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TV/라디오 > TV이론/TV비평
· ISBN : 9791159314865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0-05-14
책 소개
목차
책을 쓰게 된 동기
들어가는 말
제1장 텔레비전과 비평
1. 우리는 일상적으로 텔레비전을 비평하고 있다
2. 일상적 비평은 대개 무의식적이고 비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
제2장 일상적 비평이 범하는 몇 가지 오해들
1. 텔레비전은 하찮은 것이다
2. 시청자의 수준은 과연 어느 정도인가
3. 텔레비전은 현실을 방영하지 않는다
제3장 비평은 무엇을 지향하는가
1. 텔레비전이 문화 속에서 수행하는 역할
2. 비평은 텔레비전이 수행하는 역할에 개입하는 것이다
(1) 비평이 개입하고자 하는 곳은 어디인가
(2)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의미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제4장 텔레비전을 둘러싼 여러 환경: 구조적 요인들
1. 텔레비전은 상업적인 매체다
2. 대중 매체는 거대 기업이다
3. 대중 매체와 광고의 영향
4. 대중 매체 기사의 정보원
5. 보도에 대한 반론과 이의 제기
6. 통제 기제로서의 가치 체계
제5장 텔레비전 매체의 특성
1. 텔레비전은 영상 매체다?다이어트와 코디네이션
2. 텔레비전은 빠르다?리모컨과 MTV
3. 텔레비전에는 이야기가 필요하다?<성공시대>
4. 텔레비전은 하나의 문화적 형식이다?<여인천하> <명성황후>
제6장 방송사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1. 방송 3사의 서로 다른 위치와 역할
2. 방송사들 사이의 경쟁?띠편성
3. 보도 프로그램과 예능 프로그램의 공존
제7장 텔레비전의 제작자들
1. 기준의 내면화?제작진 길들이기
2. 혁신의 잠재력?창조의 여지
제8장 비평의 한 사례: <여인천하>
1. <여인천하>는 왜 여성의 역할을 부각시키는가
2. 적극적 여성과 남성 중심 사회의 타협
맺는 말
주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저자소개
책속에서
텔레비전 비평의 일차적인 존재 근거는 텔레비전이 작품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여기서 비평이라는 개념을 너무 좁게 해석할 필요는 없다. 흔히 비평이라는 말을 들으면 문학 비평이나 미술 비평처럼 그 분야에 전문적인 식견을 가진 사람들이 수행하는 고도로 형식적인 작품 분석을 떠올릴지 모른다. 하지만 이처럼 전문적인 비평 행위가 아니더라도 실상 시청자들은 텔레비전을 보며 일상적으로 비평 행위를 수행하고 있다.
-텔레비전과 비평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때 텔레비전을 더 많이 본다는 연구 결과도 여럿 나와 있다. 즉 텔레비전 시청을 결정하는 데에는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외에도 매우 다양한 요인들이 개입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요인들의 영향을 배제해놓고 본다면 텔레비전을 볼 것이냐 말 것이냐, 또는 보기로 했을 때 어떤 프로그램을 볼 것이냐를 결정하는 데는 역시 그 프로그램에 대한 개인의 평가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텔레비전 시청은 비평 행위의 결과라는 것이다.
-텔레비전과 비평
첫 번째 오해는 텔레비전의 일상성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이른바 텔레비전의 효과와 관련된 오해다. 평소 텔레비전에 대해 사람들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주고받을 때 가장 흔히 부딪히는 반응이 있다. 그까짓 사소한 것에 무얼 그리 세세하게 신경을 쓰느냐는 것이다. 많은 사람이 텔레비전은 그냥 즐기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이야기한다. 특히 뉴스와 토론 프로그램 등을 제외한 다른 프로그램들, 이를테면 드라마나 쇼, 코미디 등을 언급할 때 이런 지적을 많이 받는다.
-일상적 비평이 범하는 몇 가지 오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