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91158904500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2-01-28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서론 이데올로기 장치로서의 플롯
제1부 젠더화된 플롯의 재생산과 전환
제1장 가부장적 서사 장치의 강화 : <김현감호>
1. 여기 두 이야기가 있다
2. 두 서사의 경합과 일연의 선택
3. <김현감호>의 젠더화된 플롯
4. 일연의 가부장적 독법과 가부장적 서사 장치의 강화
제2장 전기소설의 젠더화된 플롯 : <최치원>, <이생규장전>, <주생전>
1. 전기소설과 연애 서사의 플롯
2. 젠더화된 플롯의 반복/재생산
3. 젠더화된 플롯의 전환 지점
4. 비극적 미학에 대한 재성찰 _ 102
제3장 여성 서술자의 등장과 전기소설의 플롯 전환 : <운영전>
1. 여성 서술자의 등장
2. 서술자로서의 운영의 위상
3. 여성이 이야기하는 연애담
4. 전기소설에서의 욕망의 주체와 여성 서술자의 의의
5. 여성 서술자가 확보한 서사 공간의 의미
제4장 사랑의 양식화로서의 전기소설의 플롯
1. 사랑의 양식화와 전기소설
2. 전기소설이 양식화한 사랑의 플롯
3. 사랑의 양식화의 역사적 의미
제5장 일상적 사랑에 대한 욕망 : <심생전>
1. 집 밖으로 나온 남녀 주인공
2. 만남의 과정의 확장
3. 여전히 차이를 드러내는 남녀 주인공의 사랑과 현실에 대한 태도
4. 젠더화된 플롯의 반복, 그리고 차이
제6장 재능과 우정, 두 여자의 서사 : <매죽당 이씨전>, <한사인처>
1. 여성 재능과 인정
2. 여성 재능과 사귐을 다룬 두 여자 이야기, <매죽당 이씨전>과 <한사인처>
3. 여성 재능-불운, 여성 지기(知己)-죽음의 플롯
4. 여성 지기-죽음 플롯의 전복성
제7장 성체계의 위반에 대한 새로운 상상 : <방한림전>
1. 성체계의 위반이라는 새로운 플롯
2. <방한림전>에 재현된 젠더 위반의 표지들
3. ‘동성 결혼’ 설정을 통한 성체계 흔들기와 ‘동성애’의 자리 만들기
4. 동성애에 대한 조선 사회의 태도와 <방한림전>
5. 성체계에 대한 도전의 의미
제2부 가족, 국가, 인간 중심 플롯의 재생산과 전환
제8장 국가 이데올로기에 포섭되지 않는 가족 서사 : <최척전>, <김영철전>
1. <최척전>과 <김영철전> 다시 읽기
2. 가족과 국가 사이에서 가족 서사 다시 쓰기, <최척전>
3. 가족과 국가의 경계에서 흔들리는 가족 서사, <김영철전>
4. 국가 이데올로기로 환원되지 않는 서사 공간의 창출
제9장 전쟁이 낳은 경계인의 서사 : <강세작전>
1. 명 유민(遺民)과 강세작
2. 명 유민에 대한 기록과 <강세작전>
3. 경계인 강세작의 국가에 대한 태도
4. 조선의 명 유민 서사에 대한 명 유민의 대항 서사, 안과 밖의 경계 변환
제10장 ‘버려진 딸’에 대한 기억의 장 : <숙향전>
1. 전쟁 고아, 숙향
2. 버림받은 딸의 플롯에서 부모 잃은 딸의 플롯으로
3. 숙명이라는 플롯
4. 보은이라는 플롯
5. 버려진 딸에 대한 죄의식과 무마의 장
제11장 타자의 서사, 타자화의 서사 : <홍길동전>
1. 타자의 관점으로 읽는 홍길동
2. 타자의 서사에서 (불완전한) 대항의 서사로
3. 타자의 서사에서 타자화의 서사, 정복의 서사로
4. 조선 후기 사회의 ‘외부’ 인식과 <홍길동전>
5. 타자에 대한 공감과 타자화에 대한 욕망을 동시에 보여주는 거울
제12장 관계로서의 동물, 동물의 문학적 재현 : 동물전을 중심으로
1. 동물로의 전환
2. 조선 후기 동물에 대한 기록의 증가
3. 동물전의 플롯과 재현의 양상
4. 동물의 발견, 타자의 위치에서 교감하는 존재들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