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학교/학습법
· ISBN : 9791193865170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5-05-15
책 소개
목차
시작하며중학생 학부모가 되기 전 마인드셋
1부. 왜 중학생 때 국어 공부를 해야 하나?
1. 의대 문앞에서 최상위권 학생 발목을 잡은 그 과목
2. 대입에서 수학 다음으로 중요해진 국어
• 개편되는 2028학년도 수능과 문해력의 중요성
3. 국어 공부, 중학교 때 본격적으로 해야 하는 이유
• 중3까지 독해력을 갖춘 친구 vs. 갖추지 못한 친구
• 코로나 시대 초등학생의 문해력 양극화 현상
4. 칼이 예리해야 요리가 쉽다
• 한국 대입이 목표라면 영어 유치원은 비추천
|김 선생 한마디_영어 유치원 보냈다가 되레 후회합니다
5. 중학교에서 내내 전교 1등인 아이, 국어 학원 보내야 할까?
• 어휘 공부를 따로 해야 할까? 한다면 언제부터?
• 좀 더 빠른 어휘력 상승을 위해 추천하는 방법
|김 선생 한마디_어휘를 빠르게 외우려면 이 방법이 최고입니다
• 시간이 없다면 신문과 소설 읽기는 비추천
• 신문을 꼭 읽히고 싶다면 이렇게
2부. 선생이 직접 밝히는 수능 국어의 허와 실
1. 다독이 무조건 유리한가? NO!
2. 어려운 비문학 문제 상대하는 법
• 문제부터 먼저 보고 푼다? 절대 안 되는 이유
• 핵심은 모두 1문단과 3문단 사이에
• 밑줄을 긋는 기준을 제대로 세워라
• 똑같은 말을 다르게 표현한 부분들을 찾기
• 과학·기술·공학·의학·경제학 지문은 반드시 메모하라
• 모르는 어휘는 앞뒤 문맥을 따져 뜻을 추론할 것
3. 비문학 배경지식은 어떻게 쌓을까?
• 법학 분야 지문 대비하기
• 경제학 분야 지문 대비하기
• 철학·인문 분야 지문 대비하기
• 과학·공학 분야 지문 대비하기
|김 선생 한마디_초고난도 비문학 지문, 이해하려고 하지 말고 그냥 “그런가 보다.” 하고 넘어가야 합니다
4. 국어 모의고사 대비법
• 국어 모의고사를 푸는 정석적 방법
• 문학, 고1이 되기 전에 개념어를 꽉 잡기
• 문법, 고1이 되기 전에 2회독은 마칠 것
|김 선생 한마디_시험을 치른 뒤에는 스스로 취약점을 분석하는 습관을 들여야
3부. 읽기와 쓰기, 이대로 코칭하면 효과 만점
1. 사실 당신의 아이는 책을 싫어하지 않았는지도 모른다
•국어 실력의 비결이 로맨스 소설?
•잘 읽기와 잘 쓰기가 가져온 수많은 기회
•더럽히며 읽은 글은 내 것이 된다
2. 특목고, 자사고 진학을 계획한다면 더 중요한 ‘독서 목록’
• 바뀐 입시 제도에 관한 단상
|김 선생 한마디_과학고, 영재학교에 보내기 전 고민해 보세요
• 전국 단위 자사고는 어떤 학생을 뽑는가?
• 특목고 진학을 위한 자기소개서 쓰기
|김 선생 한마디_아이가 자사고와 특목고에서 적응을 잘할 아이인가요?
• 인성과 관련된 경험이나 활동 실적 준비하기
• 학년별로 추천하는 특목고 진학 대비 활동표
3. 독서 목록 구성 비기
• 질적으로 뛰어난 독서 목록 구성 비법
• 독서록은 반드시 복사해서 보관하라
|김 선생 한마디_학원에서 들은 독서 특강 하나로 눈속임은 어려워요!
4. 인생을 윤택하게 해 줄 글쓰기 틀
• 가뿐히 중박은 치는 독서록(독후감)의 구조
• 가뿐히 중박은 치는 논술문의 글쓰기 구조
• 개요 쓰기의 중요성
• 많이 쓰기 vs. 같은 글을 여러 번 고쳐 쓰기
4부 국어 학원, 언제 어떤 학원에 보내야 하나?
1. 한자 공부를 안 했다면 바로 지금부터라도, 제발!
2. 국어 학원을 보내면 효과를 보는 최적기
• 왜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일까?
|김 선생 한마디_대치동 학생들은 스마트폰 관리를 이렇게 합니다
• 한국사 지식이 부족하면 문학도 못한다
• 독서 논술은 중학교 1학년 1학기 때까지만
• 고등학교 수준 수능 국어는 중2 여름방학부터
|김 선생 한마디_지금 당장 내신 성적을 올리려면?
• 문법 공부도 중2부터
|김 선생 한마디_아이를 학원에 보낼 때 가져야 할 마음
|김 선생 한마디_김 선생 PICK 인터넷 강의
• 대치동 학생은 국어를 중3부터 시작한다고?
• 국어 학원을 두 개 보내면 어떨까?
• 국어 선행, 결국 이 정도는 해야 한다
3. 바로 이런 국어 학원이 좋은 학원
•좋은 국어 학원을 판단하는 기준
•어떤 선생님이 실력 있을까?
4. 이런 국어 학원에는 되도록 보내지 말 것
|김 선생 한마디_국어 전문 ‘대형’ 학원을 가도 되는 아이와 가면 안 되는 아이
5부. 국어 문제집과 인터넷 강의는 이렇게 고르자
1. 남들이 좋다는 문제집 무조건 따라 사지 마라!
• 아이의 객관적인 국어 실력을 파악하는 방법
|김 선생 한마디_나름대로 국어 선행을 했다는 아이들이 맞는 뒤통수
•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영역별로 추천하는 문제집 모음
|김 선생 한마디_아이에게서 답지를 빼앗지 마세요
• 모의고사 기출 문제집을 일일 교재로 활용하는 방법
• 오답 정리로 문제집 씹어 먹기
2. 품질은 보장된 인터넷 강의, 고를 때 제일 중요한 것
• 모두의 1타가 내 인생의 1타는 아닐 수도
• 강의를 골랐다면 이렇게 듣자
6부. 궁극적인 목표 : 스스로 공부하는 아이로 기르세요
1. 자기 주도 학습의 맹점
• 공부는 재능에 달렸나? 노력에 달렸나?
|김 선생 한마디_근본적으론 간절함과 결핍이 삶의 원동력이었음을
• 죽기 살기로 공부하려 해도 계획은 필요하다
2. 학생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공부 계획 Q & A
• 양으로 세워야 하나요, 시간으로 세워야 하나요?
• 적절한 계획의 양은?
• 전 과목 골고루? 한 과목만 집중해서?
• 인터넷 강의 들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 휴식은 어떻게?
• 순수 공부 시간, 어떻게 설계하나요?
• 스케줄러는 어떻게 써야 하나요?
3. 유형별로 알맞은 시험 공부 방법들
• 어떤 식으로 공부해야 ‘수능’에서 고득점을 할 수 있을까?
• 객관식 5지 선다형 필승 공부법
• 중학생 내신 시험을 물샐틈없이 준비하는 비법
마치며누가 뭐라 해도 시험은 ‘기세’
_마지막 핵심 요약
_효과 만점, 김 선생의 국어 공부법 활용 후기
_부록
•모의고사 분석 시트
•학습 계획표 양식 1, 2
저자소개
책속에서

톡 까놓고 말하자면 정규 교육과정 보다 훨씬 앞질러 선행학습을 무리하게 시키는 학원과 선생이 ‘잘 팔린다.’ 웬만한 학군지에는 초등학생인데도 미적분을 시키고, 초3이면 토플을 ‘마스터’하게 해준다는 학원이 넘실댄다. 광고 문구만 봐도 불안이 피어오를 지경이다. 그런 상황이라 그런지 내 글에 달린 댓글 중에는 “이제야 말이 되는 선행 루트를 찾았다.”라며 감사하다는 이야기가 제일 많았다.
수학이나 영어가 많이 바뀐 건 없고 국어도 문법을 필수로 배워야 한다는 것 말고는 그다지 크게 달라진 건 없다. 엄청난 지각변동은 탐구과목에 있다. 이제는 이과형 학생이라도 통합사회를 배워야 하고, 문과형 학생이라도 통합과학을 배워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교육 전문가들 사이에서 떠오른 키워드는 ‘문해력’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