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작가론
· ISBN : 9791159055775
· 쪽수 : 458쪽
· 출판일 : 2020-12-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이론의 접근
01 선금술의 방법론
1. 텍스트의 구경究竟
2. 텍스트의 발굴 수집
3. 텍스트의 선별
4. 분석과 종합-계보학적 체계화
5. 본질적 가치 탐색
6. 연금술과 선금술選金術
02 선금술의 문제에 대한 재고
1. 토론의 장을 위해
2. ‘천합소문’의 문제
3. 단재의 문체
4. ‘기자 자손’의 문제
5. 박은식과 기독교
6. 「청년학우회취지서」의 저자
7. 심습 제거를 위해
03 선금술의 문제에 대한 상고
1. 들어가는 말
2. <신대한>의 필명 고마의 저자 논증
3. <천고>의 필명 아관의 논란
4. <대한매일신보> 무서명 논설의 저자 검토
5. 남은 과제
제2부 실천의 문제
01 신채호와 <황성신문> 활동
1. 들어가는 말
2. 단재의 <황성신문> 활동 기간
3. ‘대동고사’란의 글과 단재 글의 내용 비교
4. ‘대동고사’란의 글과 단재 글의 문체 비교
5. ‘대동고사’란의 글과 단재의 전기 비교
6. <황성신문> ‘대동고사’란의 외적 검토
7. 마무리
02 신채호와 <권업신문> 활동
1. 문제 제기
2. 「루령 거류 조선인의 문제」의 정확성 문제
3. 역사 관련 글의 맥락
4. 주필의 삶과 글의 흔적들
5. 1913년 권업신문 주필은?
03 신채호와 <가정잡지> 활동
1. 서론
2. <가정잡지>와 단재의 글쓰기
3. <가정잡지>에서 단재 글쓰기의 의미
4. 마무리
제3부 재구와 복원
01 「백세 노승의 미인담」의 재구와 복원
1. 들어가는 말
2. 텍스트의 문제-두 텍스트의 비교
3. 북한의 텍스트 재구 및 복원
4. 텍스트의 서사 복원
5. 텍스트 복원이 갖는 의미
02 「꿈하늘」의 다시 읽기
1. 들어가는 말
2. 서언과 글쓰기 방법론
3. 잃어버린 고대 강역 탐구
4. 주체적 민족정신의 계통화와 ‘순국順局’ 회복
5. 마무리
03 「용과 용의 대격전」의 다시 읽기
1. 들어가는 말
2. 무진년과 ‘드래곤의 출현’
3. ‘✕✕✕’, ‘✕✕✕’와 고문 악형의 고발
4. ‘기독 참살’과 혁명의 주문
5. ‘건지둔괘乾之遯卦’와 참언
6. 마무리
04 「천희당시화」의 의미
1. 「천희당시화」의 저자
2. 「천희당시화」에 이르는 과정
3. 「천희당시화」의 내용
4. 「천희당시화」의 의의
5. 마무리
제 4부 논란과 확정
01 「신단공안」의 저자 규명
1. 들어가는 말
2. 필명 ‘계항’의 탐색
3. 번역 능력
4. 원천 탐색
5. 언어 표현
6. 문체 특성
7. 협비 평어
8. 형상화 방식
9. 게재지 측면
10. 마무리
02 신채호의 서찰로 알려진 한시의 진위 고증
1. 들어가는 말
2. 자료의 입수 및 전파 경위
3. 한시의 내용
4. 한시의 형식
5. 한시의 서체
6. 마무리
03 신채호 유묵으로 알려진 서예의 진위 고증
1. 들어가는 말
2. 8폭 병풍과 10폭 족자, 5언 시구의 저자
3. 주자 문과 왕유 시 서예의 출처
4. 단재와 주자, 그리고 왕유와의 사상적 거리
5. 단재 필적과 주자, 왕유 시문의 서체
6. 호와 낙관, 기타
7. 마무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