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육아/교육 에세이
· ISBN : 9791158771034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19-06-20
책 소개
목차
1. 마흔하나, 아빠가 되다
노총각 탈출기 | 임신하면 출산은 당연한 줄 알았다 | 이름 짓기, 아버지와 내가 통하던 순간 | 아기 엄마는 한 명이 아니었다
2. 초보 아빠 빵점 육아
뭘 알아야 아빠 하지 | 아들을 외면하며 집을 나섰다 | 우리 아들의 토끼인형 애인 | 초콜릿으로 달래다가 초콜릿이 안 통하면? | 잠 안 자는 아이, 알고 보니 아빠 탓 | 배불러요, 아파요 | 가족 여행 그리고 나만의 여행 | 세 살 때 받은 상처, 여든까지 간다
3. 아들에게 배우며 느낀다
외동아이로 크는 아들에게 | 아빠가 된 사람만이 느끼는 힘 | 사랑스러운 손주, 자랑스러운 손주 | 아들에게 감동받기까지 | 우리 아들도 남들보다 잘하는 것이 있다
4. 아빠공부를 시작하다
초보아빠여 육아는 노력이다 | 우리 가족 영어 공부 도전기 | 공부도 잘하고 놀기도 잘했으면 | 부부싸움을 부르는 유아 학습지 | 엄마 아빠를 닮았어도 선택은 자녀에게 | 키즈카페에는 정말 아빠들이 있는 걸까? | 체벌할 것인가, 대화할 것인가 | 다른 집 아빠들이 안 하는 것
5. 내 소중한 아들에게
너를 사랑하는 분들을 기억하며 | 아들과 아빠를 이어주는 스킨십 | 4번 타자가 아니더라도 너의 선택을 존중한다 | 배려와 긍정으로 세상을 만나라 | 소중한 추억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새벽 1시를 조금 넘은 시각. 거실 여기저기를 뛰어다닌다. 잠 잘 생각을 안 한다.
“엄마, 안아 주세요.”
자려고 누운 엄마는 벌떡 일어나 안아줄 힘이 없다. 아빠도 피곤해서 자려고 했으나, 말소리에 깼다.
“지금이 몇 시야? 빨리 자.”
엄마도 지쳤는지 큰소리를 쳤다. 아빠도 도저히 잠을 이룰 수 없어 우는 진서에게 화를 내고 말았다. 아이들을 위한 수면제를 알아보자고 했다. 아내는 정색을 했다. 결국 아이 달래기는 엄마 몫이었다.
어제까진 ‘좀 늦게 자는 편이다.’라고만 생각했는데, 곰곰이 생각해보니 이대로 가다가는 나쁜 습관에 길들여지고 성질 나쁜 아이가 될 것 같아 걱정됐다. 아침 8시에 등원하면 친구들은 뛰어놀고 있는데 진서는 비몽사몽이다. 등원 후 30분에서 1시간 정도 더 잔다. 낮잠까지 잘 잔다. 하원 후에는 체력이 충만해 있다. 일찍 자기 위해서는 놀이터에서 에너지를 발산해야 한다. 엄마는 어느 정도 놀게 해준다. 엄마가 데리고 오는 날에는 그나마 좀 일찍 잔다. 그래봐야 밤 12시다.
아빠는 쉬고 싶은 마음에 스마트기기로 유인했다. 미끄럼틀 두어 번 태워주고 억지로 차에 태워 집으로 데려왔다. 피곤하다는 이유로 아이의 욕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한다. 아빠 혼자 돌보는 날에는 태블릿 PC를 틀어주고 쉰다. 우선은 놀이터보다 뽀로로가 최고다. 잠시나마 세상 편하다.
“이제 자자.” 하며 보고 있는 태블릿 PC를 끄면 나가자고 보챈다.
아빠가 하원시키는 날 밤에 더 잠을 안 자려고 하는 이유이다. 낮에 에너지를 발산하지 못했기 때문에 쉬 잠들지 못한다. 밤늦게 자고 어린이집 등원 후에도 또 자는 악순환이 되풀이된다. 아빠 잘못이다. 날씨가 따듯해지고 있다. 시간 될 때마다 아이를 데리고 산책도 하고 놀이터에서 장시간 놀 수 있게 해줘야겠다. 아빠가 화내서 미안하다.
“막내 미술학원 졸업 사진 찍으러 가야 돼요. 양복 벗지 말고 사진관에 갑시다.”
“안 가. 아빠까지 갈 필요가 뭐 있어?”
“아빠 없는 애처럼 왜 안 가요?”
어머니의 목소리 톤이 높아졌다. 지금껏 볼 수 없던 모습이었다. 나는 벌벌 떨며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결국 아버지가 졌다. 아버지는 진 것이 분했는지 사진관을 가는 내내 한마디도 안 했다. 사진관에 도착하자 사장님이 던진 첫마디가 여전히 귀에 쟁쟁하다.
“두 분 싸우고 오셨어요?”
그 말에 아무도 대꾸하지 않았다.
“웃는 표정 좀 지어주세요”
두 분 모두 억지로라도 웃는 표정을 짓지 않았다. 무뚝뚝함 그 자체였다. 이때 찍은 사진은 가로 27cm, 세로 20cm로 인화되어 앨범 속에 소장되어 있다. 졸업 앨범에도 작게 실렸다. 아버지와 어머니, 내가 함께 찍은 유일한 사진으로 남아 있다.
그 시절 나의 아버지도 어린 아들을 데리고 다니는 것이 어색했을까? 지금의 나를 보면, 그랬을지도 모르겠다. 결혼식 때 가족의 추억이 담겨 있는 사진을 하객들에게 소개했다. 나는 이 사진을 실었다.
신랑 부모 석에 앉아 영상을 보던 어머니는 “아, 저 사진!” 하며 아버지를 보았다. 아버지는 멋쩍은 웃음만 보였다.
진서 또래 아이를 키우고 있는 아빠들에게 키즈카페에 가본 적이 있냐고 물었다. 거의 모두가 가봤다고 했다.
‘그래, 나도 가보자.’
나는 용기를 냈다. 무엇보다도 좁은 교실에서 책상에 앉아 공부하는 진서의 모습이 안쓰러웠다. 진서에게 먼저 가자는 말을 꺼냈다. 진서는 ‘아빠 최고’를 연발하며 겅중겅중 뛰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