특성
1) 소비자 특성
2) 소비시장 특성
1-13. 건강기능식품 해외시장
1) 국가별 동향
2) 해외 시장 규모
3) 글로벌 트렌드
제2장. 식품안전 정책
1. 식품안전관리 정책
1-1. 식품관련업체 관리
1) 식품제조가공업체 등 안전관리
2) 식품접객업체 등 안전관리
3) 14년 식품안전관리 기본방향
4) 식품안전관리 체계
5) 부정 불량식품 등 특별 관리
6) 부정 불량식품 민원업무 처리
7) 유통식품 등 안전관리
8) 농가유형별 소득구조 변화와 정책적 시사점
9)주류 제조업체 등 안전관리
10) 영양성분 표시관리 및 교육 흥보
11)기타사항
1-2 먹을거리의 안전관리 강화
1) 식품안전정보원 설립 운영
2) 소비자 정확한 정보 제공을 위한 식품표시체계 개선
3) 식품안전관리 인증(HACCP)활성화
1-3. 식품안전관리 정책 추진
1) 유통 식품등 안전관리 활동
2) 수입식품 안전관리체계 구축
3) 주류 안전관리 강화
1-4. 식품 및 의약품 안전관리체계 구축
1) 식품 제조 조리 가공 중 생성되는 유해물질에 대한 저감화
2) 위해우려물질에 대한 선행조사
2. 식품위생 기준
2-1. 식품의 제조와 유통기반 안전
2) 식품위탁 제조 가공업체 관리
3) 식품등의 영업허가 등 관리
4) 식품등의 자가품질검사 관리
5) 특수용도식품 표시 및 광고 관리
6) 의약품제조시설의 식품제조 가공시설 이용기준
7) 해썹(HACCP) 제도 운영
8) 식품이력추적관리제도 운영
9)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 관련 업무
10) 식품위생검사기관 관리
11) 식품등 선행조사
12)`14년도 [제13회 식품안전의 날] 기념행사 추진
13) 식품분야 통계관리
2-2. 식품기준 및 규격 관리
1) 기준 규격 제 개정 절차 및 주요 내용
2) 식품안전관리 역량 강화
3) 기대효과 및 향후 계획
2-3. 식품첨가물 기준
1) 주요 추진 실적
2) 식품첨가물의 기준 규격 제 개정 절차
3) 향후 계획
2-4. 식품안전정보원 운영
1) 식품안전정보원 설립
2) 식품안전정보원 운영(사업)현황
2-5. 주류의 안전관리
1) 그간의 추진내역
2) 주류안전관리 강화의 필요성
3) 향후 추진계획
2-6. 안전관리 활동
1) 민 관 합동 감시 체계 구축
2) 허위 과대광고 모니터링
3) 위해식품 회수체계 및 소비자 정보 공개
4) 전국합동 단속
5) 수거 검사 실적
2-7. 용기 포장 기준 규격 관리
1) 주요 추진 실적
2) 향후 계획
2-8. 식품위생의 진화
1) 식품이력추적 관리시스템 흥보 교육 운영
2) 식품안전정보수집 분석 제공
3) 협력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제3장. 식품관리 동향
1. 식품위생 관리 동향
1-1. 식중독 예방관리
1) 식중독 발생 조사결과 보고
2) 식중독 원인조사
3) 식중독 예방관리 체계
4) 노로바이러스 감시체계 사업
5) 클로스트리듐 보툴리눔 검사 강화
6) 식중독균 추적관리 사업
7) 식중독 발생 우려 집단급식시설 집중관리
8) 지하수 살균소독장치 사후관리
9) 식중독 예방 교육 및 흥보
10) 음식문화개선사업 관리
1-2 식품표시제도의 개선
1) 주요 개선내용
2)개선 필요성
3)식품 등의 표시기준
4)향후 계획
1-3. 식품안전관리체계
1) 식품안전관리체계 강화
2. 수출입 식품 관리
2-1 . 수입식품 관리체계 동향
1) 주요 업무 성과
2) 주요 업무 계획
3) 수입식품 동향
4) 수입식품 검사
2-2. 식품 사후관리 동향
1) 수입 축산물의 사후관리
2) 수입 수산물의 사후관리
3) 부적합 수입식품에 대한 신속 대응
4) 수입 건강기능식품의 사후관리
5) 수입 식품 등의 사후관리
6) 수입 식품등 신고 대행자 관리
7) 수입자 등 성실신고 평가 및 교육 홍보 강화
8) 식품 등에 대한 검사명령제 운영
9) 수입식품 현황(사진) 데이터베이스(D/B)구축
10) 수십식품 검사업무 담당공무원 전문성 향상
11) 보세창고 수입식품 위생관리
2-3. 사전 안전관리 동향
1) 수입 축산물 사전 안전관리
2) 수입 수산물 사전 안전관리
3) 수입 식품 등 사전 안전관리
2-4. 수입 축수산물 안전성 확보
1) 수입수산물 사전안전성 확보
2) 수입축산물 사전안전성 확보
2-5. 수출입 식품 현황 및 문제점
1)쌀, 김치, 삼계"탕 대중국 수출 검역협상 타결과 과제
2) 한미 FTA 발효 4년, 농축산물 교역 변화와 과제
3) 농 수산식품의 안전관리 체계
4) 주요 업무 성과
5) 주요 업무 계획
6) 농축산물 수출입
2-6. 식품 검사 동향
1) 수입 축산물의 검사
2) 수입 수산물의 검사
3) 수입식품 신속통관
4) 수입 식품 등의 검사
5) 수입 건강기능식품의 검사
2-7. 유전자변향식품 등 신소재식품 안전관리
1) 제조 유통단계 유전자변형식품 등 안전관리
2) 유전자변형 생물체(LMO)안전관리
3) 수입단계 유전자변형식품 등 안전관리
4) 한시적 인정 식품원료 안전관리
2-8. 축산물 안전관리인증기준(HACCP)적용
1) 축산물 안전관리인증기준 적용확대 추진
2) 축산물 안전관리인증기준 성과평가
3) 외국의 사례
3. 어린이 식품안전
3-1. 위기관리 능력향상
3-2. 어린이 식생활 안전
1) 어린이 기호식품 전담 관리원 지정 및 운영
2) 우수판매업소 지정
3)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지정
4) 어린이 기호식품 지도 점검
5) 어린이 급식 관리지원센터 관리
6) 시 군 구 식생활 안전 영양수준 조사
7) 고열량 저영양 식품 등 관리
8)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교육 및 흥보
10) 식품 접객업소의 영양성분 표시 관리
3-3. 어린이 식품과 국민영양관리
1) 어린이 먹을거리 안전관리 강화
2) 국민영양 관리
3-4 소비자 권익 증진
3-5. 어린이 식중독 예방관리 강화
제4장. 관련 뉴스
제5장. 관련업체
제6장. 관련법률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시행령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식품산업진흥법
식품산업진흥법 시행령
식품안전기본법
식품안전기본법 시행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