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성경의 이해
· ISBN : 9791158862114
· 쪽수 : 731쪽
· 출판일 : 2022-10-31
목차
서론 6
01. 창세기 12
02. 출애굽기 31
03. 레위기 44
04. 민수기 68
05. 신명기 82
06. 여호수아 108
07. 사사기 129
08. 룻기 147
09. 사무엘서 157
10. 열왕기서 188
11. 역대기서 230
12. 에스라 254
13. 느헤미야 274
14. 에스더 283
15. 욥기 292
16. 지혜 문학 309
17. 시편 313
18. 잠언 344
19. 전도서 361
20. 아가 375
21. 예언서(후기 예언서) 383
22. 이사야 412
23. 예레미야 456
24. 예레미야애가 481
25. 에스겔 486
26. 다니엘 512
27. 12 소예언서 533
28. 호세아 536
29. 요엘 552
30. 아모스 559
31. 오바댜 575
32. 요나 580
33. 미가 587
34. 나훔 594
35. 하박국 599
36. 스바냐 604
37. 학개 611
38. 스가랴 618
39. 말라기 628
부록 643
책속에서
서론
구약 성서는 인류 역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책 가운데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
유대인들이나 기독교인들에 의해서 거룩한 경전으로 받아들여진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으며, 또한 다른 고전 문학들이 받아들여지지 않는 방법으로 권위 있는 것으로서 여겨지고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1권의 책이지만 동시에 여러 권의 책이기도 하다. 이 여러 권의 책의 모음집을 정경이라고 부른다. 정경이라는 단어는 그리스어 “카논”에서 유래된 이 말은 측정 도구로서의 자(尺)를 가리키는 말, 즉 기준이 됨을 가리키는 말이다.
.......(중략)
히브리 성서가 역대기를 마지막에 배치한 이유는 희망 때문이다. 포로에서 귀환한 이스라엘 백성들이 무너졌던 예루살렘 성전을 다시 건축하여 봉헌식을 하는 장면으로 끝난다. 포로로 끌려갈 때는 좌절이었고 하나님으로부터 버림받았다는 절
망감에서 무너진 성전을 다시 건축함으로써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회복시켜 주신다는 희망을 가질 수 있게 된 것이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유대인들의 성서는 역대기로 끝맺음을 하면서 동시에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희망을 주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