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문학사
· ISBN : 9791159058660
· 쪽수 : 514쪽
· 출판일 : 2024-03-2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장
근대문학사의 시기 구분과 그 특징^^
1. 근대문학사의 시기 구분
2. 한국 근대문학사의 특징
^^제2장
근대적 서사 양식의 출발 - ‘서사적 논설’^^
1. ‘서사적 논설’의 발생과 전개
2. ‘서사적 논설’의 확산
3. ‘서사적 논설’의 변모
4. ‘서사적 논설’의 특질과 문학사적 의의
^^제3장
근대적 서사 양식의 소설사적 전환 - ‘논설적 서사’^^
1. ‘논설적 서사’와 무서명소설
2. ‘논설적 서사’의 분석
3. ‘논설적 서사’의 특질과 문학사적 의의
^^제4-1장
근대적 소설 양식의 새로운 유형 - ‘역사ㆍ전기소설’^^
1. ‘역사·전기소설’의 개념
2. ‘역사·전기소설’의 형성 과정
3. ‘역사·전기소설’의 특질과 면모
4. ‘역사·전기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제4-2장
‘역사·전기소설’의 새 단계 - 신채호의 소설들^^
1. 신채호의 생애
2. 연구사 개관
3. 신채호의 문학관
4. 「꿈하늘」
5. 「용과 용의 대격전」
6. 신채호 소설의 의미
^^제5장
근대소설의 정착 - ‘신소설’^^
1. ‘신소설’의 개념과 특질
2. ‘신소설’ 연구의 진행 과정
3. ‘신소설’ 발생의 여러 요인
4. 서사 중심 ‘신소설’
5. 논설 중심 ‘신소설’
^^제5장 보론
「혈의루」 하편의 위상과 의미 ^^
1. 「혈의루」 하편의 발굴과 논점의 대두
2. 「혈의루」 하편의 등장 배경
3. 「혈의루」 하편의 작가 문제와 중단 사유
4. 「혈의루」 하편의 위상
^^제6장
근대소설의 완성 1 - 1910년대 ‘단편소설’^^
1. ‘단편소설’ 등장의 배경
2. 연구사 개관
3. 1910년대 ‘단편소설’의 네 유형
제6장 보론
『매일신보』의 ‘단편소설’ - 신년소설^^
1. 근대 신년 ‘단편소설’의 출현
2. 매일신보 신년 ‘단편소설’의 전개
3. 현상 응모 ‘단편소설’과 신춘문예
4. 신년 ‘단편소설’의 위상과 의미
^^제7장
근대소설의 완성 2 - 1910년대 ‘장편소설’ 『무정』^^
1. 연구사 개관
2. 『무정』의 준비 단계
3. ‘장편소설’ 『무정』
^^제7장 보론 1
‘장편소설’ 개념의 성립과 전개 과정^^
1. 문제 제기
2. 근대잡지와 ‘장편소설’의 전개
3. 근대신문과 ‘장편소설’의 전개
4. ‘장편소설’ 개념의 정착 과정
^^제7장 보론2
근대 문체의 형성 과정^^
1. 문제 제기
2. 한국 근대신문의 문체
3. 이광수와 한국 근대 문체의 형성
4. 근대 문체와 독자
^^마무리^^
한국 근대소설사의 특질과 의미
간행사_ 근대한국학총서를 내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