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산업공학
· ISBN : 9791158622770
· 쪽수 : 624쪽
· 출판일 : 2025-10-17
책 소개
목차
제1장 新정부 출범, 에너지 주요정책 동향과 전망
1. 新에너지 전략과 주요 정책 동향
1) 新 정부의 재생에너지 주요 정책 동향 및 전망
(1) 新 정부의 재생에너지 주요 정책 동향
(2) 新 정부의 재생에너지 주요 정책 전망
(3) 기후·에너지 관련 정부조직 개편의 쟁점과 과제
가. 기후에너지부 신설 논의
나. 정부조직 개편 논의 및 해외 사례
A) 기존 정부조직의 한계와 개편의 필요성
B) 정부조직 개편 법률안 현황
C) 해외 사례 : 영국, 독일
다. 기후·에너지 정부조직 개편 관련 쟁점
A) 가능한 조직 개편 형태
B)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관련 사무의 범위
C) 기후·에너지, 규제·진흥, 주도권·종속 문제
D) 외청, 소속기관, 산하 공공기관 이관 문제
라. 기후·에너지 거버넌스 개편 방향과 과제
A) 기후·에너지 정책의 통합을 위한 조직 설계
B) 기후 대응과 산업경쟁력 유지·강화 사이의 균형
C) 부처 내 갈등 등 행정 비효율 해소 방안 필요
2) 환경과 산업을 함께 살리는 新에너지전략
(1) 개요
(2) 국제 에너지 산업 환경 변화
가. 친환경 에너지전환 정책 : ‘방향은 유지’ + ‘속도는 조절’
나. 기후·에너지 통상규범 강화
다.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및 기술 경쟁 심화
라. 천연가스 시장 :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전환
(3) 국내 에너지 산업의 문제점
가. 전기요금을 둘러싼 구조적 딜레마
나. 재생에너지 자생력 부족
다. 전력망 인프라의 병목과 계통연계 한계
라. 천연가스 시장의 규제 장벽과 경직성
2. 대내외적 에너지 환경변화와 전력시장의 현황 및 운영시스템
1) 국내 전력시장의 현황 및 운영시스템 개요
(1) 전력산업 구조와 운영시스템 개요
가. 전력산업 및 시장 구조
나. 전력시장 운영시스템
(2) 발전원별 및 사업자별 전력시장 동향
가. 발전원별 전력시장 변화
나. 사업자별 전력시장 변화
(3) 향후 전력 도매시장 개편 계획
가. 전력 도매시장의 신규 시장개설
나. 전력 운영시스템의 변화 계획
2) 대내외적 에너지 환경변화와 전력시장 운영의 문제점
(1) 대내외적 에너지 환경변화 대응 이슈
가. 대내외적 에너지 환경변화
나. 에너지 환경변화 대응: 유럽의 전력시장 개혁 사례
(2) 국내 전력시장 운영의 문제점과 해결 방향
가. 국내 전력시장 운영의 문제점
나. 전력시장 운영의 문제해결 방향
(3) 최근 전력시장의 변화 대응 문제
가. 최근 전력시장의 변화
나. 전력시장의 변화 대응 방식과 한계
3. 국내외 열에너지 관련 정책 및 시장 분석
1) 국내외 열에너지 정책·제도 분석
(1) 국외 열에너지 정책·제도 분석
가. 지열 공급 비중 확대 정책
나. 히트펌프 보급 정책
(2) 국내 열에너지 정책·제도 분석
가. 국가 법정 기본계획
나. 친환경에너지 의무화 및 인증제도
A) 신·재생에너지 설치 의무화 제도
B)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RPS)
C) 열에너지공급의무화 제도(미도입)
D) 제로에너지건축물인증제도
E) 에너지 효율등급 인증제도
F) 녹색건축인증제도
G)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제도
2) 국내외 지열 이용 현황 및 사례
(1) 국내외 지열 이용 현황
가. 국외 지열 이용 현황
A) 세계 에너지 소비
B) 세계 에너지 생산
C) 세계 히트펌프 사용 현황
나. 국내 지열 이용 현황
A) 국내 에너지 소비
B) 국내 에너지 생산
C) 국내 히트펌프 사용 현황
(2) 국내외 지열 설치 사례
가. 해외 지열 설치 사례
A) 비주거 건물
B) 주거 건물
C) 지역난방에 지열 적용
나. 국내 지열냉난방 설치 사례
A) 비주거 건물
B) 주거 건물
다. 국내 지열에너지 R&D 현황
3) 히트펌프 기술과 동향
(1) 히트펌프 기술
가. 작동 원리
나. 성능
(2) 세계 히트펌프 동향
가. 경제권역별 동향
나. 히트펌프 방식별 동향
4) 국내, 수열에너지 보급 본격 확대
제2장 글로벌 태양광 산업 및 태양전지 최신연구 동향
1. 태양광 산업 동향과 공급망 분석
1) 세계 태양광 산업 주요 동향과 시사점
(1) 태양광 보급 확대 추세 지속
(2) 태양광 주류 기술의 전환 본격화
(3) 태양광 부품 가격 동향
(4) 태양광 주요 제품가격 동향
가. 폴리실리콘
나. 웨이퍼
다. 태양전지 및 모듈
(5) 태양광 공급 동향
가. 폴리실리콘
나. 웨이퍼
다. 태양전지
라. 모듈
마. 인버터
(6) 태양광 기업 실적 동향
2) 국내 태양광산업 동향
(1) 국내 태양광 시장 동향
(2) 수출 동향
가. 폴리실리콘
나. 태양전지 및 모듈
(3) 수입 동향
가. 웨이퍼
나. 태양전지 및 모듈
3) 중국의 글로벌 태양광 공급망 장악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과 중국의 전략
(1) 중국의 세계 태양광 공급망 장악
(2) 미국의 대응
가. 중국산 제품에 대한 수입규제 조치
A) 반덤핑·상계관세
B) 세이프가드
C) 세이프가드 연장 및 우회수출 조사
나. 자체 공급망 강화 정책
A) IRA
(3) 유럽의 대응
가. 중국산 제품에 대한 수입규제 조치
A) 반덤핑·상계관세
B) 반덤핑·상계관세 대상 범위 확대
C) 수입규제 종료
나. 자체 공급망 강화 정책
(4) 중국의 태양광 산업 전략
가. 정부 정책
나. 중국기업의 내부경쟁 전략
다. 중국기업의 해외규제 대응 전략
4) 태양광 산업 정책 동향과 시사점
(1) 글로벌 산업 정책 동향
(2) 정책적 시사점
5) 태양광 설비 소재 및 부품의 공급망 취약성 분석 연구
(1) 연구 배경
(2) 분석 방법 및 결과
가. TSI 분석 결과
나. HHI 분석 결과
다. SCD 분석 결과
(3) 공급망 취약성 평가 결과
(4) 결론
2. 태양 전지/모듈 기술현황 및 연구동향
1) 고-개방전압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기술 동향
(1) 서론
(2) 개방회로전압(Voc)의 이론적 배경
(3) 유-무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Voc 향상 전략
(4) 전-무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Voc 향상 전략
(5) 탠덤형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6) 결론
2) 차세대 태양전지 자기조립 단층 기술 및 연구
(1) 서론
(2) SAM 물질의 원리 및 구조
(3) 소자 적용 사례
가. 유기 태양전지(Organic Photovoltaic, OPV)
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Perovskite Solar Cell, PSC)
다. 탠덤 태양전지(Tandem Solar Cell)
라. 기타 광전소자로의 응용
(4) 향후 전망 및 해결 과제
(5) 결론
3) 주석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안정성 향상 연구
(1) 서론
(2) Sn 페로브스카이트 소재의 불안정성 원인 및 영향
(3) 첨가제 및 용매 공학을 통한 안정성 향상 전략
(4) 전하 수송층 및 계면 안정화를 통한 안정성 전략
가. HTL 안정성 강화 및 계면 엔지니어링
나. ETL 및 전극 계면 안정성 향상 전략
(5) 결론
4) 태양전지 모듈 기술 주요동향
(1) 대면적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모듈 기술 현황
가. 서론
나. 대면적 모듈을 위한 용액 인쇄 공정 연구 동향
다. 페로브스카이트 대면적 박막화 상변환 공정 연구 동향
라. 대면적 페로브스카이트 모듈 구조화 및 보호층 연구 동향
마. 최신 페로브스카이트 모듈 성능 동향 및 전망
바. 결론
(2) 고효율 태양광 모듈 및 장치 해외 기업 동향
(3) 고효율 태양광 모듈 및 장치 국내 기업 동향
가. 신성이엔지
나. 에스디엔(SDN)
다. HD현대에너지솔루션
라. 코리아솔라
마. Trina Solar
바. 한화솔루션-큐셀부문
사. OCi
아. 에스에너지
자. LS산전
차. 솔란드
카. 디엠테크
타. 다쓰테크
파. 헥스파워 시스템
하. 윌링스
(4) 국내 태양광 모듈 및 장치 연구 개발 기관과 선행 연구 사례
가. 국내 연구개발 기관
나. 선행연구 사례
(5) 태양광 모듈 및 장치 특허 분석 결과
제3장 고효율 태양전지 및 BIPV 연구개발 동향과 산업분석
1. 차세대 고효율 태양전지 연구 개발동향
1) 유기 태양전지
(1) 기술의 정의 및 범위
가. 유기 태양전지(OSCs) 기술의 정의
나. 유기 태양전지 특징 및 응용 분야별 기술 수준
다. 유기 태양전지 기술의 범위
(2) 기술 동향
가. 해외 기술동향
A) 중국
B) 미국
C) 독일
나. 국내 기술동향
A)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B) 한국과학기술원(KAIST)
C) 울산과학기술원(UNIST)
D) 한국화학연구원(KRICT)
E) 한국재료연구원(KIMS)
F) 경상국립대학교
G) 건국대학교
(3) 특허 동향
가. 전 세계 연도별 출원 현황
나. 주요 시장국의 연도별 출원 점유율 현황
다. 주요 시장국별 내・외국인 출원 비중
라. 주요 출원인 국적 현황
마. 주요 출원인 특허 현황
(4) 논문 동향
가. 논문 등재 추이
나. 최근 3년 6대 기술 분류별 논문 등재 현황
다. 최근 3년 등재 논문 국가별 6대 기술 분류 현황
(5) 산업 동향
(6) 사업화 동향
가. Heliatek(독일)
나. Ubiquitous Energy(미국)
다. Epishine(스웨덴)
라. Ricoh(일본)
마. ARMOR(프랑스)
바. 국내
2) 탠덤 태양전지
(1) 기술의 정의 및 범위
(2) 기술 동향
가. 개요
나. 하부셀(실리콘 태양전지)
다. 상부셀(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라. 탠덤화 및 모듈화
(3) 연구 동향(논문 서지분석)
가. 논문 수
나. 토픽모델링
(4) 유무기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적용을 위한 탠덤형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최적화 기술
가. 연구 배경
나. 실험
다. 결과 및 토의
A) 터널 접합 층(Tunnel junction layer)
B) 고품위 진성 실리콘층(Intrinsic silicon layer)
C) 유・무기 하이브리드 3중 접합 태양 전지
라. 결론
(5) 산업 동향
가. 글로벌 시장 동향
나. 주요국 상용화 동향
A) 중국
B) EU・영국
C) 미국
D) 일본
E) 한국
(6) R&D 투자동향
가. 미국
나. EU
다. 중국
라. 일본
마. 국내 정부 R&D 투자동향
2. 건물형태양광(BIPV) 기술·산업 동향
1) BIPV 개요
(1) BIPV 정의
(2) BIPV 특징
(3) BIPV 종류
2) 배경 및 필요성
(1) 제로에너지건축물 의무화 추진
(2) 탄소중립 실현
(3) RE100 달성
(4) 도시 미관 개선 및 도시 열섬 현상 완화
3) 시장 분석
(1) 시장 역학(Market dynamic) 분석
가. 촉진 요인
나. 저해 요인
다. 기회 요인
라. 도전 과제
(2) 시장 규모 및 전망 분석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
(3) 기업 및 제품 동향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4) 곡면 지붕면을 활용한 박막 태양광발전 실증연구 동향
(1) 배경 및 동기
(2) 기술적 배경
가. CIGS 태양광모듈
나. CIGS 태양광모듈 설계
다. CIGS 태양광모듈 KS 인증
(3) 실증 설계
가. 실증 목적
나. 재료
다. 실증 절차
(4) 성능 측정 결과
(5) 결론
5) 국가별 산업지원 정책
(1) 국내
(2) 중국
(3) 유럽
(4) 일본
(5) 미국
6)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특허동향 분석
(1) 연도별국가별 출원 동향
(2) 기술수명주기 분석
(3) 기술순환주기(TCT) 분석
(4) 특허 영향력 분석
(5) 주요 출원인 동향 분석
(6) 주요 특허 분석
제4장 태양광 운영시스템과 영농형 태양광 현황분석
1. 분산전원 연계 태양광 운영 시스템 주요동향
1) 태양광 및 풍력의 전력시스템 통합 수준 제고 방안
(1) 태양광 및 풍력의 전력시스템 통합 이슈
(2) VRE 통합 초기단계에서 유용한 조치
(3) VRE 고비율 국가에서 유용한 조치
2) 분산전원 연계 태양광 운영 시스템 주요동향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 개발 필요성
(2) 기술개발 동향
가. 분산형 전원 디지털 플랫폼 주요 구성 기술개발 현황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A) 해외 기업
B) 국내 기업
C) 국내 연구개발 기관
D) 선행연구 사례
(3)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국가별 출원 동향
나. 기술수명주기 분석
다. 기술순환주기(TCT) 분석
라. 기술영향력(CPP) 및 시장지배력(PFS) 분석
마. 주요 출원인 동향 분석
바. 주요 특허 분석
2. 주요국 영농형 태양광 현황과 제도 개선 방향
1) 영농형 태양광 정의 및 분류
2) 세계 영농형 태양광 보급 전망 및 잠재량
(1) 보급 현황
(2) 보급 전망
(3) 보급 잠재량
3) 영농형 태양광의 장단점 및 보급장애 요인
(1) 영농형 태양광의 장단점
(2) 영농형 태양광 보급의 주요 장애요인
4) 국가별 영농형 태양광 현황과 관련 제도
(1) 한국
가. 영농형 태양광 현황
나. 영농형 태양광 정책
(2) 중국
가. 영농형 태양광 현황
나. 영농형 태양광 정책
(3) 일본
가. 영농형 태양광 현황
나. 영농형 태양광 정책
(4) 독일
가. 영농형 태양광 현황
나. 영농형 태양광 정책
(5) 프랑스
가. 영농형 태양광 현황
나. 영농형 태양광 정책
5) 기존 영농형 태양광 프로젝트 사례와 시사점
6) 국내 영농형 태양광 보급을 위한 시사점
(1) 최근 우리나라 영농형 태양광 정책 동향
(2) 시사점
제5장 글로벌 풍력발전 현황분석 -해상풍력/LCOE/환경영향-
1. 국가 에너지 안보를 위한 풍력 설비 부품 공급망 분석
1) 풍력 설비의 공급망 분석 대상
(1) 풍력 설비 소재・부품 분류 사례 연구
(2) 풍력 설비 부품 공급망 분석 대상 선별
2) 풍력 설비의 공급망 취약성 분석
(1) 공급망 취약성 분석 방법
(2) TSI 분석 결과
(3) HHI와 SWI 분석 결과
(4) SCD 분석 결과
3) 분석 결론
2. 주요국 해상풍력 보급동향 및 지원현황
1) 해상풍력
2) 부유식 해상풍력 현황과 전망
(1) 에너지 전환과 부유식 해상풍력
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해상풍력 중요성 확대
(2) 부유식 해상풍력 시장
가. 부유식 해상풍력의 잠재량 약 13TW로 추정
(3) 부유식 해상풍력 개발을 위한 고려 사항
가. 항구의 수용능력
나. 운영 및 유지보수
다. 표준화
라. 에너지 저장
(4) 부유식 해상풍력과 수소 생산 결합
가. 수소 생산을 위한 해상풍력의 활용
나. 부지 고려사항
(5) 부유식 해상풍력의 지속 가능성
(6) 시사점
3) 해상풍력 활성화를 위한 주요국의 지원과 시장현황
(1) 미국
가. 미국 해상풍력 시장의 현황
나. 해상풍력의 가치
다. 시장 전망 : 최근 비용 문제 및 향후 나아갈 방향
라. 해상풍력의 상업적 도약 경로
마. 도전과제 및 해법
(2) 일본
가. 일본의 해상풍력 보급 동향과 계획
A) 해상풍력 보급계획 : `30년 5.7GW, `40년 30~45GW
나. 해상풍력 경매와 FiP 도입
A) 2020년 정부 주도의 해상풍력 경매 도입
B) 재생에너지 주력 전원화에 대비한 FiP 도입
다. 1차 해상풍력 경매 결과 ‘미쓰비시’
라. 해상풍력 경매 평가 기준의 변경
마. 2차 해상풍력 경매 결과 ‘무보조금 해상풍력 프로젝트’
바. 시사점
(3) 덴마크
가. 해상풍력 현황
나. 재생에너지로의 전환 성공 요인
다. 정책 및 산업 육성 방향
라. 향후 과제 및 시사점
(4) 영국
(5) 독일
(6) 한국
가. 국내 해상풍력 발전 현황
나. 국내 해상풍력특별법 제정
3. 풍력발전 기술개발 동향
1) 고효율 소형 풍력발전 시스템 개발동향
(1) 정의
(2) 분류
(3) 주요 기술개발 동향
가. 해외 기업
나. 국내 기업
(4) 특허 분석
2) 고정식 해상풍력 지지구조 최적화 설계기술 개발
(1) 연구 개발 배경
(2) 연구 과제와 세부 내용
3) 해상풍력 강지지구조물의 극한한계상태 설계 연구
(1) 서론
(2) 강지지구조물 ULS 설계 절차
(3) 단일 부재력에 대한 검토
(4) 조합력에 대한 검토
가. 정수압이 없는 경우
나. 정수압이 있는 경우
(5) 요약
4. 해외 재생에너지 발전단가 현황 및 풍력 발전설비 비용 조사
1) 해외 재생에너지 발전단가(LCOE) 현황 및 전망
2) 풍력 발전 설비비용 조사
(1) 육상풍력 발전 설비비용 조사
가. 조사 항목 및 방법
나. 조사 결과
(2) 해상풍력 발전 설비비용 조사
가. 조사항목 및 방법
나. 조사 결과
5. 재생에너지 지역계획 관련 국내외 사례 분석
1) 재생에너지 지역계획 관련 국외 사례
(1) 스코틀랜드 풍력발전 환경영향평가 절차 및 사례
(2) 스코틀랜드 풍력발전 환경영향평가의 누적경관영향평가 절차와 사례
가. 스코틀랜드 육상풍력발전 환경영향평가 누적경관영향평가 가이드라인
나. 육상풍력발전단지 누적경관영향평가 사례
2) 국내 재생에너지 개발의 환경영향 사례
(1) 육상풍력발전 환경영향
가. 육상풍력발전 환경영향 사례
A) 육상풍력발전 자연환경영향 사례
B) 육상풍력발전 경관영향 사례
나. 육상풍력발전 환경영향평가 문제점
A) 환경훼손 규모 대비 환경영향평가 대상 사업 기준 미흡
B) 육상풍력발전 경관영향평가 문제점
(2) 육상태양광발전 환경영향
가. 육상태양광발전 환경영향 사례
나. 육상풍력발전 환경영향평가 문제점
제6장 미래 전력산업 이슈와 HVDC/전력망 기술동향
1. 전력 산업 인프라와 비즈니스 기회
1) 밸류체인으로 본 전 세계 전력 산업 이슈
(1) 발전
(2) 송배전
가. 송배전망 부족
A) 인프라 확충 속도를 늦추는 송배전망 투자 부족 이슈
B) 전력망 효율성을 낮추는 송배전망 유연성 부족 이슈
나. 송배전망 노후화
(3) 변전
가. 수급불균형으로 인한 대형 변압기(LPT) 리드타임 증가
나. 배전 변압기 공급 부족으로 리드타임과 가격 모두 상승
(4) 소비
2) 직류 송배전·변압기·그리드 현대화 및 디지털화
(1) 직류 전기 시대 대비
가. HVDC 시장
나. DC 배전 시장
(2) 주요국의 변압기 시장 호황
가. 중대형 변압기 수출 : 2024년 전년대비 38.5% 성장
나. 배전 변압기 수출 : 2024년 전년대비 58.3% 성장
(3) 그리드 현대화 및 디지털화
가. 전선(케이블)
나. 스마트그리드
2. 직류송전(HVDC) 기술의 혁신적 발전 현황
1) HVDC 기술의 역사와 발전 배경
(1) 직류 발전의 역사적 기원
(2) 교류 전기와의 기술적 대립
2) HVDC 기술 동향 및 연구 현황
(1) 신재생에너지와의 통합
(2) 국산 HVDC 개발 현황
(3) 한국, 200MW급 전압형 HVDC 준공식 의미
(4) 500킬로볼트(㎸)급 전압형 HVDC 변환용 변압기 기술개발 사업
가. 효성중공업
나. LS일렉트릭
다. HD현대일렉트릭
3) HVDC 프로젝트 사례
(1) 해상풍력 연계 프로젝트
(2) 해외 HVDC 성공 사례
4) HVDC 기술의 경제성 분석
(1) 비용편익 분석 방법 : 효과적인 의사결정의 기초
(2) HVDC 시스템의 경제적 장점
5) HVDC 변환설비의 내진설계 요구사항에 대한 연구
(1) 연구 배경
(2) 변환설비 특성 및 주요 관련 설계기준 현황
(3) 변환설비 내진설계 요구사항(안)
가. 지진하중
나. 적용 범위 및 하중조합
다. 구조해석
라. 허용기준
마. 정착부 설계
(4) IEEE에 따른 변환설비 별 내진설계 방법
가. Annex C
나. Annex D
다. Annex E
라. Annex G
마. Annex K
바. Annex L
사. Table V.2
(5) 결론
6) MMC 기반 VSC-HVDC 사고의 한류기 연구동향
(1) 서론
(2) PSCAD 모델링
(3) MMC 시스템의 PTP 사고
(4) 저항형 초전도 한류기
(5) 시뮬레이션
가. 암 인덕터
나. 저항형 초전도 한류기
(6) 결론
3.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과 국내 전력망 인프라 확충방안
1)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 본격 착수
(1) 추진 배경
(2) 차세대 전력망 구축 방향
(3) 차세대 전력망 사업 계획
(4) 차세대 전력망 추진단 운용
2) 전력망 안정성 강화 위한 에너지저장장치(ESS) 구축
(1) 에너지저장장치(ESS) 540MW 구축
(2) 563MW 에너지저장장치(ESS) 구축사업
3) 국내 전력망 인프라 확충의 현실과 해결방안
(1) 국내 전력 인프라 구축 계획과 현실
가. 장기 송변전설비 계획
나.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안
다. 송배전망 건설 관련 주민수용성 문제
라. 한전의 부채 문제
(2) 해외 전력 인프라의 갈등관리 관련 주요 사례
(3) 송배전망 건설 관련 비용 분담의 문제
(4) 미래사회에 대한 시사점
제7장 탄소중립을 위한 소형모듈원전(SMR) 개발동향
1.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 동향
1) SMR의 기본 개념
2) 소형모듈원자로(SMR) 국내외 개발 동향
(1) 개발 노형 기술 현황
(2) 상용화 진행상황 평가
(3) 주요 SMR 노형
가. NuScale - VOYGR
나. GE Hitachi - BWRX-300
다. NUWARD
라. Rolls Royce SMR
마. TerraPower - Natrium
바. X-energy – Xe-100
(4) 국내 SMR 개발 현황
가. 경수형 SMR
A) 사업 추진 경위
B) 기술개발 계획
C) 설계 특성
D) 산업생태계 변화
E) 혁신형 SMR 활용 사례
나. 비경수형 SMR
3) 국가별 SMR 연구 R&D 현황
(1) 한국
(2) 미국
(3) 캐나다
(4) 중국
2. SMR 방사선비상계획 관련 국내외 안전규제 개발현황
1) 한국
2) IAEA
3) 미국
4) 캐나다
3. 국내의 원전수출을 위한 과제와 전략
1) 국내 원전기술 자립과 해외 원전수출을 위한 과제
(1) 우리나라의 원전기술 자립
(2) 원전수출 관련 규정
가. 국제원자력기구(IAEA) 안전조치 협정
나. EU 원자력 안전 법제
다. 미국의 원자력 수출통제 관련 규정
(3) 신속한 원전수출 확대를 위한 전략적 접근 필요성
2) SMR 원전시장의 미래와 선점 전략
(1) SMR 개발과 새로운 원전시장
(2) SMR 단계별 법, 제도적 지원
가. 연구 및 개발 단계의 지원
나. 건설 단계의 지원
다. 운영 단계의 지원
(3) SMR의 기술적 특성을 고려한 별도의 안전규제 도입
가. 인허가제도의 개선
나. 사전인허가제도의 도입
다. 통합인허가제도의 도입
라. 주민의견수렴절차의 정비
마. 기타
4. 세계 원자력에너지 시장 분석과 전망
1) 세계 원자력에너지 현황
(1) 원자력의 역할
가. 전력 공급원
나. 기타 역할
(2) 최근 원자력 시장 동향
가. 중국·러시아 : 원자력 기술 선도
나. 원전 건설 기간 장기화
다. 원전 투자 증가세
(3) 원전에 대한 관심 증가
가. 정책적 지원 강화
나. 원자력 기술 개발 가속화
다. 데이터 센터 : 새로운 원자력 수요처
2) 세계 원자력에너지 전망
(1) 원자력에 대한 투자
(2) SMR 전망
제8장 청정수소 생산 기술과 글로벌 지원 제도 현황
1. 수소 제조방식 현황과 수소경제 활성화 경쟁구도
1) 수소의 중요성
2) 수소의 종류와 제조방식
(1) 그린수소
(2) 블루수소
(3) 핑크수소
3) 청정전력과 수소 생산
(1) 태양, 바람, 원자력
(2) CCUS와 탄소 활용
4) 국제 그린 수소 동향
(1) 글로벌 저탄소 경제에서 그린 수소
가. 국제 무역에 있어 그린 수소의 중요성
나. 그린 수소의 생산 비용
다. 그린 수소의 잠재량
(2) 미래의 수소 무역 전망
가. 그린 수소의 운송
나. 그린 수소 및 수소화물(hydrogen derivatives) 무역
다. 그린수소 공급의 핵심기술(전해조)
(3) 무역과 관련된 수소 밸류체인 정책
가. 수소 정책 현황
나. 그린 수소 무역과 관련된 관세 및 세금
다. 그린 수소 활성화를 위한 보조금
라. 지속 가능한 정부 조달
마. 개발도상국의 그린 수소 현황
(4) 한국의 그린 수소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
가. 활성화 방안
나. 수력에너지로 생산한 그린수소 공급
A) 성남정수장 그린수소 생산시설
5) 수소경제 선점을 향한 경쟁
(1) 국내 수소경제 활성화 방향
(2) 해외 사례 연구
가. 미국
나. 유럽연합(EU)
다. 중동
라. 기타
2. 수소 저장 기술 주요동향
1) 수소 저장 기술 산업
2) 정책 및 규제 현황
3) 시장 동향
(1) 시장 규모 및 전망
(2) 경쟁 현황
3. 청정수소 인증제도/입찰시장/거래소를 통한 청정수소 도입 안전성 확보
1) 주요국 청정수소 인증제 수립 동향
(1) 청정수소 인증제 전개방향
(2) 청정수소 인증제 구성요소
(3) 국내 청정수소 인증제
가. 인증 기준 및 방향
나. 인증 절차
다. 추적 관리
(4) 청정수소 생산을 위한 추가요건
(5) 시사점
2)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 설계 방향과 청정수소 도입의 안정성 확보
(1)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
가.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 추진 경과
나.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 설계 방향
(2) 청정수소 도입의 안정성 확보
가. LNG 도입 사례 검토
나. 입찰시장에서의 청정수소 도입 안정성 확보
3) 국제 수소거래소 설립 동향
(1) 청정수소·암모니아 국제교역 현황 및 국내도입 전망
(2) 국내외 수소 국제거래소 설립 추진 현황
가. 독일의 수소 국제거래소 설립 추진 현황
나. 네덜란드의 수소 국제거래소 설립 추진 현황
다. 중국의 수소 국제거래소 설립 추진 현황
라. 국내 국제 수소거래소 준비 현황
(3) 시사점
도표/그림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