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건강/미용
· ISBN : 9791159552366
· 쪽수 : 498쪽
· 출판일 : 2017-10-16
목차
서론
제1절 한방미용(韓方美容)의 개념⦁25
제2절 한방미용과 생활미용의 관계⦁27
1. 생활미용과 의학미용⦁ 27
2. 한방미용과 생활미용⦁28
상편 기초 이론(基礎理論)
제1장 음양오행학설(陰陽五行學說)⦁32
제1절 음양학설(陰陽學設)⦁32
1. 음양학설의 기본내용⦁34
(1) 음양의 대립제약(對立制約)⦁34
(2) 음양의 호근호용(互根互用)⦁35
(3) 음양의 소장평형(消長平衡)⦁37
(4) 음양의 상호전화(相互轉化)⦁37
2. 동양의학에서의 음양학설응용⦁38
(1) 인체의 조직구성⦁39
(2) 인체의 생리기능⦁39
(3) 인체의 병리변화⦁40
(4) 질병의 진단⦁42
(5) 질병의 치료⦁43
제2절 오행학설(五行學設)⦁46
1. 오행학설의 기본내용⦁46
(1) 사물의 오행속설에 대한 분류⦁46
(2) 오행의 생극승모(生克乘侮)⦁47
2. 동양의학에서의 오행학설응용⦁50
(1) 오장의 생리기능 및 상호관계⦁50
(2) 오장의 병리변화 및 상호영향⦁51
(3) 질병의 진단 및 치료⦁52
제2장 장부(臟腑)와 미용(장상;臟象)⦁55
제1절 장부와 미용⦁58
1. 오장(五臟)과 미용⦁58
(1) 심(心)과 미용〈부〉심포(心包)⦁58
(2) 폐(肺)와 미용⦁61
(3) 비(脾)와 미용⦁65
(4) 간(肝)과 미용⦁68
(5) 신(腎)과 미용⦁72
2. 육부(六腑)과 미용⦁77
(1) 담(膽)⦁77
(2) 위(胃)⦁78
(3) 소장(小腸)⦁79
(4) 대장(大腸)⦁80
(5) 방광(膀胱)⦁80
(6) 삼초(三焦)⦁81
제3장 기, 혈, 진액과 미용⦁83
제1절 기(氣)와 미용⦁84
1. 기의 개념⦁84
2. 기의 생성⦁85
3. 기의 생리기능과 미용⦁86
(1) 추동 작용(推動作用)⦁86
(2) 온후 작용(溫煦作用)⦁86
(3) 방어 작용(防禦作用)⦁87
(4) 고섭 작용(固攝作用)⦁87
(5) 기화 작용(氣化作用)⦁88
4. 기의 운동과 형식⦁89
5. 기의 분류⦁90
(1) 원기(元氣)⦁90
(2) 종기(宗氣)⦁91
(3) 영기(營氣)⦁92
(4) 위기(衛氣)⦁93
제2절 혈(血)과 미용⦁95
1. 혈의 개념⦁95
2. 혈의 생성⦁95
3. 혈의 생리기능과 미용⦁96
4. 혈의 운행⦁97
제3절 진액(津液)과 미용⦁99
1. 진액의 개념⦁99
2. 진액의 생성, 수송, 분포와 배설⦁99
3. 진액의 생리기능과 미용⦁100
제4장 경락(經絡)과 미용⦁101
제1절 경락의 개념과 구성⦁103
1. 경락의 개념⦁103
2. 경락계통의 구성⦁103
제2절 한방미용에서의 경락의 응용⦁106
1. 인체의 체표와 내장의 조직관계⦁106
2. 인체 아름다움의 생리⦁106
3. 손미성 질병의 병리⦁107
4. 손미성질병의 진단과 치료⦁107
제5장 병인(病因)과 미용⦁109
제1절 육음(六淫)과 미용⦁112
1. 풍(風)⦁114
2. 한(寒)⦁116
3. 서(署)⦁119
4. 습(濕)⦁120
5. 조(燥)⦁122
6. 화(火)⦁124
제2절 칠정내상(七情內傷)과 미용⦁127
1. 칠정과 내장기혈(內臟氣血)의 관계⦁127
2. 칠정이 병을 일으키는 특징⦁128
제3절 음식부절(飮食不節)과 미용⦁131
1. 음식 무절제⦁131
2. 불결한 음식⦁131
3. 편식(偏食)⦁132
제4절 노권손상(勞倦損傷)과 미용⦁133
제5절 외상(外傷)과 미용⦁134
제6절 선천성원인(先天性原因)과 미용⦁135
제7절 담음(痰飮)과 어혈(瘀血)⦁136
1. 담음⦁136
2. 어혈⦁137
(1) 어혈의 형성⦁138
(2) 어혈의 병증 특징⦁138
12 한방미용학(韓方美容學)
제6장 병기(病機)와 미용⦁141
1. 사정성쇠(邪正盛衰)⦁142
2. 음양실조(陰陽失調)⦁144
(1) 음양편승(陰陽偏勝)⦁145
(2) 음양편쇠(陰陽偏衰)⦁146
(3) 음양호손(陰陽互損)⦁148
(4) 음양격거(陰陽格拒)⦁149
(5) 음양망실(陰陽亡失)⦁150
3. 기혈실상(氣血失常)⦁151
(1) 기의 실상⦁151
(2) 혈의 실상⦁154
(3) 기혈관계 실조⦁155
4. 진액대사실상(津液代謝失常)⦁156
(1) 진액부족(津液不足)⦁156
(2) 진액 수포(津液輸布)와 배설(排泄)의 장애⦁157
중편 한방미용변증(韓方美容辨證)
제1장 팔강변증(八綱辨證)⦁161
1. 표리(表裏)⦁162
(1) 표증(表證)⦁162
(2) 이증(裏證)⦁163
2. 한열(寒熱)⦁164
(1) 한증(寒證)⦁164
(2) 열증(熱證)⦁165
3. 허실(虛實)⦁166
(1) 허증(虛證)⦁166
(2) 실증(實證)⦁167
4. 음양(陰陽)⦁168
(1) 음증(陰證)⦁168
(2) 양증(陽證)⦁169
제2장 병인변증(病因辨證)⦁171
1. 육음변증(六淫辨證)⦁172
(1) 풍사증후(風邪證候)⦁172
(2) 한사증후(寒邪證候)⦁173
(3) 서사증후(署邪證候)⦁173
(4) 습사증후(濕邪證候)⦁174
(5) 조사증후(燥邪證候)⦁175
(6) 화사증후(火邪證候)⦁175
2. 칠정변증(七情辨證)⦁176
3. 음식노권변증(飮食勞倦辨證)⦁176
(1) 음식⦁176
(2) 노권(勞倦;노동과 휴식)⦁177
제3장 기혈진액변증(氣血津液辨證)⦁79
1. 기병변증(氣病辨證)⦁180
(1) 기허증(氣虛證)⦁180
(2) 기체증(氣滯證)⦁181
2. 혈병변증(血病辨證)⦁181
(1) 혈허증(血虛證)⦁182
(2) 혈열증(血熱證)⦁182
(3) 혈어증(血瘀證)⦁183
(4) 혈한증(血寒證)⦁184
3. 진액병변증(津液病辨證)⦁184
(1) 진액부족증(津液不足證)⦁184
(2) 수액정취증(水液停聚證)⦁185
제4장 장부변증(臟腑辨證)⦁187
1. 심(心)과 소장(小腸)의 증후(證候)⦁188
(1) 심기허(心氣虛)와 심양허(心陽虛)⦁188
(2) 심혈허(心血虛)⦁189
(3) 심음허(心陰虛)⦁190
(4) 심혈어조(心血瘀阻)⦁190
(5) 심화항성(心火亢盛)⦁ 191
(6) 소장허한(小腸虛寒)⦁191
(7) 소장실열(小腸實熱)⦁192
2. 폐(肺)와 대장(大腸)의 증후(證候)⦁192
(1) 폐기허(肺氣虛)⦁ 192
(2) 폐음허(肺陰虛)⦁ 193
(3) 담탁조폐(痰濁阻肺)⦁193
(4) 열사옹폐(熱邪壅肺)⦁194
(5) 풍한속폐(風寒束肺)⦁194
(6) 풍열범폐(風熱犯肺)⦁195
(7) 조사상폐(燥邪傷肺)⦁195
(8) 대장습열(大腸濕熱)⦁196
(9) 대장진휴(大腸津虧)⦁196
3. 비(脾)와 위장(胃腸)의 증후(證候)⦁197
(1) 비기허(脾氣虛)⦁197
(2) 비양허(脾陽虛)⦁197
(3) 중기하함(中氣下陷)⦁198
(4) 비불통혈(脾不統血)⦁198
(5) 한습곤비(寒濕困脾)⦁199
(6) 습열온비(濕熱蘊脾)⦁200
(7) 위음허(胃陰虛)⦁200
(8) 식체위완(食滯胃脘)⦁201
(9) 위한(胃寒)⦁201
(10) 위열(胃熱)⦁202
4. 간(肝)과 담(膽)의 증후(證候)⦁202
(1) 간기울결(肝氣鬱結)⦁203
(2) 간화상염(肝火上炎)⦁203
(3) 간혈허(肝血虛)⦁204
(4) 간음허(肝陰虛)⦁204
(5) 간양상항(肝陽上亢)⦁205
(6) 한체간맥(寒滯肝脈)⦁205
(7) 간담습열(肝膽濕熱)⦁206
(8) 담울담요(膽鬱痰擾)⦁207
5. 신(腎)과 방광(膀胱)의 증후(證候)⦁207
(1) 신양허(腎陽虛)⦁207
(2) 신음허(腎陰虛)⦁208
(3) 신정부족(腎精不足)⦁209
(4) 신기불고(腎氣不固)⦁209
(5) 신불납기(腎不納氣)⦁210
(6) 방광습열(膀胱濕熱)⦁210
제5장 자각증상(自覺症狀)의 미용변증⦁213
1. 소양(瘙痒)⦁214
(1) 풍양(風痒)⦁214
(2) 습양(濕痒)⦁214
(3) 열양(熱痒)⦁215
(4) 충양(蟲痒)⦁215
(5) 조양(燥痒)⦁215
(6) 독양(毒痒)⦁215
(7) 식양(食痒)⦁215
(8) 어양(瘀痒)⦁216
(9) 주양(酒痒)⦁216
(10) 허양(虛痒)⦁216
2. 동통(疼痛)⦁217
3. 마목(麻木)⦁217
4. 작열(灼熱)⦁217
5. 종창(腫脹)⦁217
제6장 피부(皮膚)의 미용변증⦁219
1. 피부성질(皮膚性質)에 의한 미용변증⦁220
(1) 중성피부(中性皮膚)⦁220
(2) 건성피부(乾性皮膚)⦁221
(3) 지성피부(脂性皮膚)⦁221
(4) 민감성피부(敏感性皮膚)⦁222
2. 피부손상(皮膚損傷)에 의한 미용변증⦁223
(1) 탈설(脫屑)⦁223
(2) 풍진(風疹)⦁223
(3) 피부군열(皮膚皸裂)⦁224
(4) 피부위축(皮膚萎縮)⦁225
(5) 피부반흔(皮膚瘢痕)⦁226
(6) 피부비후(皮膚肥厚)⦁226
(7) 피부홍반(皮膚紅斑)⦁227
(8) 피부자반(皮膚紫斑)⦁228
(9) 피부백반(皮膚白斑)⦁229
(10) 피부갈반(皮膚褐斑)⦁230
(11) 피부흑반(皮膚黑斑)⦁230
(12) 기부갑착(肌膚甲錯)⦁231
(13) 좌창(痤瘡)⦁232
(14) 피부우(皮膚疣)⦁233
3. 모발(毛髮)에 의한 미용변증⦁234
(1) 모발(毛髮)⦁234
(2) 피부다모(皮膚多毛)⦁237
제7장 체형(體形)의 미용변증⦁239
1. 비만형(肥滿型)⦁240
2. 소수형(消瘦型)⦁241
하편 방법(方法)
제1장 한방미용(韓方美容)의 특징 및 분류⦁245
제1절 한방미용의 특징⦁246
1. 유구한 역사, 풍부한 경험⦁246
2. 정체관념(整體觀念), 변증논치(辨證論治)⦁247
(1) 정체관념(整體觀念)⦁247
(2) 변증논치(辨證論治)⦁247
3. 다양한 방법, 안전성 확보⦁247
제2절 한방미용의 분류⦁249
1. 미용성질(美容性質)에 의한 분류⦁249
2. 미용수단(美容手段)에 의한 분류⦁249
3. 임상학과(臨床學科)에 의한 분류⦁251
제2장 미용본초(美容本草)⦁253
제1절 약(藥)의 기능(機能)⦁254
1. 사기(四氣)와 오미(五味)⦁254
2. 귀경(歸經)⦁255
3. 승강부침(升降浮沈)⦁256
제2절 약의 응용(應用)⦁257
1. 배오(配伍)⦁257
2. 금기(禁忌)⦁258
제3절 미용약제(美容藥劑)⦁260
1. 윤부증백약(潤膚增白藥)⦁260
2. 열용증안약(悅容增顔藥)⦁267
3. 주안거추약(駐顔去皺藥)⦁270
4. 오발생발약(烏髮生髮藥)⦁274
5. 감비수신약(減肥瘦身藥)⦁277
6. 향구제취약(香口除臭藥)⦁282
7. 기타약(其他藥)⦁284
제4절 미용방제(美容方劑)⦁297
1. 윤부증백방(潤膚增白方)⦁297
2. 열용증안방(悅容增顔方)⦁299
3. 주안거추방(駐顔去皺方)⦁301
4. 오발생발방(烏髮生髮方)⦁303
5. 감비수신방(減肥瘦身方)⦁306
6. 향구제취방(香口除臭方)⦁308
7. 청치고치방(淸齒固齒方)⦁312
8. 소반거흑방(消斑去黑方)⦁313
9. 치좌제조방(治痤除漕方)⦁315
10. 거풍제습(祛風除濕), 청열해독방(淸熱解毒方)⦁319
11. 소수방(消瘦方)⦁323
제3장 경락미용(經絡美容)⦁25
제1절 경락미용의 개요(槪要)⦁326
1. 경락미용의 원리(原理)⦁326
2. 경락미용의 적응증(適應症)⦁327
제2절 경락미용 취혈법(取穴法)⦁328
1. 골도법(骨度法)⦁328
2. 지량법(指量法)⦁329
제3절 경락미용 상용수혈(常用腧穴)⦁330
1. 기경팔맥(奇經八脈)⦁330
(1) 독맥(督脈)⦁330
(2) 임맥(任脈)⦁336
2. 수삼음경(手三陰經)⦁340
(1)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340
(2) 수궐음심포경(手厥陰心包經)⦁344
(3) 수소음심경(手少陰心經)⦁348
3. 수삼양경(手三陽經)⦁351
(1)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351
(2) 수소양삼초경(手少陽三焦經)⦁355
(3) 수태양소장경(手太陽小腸經)⦁360
4. 족삼음경(足三陰經)⦁364
(1)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364
(2)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368
(3)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372
5. 족삼양경(足三陽經)⦁376
(1)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376
(2)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383
(3)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389
제4장 기공미용(氣功美容)⦁397
제1절 기공미용의 개요(槪要)⦁398
1. 기공미용의 개념(槪念)⦁398
2. 기공의 기원(起源)⦁399
3. 기의 개념(槪念)⦁401
4. 치유(治癒)의 약손법⦁407
5. 의료기공과 무술기공(武術氣功)⦁409
제2절 기공미용의 수련법(手練法)⦁411
1. 의료기공(醫療氣功)과 단전호흡(丹田呼吸)⦁411
2. 호흡법(呼吸法)⦁413
3. 명상법(瞑想法)의 개념⦁421
4. 명상수행방법(瞑想修行方法)⦁425
5. 명상에 적합한 시간과 장소⦁428
6. 수련효과⦁430
7. 기타 수련법⦁432
제3절 기공치료의 올바른 인식⦁438
1. 수기법과 기공치료의 정의⦁438
2. 수기법과 기공치료의 효과⦁439
3. 수기법과 기치료가 상호 공존할 수 없는 이유⦁440
4. 의료기공의 3대 기본치료⦁441
5. 기공치료와 기타의 방법과의 구별법 ⦁441
제5장 추나미용(推拿美容)⦁443
제1절 추나미용법의 개요(槪要)⦁446
1. 추나미용법의 개념(槪念)⦁446
2. 추나미용의 효과(效果)⦁447
(1) 변증시치(辨證施治)⦁447
(2) 적당한 체위(體位)⦁448
(3) 정확하고 숙련된 수법(手法)⦁448
(4) 혈위(穴位)의 정확한 선택⦁448
3. 추나미용의 특징⦁448
(1) 국부(局部)를 중시하며 정체(整體)를 연계한다.⦁448
(2) 약(藥)·침(針)의 불필요⦁449
(3) 간편성(簡便性)과 안전성(安全性)⦁449
(4) 광범위한 적응증(適應症)⦁449
제2절 추나미용법의 원리(原理)⦁450
1. 면부미용(面部美容)의 원리⦁450
2. 추나미발(推拿美髮)의 원리⦁450
3. 추나미형(推拿美形)의 원리⦁451
제3절 추나미용의 치료원칙(治療原則)과 법칙(法則)⦁452
1. 추나미용의 치료원칙(治療原則)⦁452
2. 치료법칙(治療法則)⦁452
제4절 추나미용의 효과(效果)와 적응증(適應症)⦁453
1. 추나미용의 효과(效果)⦁453
(1) 변증시치(辨證施治)⦁453
(2) 적당한 체위(體位)⦁454
(3) 정확하고 숙련된 수법(手法)⦁454
(4) 혈위(穴位)의 정확한 선택⦁454
2. 추나미용의 적응증(適應症)⦁455
제5절 추나수법(推拿手法)⦁456
1. 추나미용의 수법 요구사항⦁456
2. 수법 종류⦁456
(1) 단식수법⦁456
(2) 복식수법⦁457
3. 추나미용의 주의사항⦁457
제6절 추나미용 방법⦁458
1. 두면부(頭面部)의 추나미용⦁458
(1) 두면부 추나미용의 상용경맥(常用經脈)⦁458
(2) 두면부 추나미용의 상용혈위(常用穴位)⦁459
(3) 두면부 추나미용의 상용수법(常用手法)⦁459
(4) 두면부 추나미용의 시술방법(施術方法)⦁459
(5) 두면부 추나미용의 주의사항(注意事項)⦁460
(6) 두면부 추나미용의 금기증(禁忌證)⦁461
2. 경부(頸部)의 추나미용⦁461
(1) 경부 추나미용의 시술방법⦁461
3. 흉부(胸部)의 추나미용⦁462
(1) 흉부 추나미용의 상용경맥⦁462
(2) 흉부 추나미용의 상용혈위⦁463
(3) 흉부 추나미용의 상용수법⦁463
(4) 흉부 추나미용의 시술방법⦁463
4. 복부(腹部)의 추나미용⦁465
(1) 복부 추나미용의 상용경맥과 혈위⦁465
(2) 복부 추나미용의 상용수법⦁465
(3) 복부 추나미용의 시술방법⦁465
5. 견배부(肩背部)의 추나미용⦁467
(1) 견배부 추나미용의 상용경맥과 혈위⦁467
(2) 견배부 추나미용의 상용수법⦁467
(3) 견배부 추나미용의 시술방법⦁467
6. 사지(四肢)의 추나미용⦁469
(1) 하지부(下肢部)⦁469
(2) 상지부(上肢部)⦁470
참고문헌⦁472
색인(索引)⦁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