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91159055447
· 쪽수 : 299쪽
· 출판일 : 2025-02-2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장 공간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현상학적 관점에서의 공간
기술에 의해 정복된 공간, ‘도시’
사물의 해방성을 통해 열리는 세계와의 의미 연관
존재자의 존재를 드러나게 하는 ‘무’로서의 ‘허공’
제2장 실존의 지평으로서의 몸
공간과 몸에 대한 사유
(사물의) 위치의 공간성과 (몸의) 상황의 공간성
정박점의 조정을 통한 공간의 재구성
상호신체성으로서의 몸, 살의 세계에로의 열림
제3장 신체(성) 그리고 현상학
신체, 세계와의 연관 근거
수사학적 도구로서의 신체
대상을 인식하는 과정으로서의 ‘신체화’와 다중감각
주체와 대상의 동등한 지위의 근거로서의 신체
제4장 현상학적 사유와 환유적 글쓰기
시와 시론의 조응
환유적 시 쓰기와 대상들의 내적 연관성 발견
‘유보된 리얼리티’로서의 풍경의 ‘깊이’와 연루된 주체의 실존
풍경의 깊이를 언어로 표현하는 방법
제5장 현상학적 시간의 언어적 표현
시계 시간과 경험된 시간
어휘적인 표지로 나타나는 시간 양상
시제와 상으로 표현되는 시간 양상
제6장 『현대시작법』의 인지시학적 특징
세계를 의미화하고 조직화하는 언어
비유의 의미론적 기능과 역할
비유의 사상과정 분석
환유의 개념 변화
제7장 연작시 「한잎의 여자」의 자기반영성
텍스트의 변용과 재구성
연작시 「한 잎의 여자」의 선행 텍스트 「현상 실험」
연작시 「한 잎의 여자」와 관련 텍스트 비교
제8장 오규원 시와 세잔의 회화
대상의 묘사와 해석
대상의 ‘깊이’를 구현하는 방법
다시점을 활용한 공간 구성과 사물들의 연계성
‘긍정적 부정 공간’과 ‘허공’의 양감
제9장 창작 방법으로서의 이미지 시론
제작으로서의 시
대상의 즉물적 묘사
대상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
인식론과 존재론의 결합
제10장 개인의 경험과 시적 형상화
시와 시론, 산문의 상호텍스트성
유년기의 상처와 초기 시에 나타나는 불안
자연의 관찰에 바탕한 현상학적 사유
생명 의식의 발현체로서의 여성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