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의 진로선택
· ISBN : 9791159253690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18-11-20
책 소개
목차
Part 1 의대 vs □
우리 시대 의사들의 탄생
의대생으로 만들어지기
생존의 법칙
학생과 의사 사이에서
Part 2 의사 vs □
병원의 톱니바퀴
의학적 시선
의학의 속사정
환자와 의사의 공간
Part 3 의료 vs □
살아남기 위하여
기울어진 병원
멋진 신세계
저자소개
책속에서
의대 성적은 나중에 병원에 입사하여 과를 결정할 때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 해마다 바뀌기는 하지만 소위 ‘인기 과’가 존재하고, 인기 과가 아니더라도 나중에 자신이 원하는 과를 가려면 성적을 잘 받아야 한다는 압박감이 본과에 진입하자마자 온몸을 짓누른다. 하지만 모두가 같은 생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열심히 공부해도 끽해야 현상 유지를 하는 상황들이 지속된다.
시험 기간이 다가오면 분위기는 살벌해진다. 같이 함께 가자는 분위기와 “너를 눌러야 내 등수가 올라간다”는 무한경쟁의 분위기가 미묘하게 공존한다. 그동안 너무나 우수한 성적을 거둬왔던 사람들이기에, 모든 실패는 개인의 능력에 달려 있다는 사고가 주를 이룬다. 그러다 보니 의대 공부를 견디지 못하고 이탈하거나, 하위권으로 쳐지는 동기 들에 대한 안타까움과 안도감, 우월감 등이 불편하게 혼재한다.
병원은 인력으로 굴러가는 곳이다. 병원의 업무 하나하나는 사람의 힘이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피를 뽑거나 상처 부위를 소독하거나, 환자를 수술장으로 이송하거나 하는 일들은 기계가 대체하기 생각보다 어려운 경우가 많다. 환자의 상태가 위독할수록 더 많은 손이 필요하며 그 과정에서 적절한 역할 분담이 필요하게 된다. 역할 분담은 민주적으로 진행되면 좋겠지만, 민주주의를 위해 많은 사람들이 피를 흘려야만 했던 역사를 떠올리면 결과는 대체로 뻔하다. 계급은 역할과 맞물려 있으며, 가장 계급이 낮은 자가 자연스럽게 가장 많은 일을 하게 될 확률이 높다. 조금 더 정확히 말하면, 할 수 있지만 하기 싫은 일 중에서 가장 많은 일들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론과 현실이 다르듯이 증상만 가지고 진단을 내리기 곤란한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흔히 맹장염이라 불리는 급성 충수돌기염 (acute appendicitis)이 좋은 예이다. 교과서적으로 급성 충수돌기염은 복통이 배꼽 주변부부터 시작하여 오른쪽 아랫배로 진행하는 것이 특징이며, 식욕 부진과 메스꺼움이 일어나는 것이 전형적인 증상이다. 비교 적 흔한 질병이기 때문에 경험이 부족한 의대생들은 그런 환자들을 진단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여러 변수가 존재한다. 일부 사람의 경우 해부학 적 차이로 왼쪽 배가 아픈 경우도 있다. 급성 충수돌기염과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다른 질병들도 꽤 많으며, 환자가 오른쪽 아랫배가 아프다고 말하였으나 실제로 확인해보니 다른 부위인 경우도 있다. 증상이 급성 충수돌기염에서 보이는 모든 것을 만족하고 있으나 나중에 확인 해 보니 아닌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늘 변수는 존재하고, 모든 것은 확률의 문제가 될 때가 많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