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근대 한국의 감리서 연구 (해관 감독 기구에서 '지방대외교섭' 관서로)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91159058752
· 쪽수 : 355쪽
· 출판일 : 2024-05-31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91159058752
· 쪽수 : 355쪽
· 출판일 : 2024-05-31
책 소개
1876년 조선의 개항 이후 개항장에서 외국인 관련 업무를 관할한 관서인 감리서의 창설과 운영의 추이를 살펴보고 있다. 감리서는 지방의 영사관 등 외국의 외교 관서들을 대등한 자격에서 상대하면서 개항장 주재 외국인 관련 사무를 관장하였는데, 이를 '지방대외교섭'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다.
목차
책머리에
들어가며
1. 문제의 제기
2. 연구 동향과 문제점
3. 연구의 구성과 이용 사료
제1장/ 개항장(開港場) 감리서(監理署)의 독립관서화 과정과 조직의 확장ㆍ정비
1. 개항기 한국 감리서의 기원
2. 해관 창설기 개항장 감리제(監理制)의 실상
3. 관세 수입 관할권의 이관과 감리서의 독립
4. 개항장ㆍ개시장(開市場) 감리서의 기구 증설과 조직의 정비
제2장/ 감리서의 관할 업무 변화와 일시적 폐지
1. 감리서 소관 업무의 변화
2. 개항기 조선의 ‘지방대외교섭(地方對外交涉)’ 개념과 감리서
3. 갑오개혁기 감리서 운영의 중지
제3장/ 감리서의 복설과 지방대외교섭 기능의 강화
1. 감리서의 복설(復設)과 지방대외교섭관서로의 성격 정립
2. 감리서의 지방대외교섭 기능 강화
3. 복설 이후 감리서의 관할 업무 실태
4. 감리서의 폐지와 부윤(府尹)의 업무 인계
맺으며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