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한국소설 > 2000년대 이후 한국소설
· ISBN : 9791158606381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1-06-20
목차
제1부
제2부
제3부
해설
신앙의 실천을 향한 여로_송명희(문학평론가, 부경대 명예교수)
작가의 말
저자소개
책속에서
형기도 일 년에 한두 번씩 서울에 사는 병규 아저씨가 올 때나 아버지가 함께 있을 때 생일선물로 사다 주는 과자를 먹어볼 수 있을 뿐이었다. 형기는 형진에게 과자가 어디서 났느냐고 물어보지 않았다. 따져 물어보다가 과자를 얻어먹지 못하면 자기만 손해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아이들에겐 용돈이 없어서 가게에서 파는 과자를 보며 침만 삼킬 때가 많았다.
돈이 귀하기는 어른들도 마찬가지였다. 생필품을 사기 위해서는 추수를 끝낸 뒤 마을의 ‘쌀장사’를 불러다 찧은 쌀을 팔아 돈을 마련했다. 그러다 돈이 모자라면 할머니는 할아버지 몰래 한 말씩, 두 말씩 쌀을 팔아 필요한데 썼다. 할아버지는 언제나 할머니에게 가용을 넉넉히 주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때 형기와 설자는 둘 다 국민학교 3학년이었다. 형기는 얼굴도 모르는 할머니의 부모님을 기쁘게 해드리는 것보다는 객지에 계시는 어머니가 더 보고 싶었다. 또 한 가지 소원은 설자와 친하게 지내는 것이었다. 한밤중 제사를 끝마치고는 설자네 식구와 함께 교자상에 둘러앉아 밤참을 먹었다. 설자는 아버지도 어머니도 닮지 않고 부처님 식구처럼 얼굴이 하얗고 말씨는 그윽한 노랫소리 같았다. 달처럼 둥근 얼굴에 쌍까풀이 선명하고 형기 앞에서는 언제나 미소 짓는 모습이 사랑스러웠다. 형기는 할머니와 함께 제사를 지내러 갈 때가 가장 즐거웠다.
백형기의 머릿속에는 지금도 출근한 아버지를 두고 가족들만 피난하던 일들이 동영상처럼 선명하다. 약간의 생필품과 노약자들을 태운 소달구지를 앞세운 피란행렬은 줄을 이었다. 콩을 튀기는 것 같은 총소리와 이따금 지축을 울리는 포격 소리가 십 리 밖에서 뒤쫓아와도 아이들은 어른들처럼 두려워할 줄 몰랐다. 한길 옆 논들에는 아직도 모내기를 못 한 사람들이 못자리에서 뽑은 모를 다뤄놓은 논바닥에 이리저리 마구 흩뿌리는 모습도 보였다. 석 달 뒤 피란에서 돌아왔을 때는 뿌려놓은 모들이 심은 것 못지않게 잘 자라 어느 정도 수확을 할 수 있었다.
「요한의 아들 시몬아, 네가 이 사람들보다 나를 더 사랑하느냐」(요한복음21:15)
그 말씀은 그의 가슴에 강한 충격으로 다가왔다. 주님을 세 번이나 부인한 베드로보다 더 어지러웠던 지난날 삶의 흔적이 부끄러웠다. 한때 처음 사랑과 신실한 믿음으로 주님의 교회에 봉사하던 자리를 떠나 세상으로 흘러갔다. 직장인으로 일할 때는 술을 마시며 자유로운 생활에 만족하고 있었다. 그에게 믿음은 빛바랜 이름표에 불과했다. 그러나 주님은 변함없는 사랑으로 더 힘 있게 그를 감싸고 있었다.
백 목사는 보이지 않는 성도들에게 ‘기다림’에 대한 편지를 썼다. 첫 번째 편지에는 아직 아무런 답이 없었지만 주님의 크신 사랑을 담아 두 번째 편지를 발송했다. 그리고 혼자서 용마산 마루에 올랐다. 바다 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은 싸늘하고 사람들의 왕래가 없는 교회주변 마을은 아직도 조용하다.
병상에서 어른거리던 ‘마지막 일기장’의 잔상은 퇴원할 때 환자복과 함께 미련 없이 벗어버리고 왔는데 그 그림자는 새해 아침 신문에서 다시금 모습을 드러냈다. 시상식 자리에 참석해서 언젠가 소설을 써보고 싶다던 정아의 모습을 먼발치에서라도 한번 보고 싶다. ‘부르심’의 소리가 들리지 않을 만큼 정아를 사랑하던 마음으로 ‘여자의 마음을 헤아릴 줄 모르는 사람’을 변명이라도 하고 싶다.
일기장을 불태웠으나 사랑은 태울 수 없었다. 태울 수 없는 사랑도 사노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