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59314964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20-05-28
책 소개
목차
책을 쓰게 된 동기
들어가는 말
제1장 현대 사회와 스포츠
1. 스포츠란 무엇인가
2. 현대 스포츠의 특성
(1) 현대 스포츠와 스포츠 기구
(2) 스포츠의 확산
(3) 스포츠와 대중 매체의 결합
3. 현대인은 왜 스포츠에 열광하는가
제2장 스포츠는 의미로 가득 차 있다
1. 스포츠와 돈
2. 스포츠와 정치
3. 스포츠와 헤게모니
4. 스포츠와 성
5. 스포츠와 저항
제3장 스포츠는 텍스트다
1. 텍스트로서의 스포츠
(1) 스포츠 이데올로기 : 순수성, 공정성, 자발성
(2) 스포츠의 규칙
(3) 스포츠 참여자의 사회적 배경
(4) 스포츠의 역사
(5) 국가의 통제, 상업적 기구들의 이윤 추구
(6) 스포츠 수용자
2. 스포츠와 즐거움
3. 경쟁하는 의미의 장으로서의 스포츠
제4장 중산층, 자기 통제, 마라톤
1. 마라톤에 대한 취향
2. 마라톤의 속성
3. 중산층은 왜 마라톤을 선택했는가
(1) 사회 구제에서 개인 구제로
(2) 중산층과 마라톤의 결합
4. 한국의 중산층과 마라톤
맺는 말
주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 주변에서는 수많은 스포츠 활동들이 벌어진다. 이런 활동들은 언제부터 우리 곁에 존재하기 시작했을까? 현재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스포츠의 형태, 즉 현대 스포츠는 19세기 중반 영국에서 발전했다. 그렇다고 해서 이 시기의 영국인들이 현대 스포츠의 여러 형태나 관행을 모두 독자적으로 만들어낸 것은 아니다. 19세기 말 미국에서 만들어진 농구3처럼 탄생 시점을 명확하게 규명할 수 있는 몇몇 종목을 제외하면 대다수 스포츠는 근대 이전의 민속 경기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현대 스포츠와 스포츠 기구
스포츠는 청소년기 학생들의 넘치는 에너지를 적절한 방향으로 이끌어 학생들의 방종을 막는 역할을 담당했다. 특히 사춘기 남학생들의 방종을 통제하는 데 스포츠의 역할이 컸다. 그리고 스포츠의 이런 역할을 극대화하기 위해 퍼블릭 스쿨의 교장들은 의도적으로 스포츠의 남성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훗날 현대 스포츠의 요람으로 발전한 퍼블릭 스쿨에서 스포츠는 통제를 목적으로 도입되었다는 것이다.
-스포츠의 확산
두 번째 요인은 현대 사회에서의 삶이 지나치게 예의 바르다는 점이다. 문명화된 사회는 폭력의 사용을 국가가 독점하고 사적 개인의 폭력을 철저히 억압하는 사회이기도 하다. 공격성이 동물로서의 인간이 지니고 있는 본능 중 하나라 하더라도 문명화된 사회에서 개인의 동물적 기질을 표출할 기회는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일상생활에서 이른바 매너가 정착됨으로써 사람들 사이의 일상적인 상호 관계는 부드럽게 진행되지만, 그 과정에서 사람들은 미처 발산하지 못하는 동물적 본성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다. 마음에 맞지 않는 일이 생겨 화가 나더라도 드러내놓고 풀 기회는 마련되지 않는다. 일부 심리학자들은 이런 상황이 정신병의 증가를 가져오기도 한다고 설명한다.
-현대인은 왜 스포츠에 열광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