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91158903626
· 쪽수 : 1136쪽
· 출판일 : 2020-06-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서론. 동서 ‘융회’와 현대 ‘신철학’
1장. ‘주권재민’과 사회주의: 진독수(陳獨秀)
1. 구국과 ‘주권재민’(1897~1919)
2. 공자 비판과 대아적 덕성주의
3. 근대과학과 ‘에너지의 명령’
4. 생명감정과 현실 참여
5. 동류의식과 사회주의
6. 연대적 윤리와 역사관
7. 중국대혁명과 전략
8. 취소주의와 후기 민주주의론
2장. 자아의 발현과 무한생성의 실천론: 모택동(毛澤東)
1. 사상의 전변과 ‘체용’의 윤리
2. 파울젠과 우주적 대아론
3. 양창제와 발현의 철학
4. 마음의 힘과 민중
5. 생성과 ‘중첩적’ 모순
6. ‘실사구시’와 실천적 인식론
7. ‘민중연합’과 ‘사회혁명’
8. ‘일조진리’와 문화대혁명의 코뮌
3장. ‘융회’의 철학과 ‘공령’의 미학: 종백화(宗白華)
1. 문제의식과 사상적 구도
2. 공령과 충실의 미학
3. 분투와 융회
4. 생명과 ‘거리 두기’
5. ‘율력의 철학’과 ‘상’과 ‘수’
6. 동양예술의 공간성과 ‘평면화’ 및 ‘추’의 방법
7. 철학과 음악
4장. ‘자기학’으로서의 ‘생명철학’과 동서문화론: 양수명(梁漱溟)
1. ‘생명’과 생활문화로서의 ‘자기학’
2. 사회주의와 향촌자치론
3. 오이켄의 ‘정신생활’과 양수명의 ‘직각적 이성’
4. ‘문화방향론’과 유식학의 ‘감각론’
5. 현대과학과 철학의 변화 및 생철학
6. ‘자각적 능동성’과 ‘자동성’
7. 동서학술의 분화와 ‘회통’
8. 러셀의 권고와 ‘중국의 길’
5장. ‘체용불이’와 ‘흡벽’ 생성론: 웅십력(熊十力)
1. 신해혁명과 ‘혁심’의 형이상학
2. 절충적 ‘회통’과 ‘무’의 효용성
3. 『신유식론』의 ‘흡벽론’과 신인성론
4. 생성론의 두 가지 의미
5. ‘경학’의 근본정신과 정치·역사관
6. 철학과 과학의 ‘상관’
7. 비판과 의의
6장. 동서 ‘융회’와 형식주의 신이학: 풍우란(馮友蘭)
1. 사상의 확대와 구조
2. 동서비교와 ‘인생철학’
3. ‘새로운 언어분석’
4. 신이학과 논리적 형식주의
5. 이기론과 ‘유형론’
6. 예술과 경계론
7. 역사관과 신이학에 대한 비판들
8. 철학사와 형이상학적 보수주의
7장. ‘도’의 형이상학과 ‘이사겸중’의 지식론: 김악림(金岳霖)
1. 철학의 조건과 ‘자기인식’
2. 정치사상과 ‘자아실현’의 형이상학
3. 중국철학의 ‘대전변’과 실천적 회통성
4. ‘능’과 ‘식’의 형이상학
5. 목적론적 과정으로서의 ‘도’
6. ‘이사겸중’의 지식론
7. 경험적 소여와 개념적 ‘도안’
8. 『러셀철학』과 사건론
8장. 변증법의 ‘합리적 내핵’과 심미적 ‘신철학’: 장세영(張世英)
1. 자유의 길과 ‘귀향의 길’
2. 헤겔철학의 ‘합리적 핵심’과 유물변증법
3. ‘자유의 주체성’과 ‘소통성’
4. ‘무근거성’과 ‘경계론’
5. 심미적 ‘신철학’과 자유의 미학
6. 희망과 무한
결론. 상실과 전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