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58522971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0-11-30
책 소개
목차
서문 놀이문화기호의 스토리 변천
제1장 화투는 어떻게 놀이가 되었을까?
1.1. 놀이란 무엇인가
1.2. 화투놀이를 학문적으로 접근한 이유
1.3. 화투놀이를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1.4. 도안물 분석을 위한 예비적 고찰
제2장 여러 국가에서 나타나는 화투의 모습
2.1. 카르타에 녹아든 한반도의 수투
2.2. 카르타에 소통의 거점을 둔 중국의 마조
2.3. 다문화가 공존하는 유럽의 카르타
2.3.1. 카르타의 인도기원설 차투랑가
2.3.2. 카르타의 동방기원설 타로
2.4. 하나후다의 원류에 녹아든 한반도의 수투
2.4.1. 수투의 확대형 투전
2.5. 다양성의 합체 일본의 하나후다
2.6. 화투의 스토리텔링
제3장 놀이에 나타나는 문화기호의 해석 차이
3.1. 카르타 도안은 다문화 소통의 장
3.1.1. 타로 도안의 재매개
3.1.2. 차투랑가 도안의 재매개
3.1.3. 마조, 골패 도안의 재매개?
3.1.4. 수투 도안의 재매개
3.2. 생존을 위한 하나후다 도안의 ‘전통문화기호’
3.2.1. 수투, 카르타 도안의 재매개, 덴쇼가루타
3.2.2. 수투, 타로 도안의 재매개, 운슨가루타
3.2.3. 덴쇼, 운슨, 마조, 골패, 수투 도안의 재매개, 메쿠리후다
3.2.4. ‘가루타’를 ‘후다’로 명칭에 대변신을 시도
3.2.5. 도안 변화에 대변신을 시도한 하나가루타의 ‘전통문화기호’
3.2.6. 상술로 날개를 단 교토의 지방 후다 ‘하나후다’
3.2.7. 골패세법으로 쇠퇴의 길을 걷기 시작하는 하나후다
3.3. 화투 도안물은 ‘놀이문화기호’
3.3.1. 도안물의 문화 성향
3.3.2. 골패와 수투의 기반으로 형성된 화투의 수용성
3.3.3. 화투 도안의 상징물, ‘놀이문화기호’ 성립
제4장 화투의 ‘놀이문화기호’ 메커니즘
4.1. 재매개 과정을 거쳐 놀이기능이 극대화 된 화투
4.1.1. 화투에 스며든 골패의 셈 기능
4.1.2. 화투에 스며든 수투, 투전의 셈 기능
4.1.3. ‘전통문화기호’가 ‘놀이문화기호’로 대변신
4.1.4. 화투에 스며든 카르타의 셈 기능
4.1.5. 토착화 과정에서 생성된 ‘고스톱’
4.2. 풍자로 빚어진 고스톱의 ‘놀이문화기호’
4.2.1. 고스톱의 ‘놀이문화기호’가 갖는 소통 경로
4.2.2. 사회 비판을 풍자로 빚어낸 고스톱
4.2.3. 고스톱의 문화기호가 사회에 미친 영향
4.2.4. 고스톱의 존재론적 기능 문제
제5장 화투의 기호학적 분석
5.1. 기호학적 접근방식에 의한 분석 틀
5.1.1. 도안물 분석을 위한 선행 연구 검토
5.1.2. 분석 기준과 분석 대상
5.2. ‘놀이기호’의 체계
5.2.1. 문화성향에 따른 도안물의 기호작용
5.2.2. 놀이에 나타나는 문화기호의 해석 차이
5.3. 화투 기호물군의 구조 분석
5.3.1. 하나후다와 화투의 도안물 텍스트
5.3.2. 전통문화기호와 놀이문화기호
부록 타령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