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농축산생명계열 > 농림수산학
· ISBN : 9791159672637
· 쪽수 : 75쪽
· 출판일 : 2016-06-25
책 소개
목차
1. 곰팡이독소의 이해
지구상에 존재하는 곰팡이독소는 몇 종이며,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가 ? 4
곰팡이독소는 왜 중요한가? 7
곰팡이독소는 언제 생성되나? 7
곰팡이독소는 어떤 조건에서 발생하나? 7
곰팡이독소에 오염되기 쉬운 식품은? 8
곰팡이독소가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나? 9
곰팡이독소로 인한 경제적 피해는 얼마나 되나? 10
곰팡이독소는 어떻게 관리하고 있나? 11
곰팡이독소의 오염을 줄이기 위한 방법은 어떤 것이 있나? 11
2. 독소생성 곰팡이의 종류
3. 주요 곰팡이 독소와 독성
가. 아플라톡신(Aflatoxin) 13
나. 오크라톡신(Ochratoxin) 14
다. 파튤린(Patulin) 14
라. 푸모니신(Fumonisin) 15
마. 트리코쎄신(Trichothecenes) 16
바. 제랄레논(Zearalenone) 17
4. 농산물별 곰팡이 독소 자연발생 현황
가. 국 외 19
1) 세계 곰팡이독소 오염 현황 19
2) 유럽 위해식품 안전 긴급경보시스템(EU RASFF) 21
나. 국 내 23
1) 곡류 및 단순가공품 23
2) 과일/건과류 및 단순가공품 25
3) 두류/단순가공품 및 기타 가공품 25
4) 약용작물 및 단순가공품 26
5) 사료작물 및 단순가공품 26
5. 곰팡이독소 분석방법
가. 기기분석법 27
1) 트리코쎄신(Trichothecenes) 27
2) 푸모니신(Fumonisin) 32
3) 제랄레논(Zearalenone) 35
4) 아플라톡신(Aflatoxin) 36
5) 오크라톡신(Ochratoxin) 37
6) 파튤린(Patulin) 38
나. 효소면역분석법(ELISA법) 39
다. 공정분석법 41
6. 곰팡이독소 발생요인
7. 곰팡이독소 관리기준
가. 관리체계 51
나. CODEX(국제식품규격위원회)기준 52
다. 외국의 관리기준 53
라. 우리나라의 곰팡이독소 관리기준 54
곰팡이독소에 대한 안전한 수준이 존재하는가? 55
8. 곰팡이독소 발생예방기술
가. 예방과 관리 56
나. 맥류 Fusarium 곰팡이독소 예방을 위한 농산물우수관리실행규범(GAP) 57
다. 곰팡이독소 노출 경감 제품 개발 현황 60
[인용문헌]
[참고] 포장곰팡이와 저장곰팡이란? 12
[참고] 발암물질 등급구분(WHO 국제암연구소) 18
[참고] 주요곰팡이독소 분석법 46
[참고] 곰팡이독소 분석법 인증기준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