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59750687
· 쪽수 : 510쪽
· 출판일 : 2025-10-28
목차
제1장 가인처럼 날아드는 철새벽사진경(辟邪進慶)의 염원 담은 상상의 새
1. 박순영의 詩 - <임 부르는 뜸부기> / 13
2. (1) 한하운의 詩 - <파랑새> / 18
(2) 김시습의 詩 - <문청조성유감(聞靑鳥聲有感)> / 21
3. (1) 장만영 詩 - <소쩍새> / 43
(2) 김소월의 詩 - <접동새> / 50
(3) 김영랑의 詩 - <두견> / 54
(4) 단종의 詩 - <자규시(子規詩)> / 59
(5) 한용운의 詩 - <두견새> / 63
(6) 김부식의 詩 - <대흥사에서 두견새 소리 들으며> / 68
(7) 김시습의 詩 - <자규 소리 들으며> / 70
(8) 이정보의 詩 - <두견아 우지 마라> / 72
4. (1) 유리왕의 詩 - <황조가> / 79
(2) 이양원의 詩 - <황리(黃鸝)> / 84
(3) 윤선도의 詩 - <꾀꼬리 우는 소리를 들으며> / 86
5. (1) 심 훈의 詩 - <뻐국새가 운다> / 93
(2) 이양연의 詩 - <미장조(迷藏鳥)> / 97
(3) 권 필의 詩 - <포곡(布穀)> / 100
(4) 양경우의 詩 - <법금 법금! 法禁法禁> / 103
6. (1) 이 달의 詩 - <화학(畵鶴)> / 110
(2) 이매창의 詩 - <籠鶴 (새장 속의 학)> / 114
7. (1) 정약용의 詩 - <제비의 하소연> / 120
(2) 이 식의 詩 - <詠新燕(영신연) 새로 온 제비를 읊다> / 133
(3) 이광사의 詩 - <영연(詠燕)> / 136
(4) 김이만의 詩 - <쌍연(雙燕)> / 138
8. 정지원의 詩 - <저어새> / 142
9. 한정동의 童詩 - <따오기> / 154
10. (1) 강백년의 詩 - <함로안(啣蘆(雁)> / 160
(2) 정몽주의 詩 - <문안(聞鴈)> / 163
(3) 류현수의 詩 - <임 마중 기러기> / 165
11. 김추윤의 詩 - <제주 신부 팔색조> / 172
12. 정지용의 詩 - <굴뚝새> / 177
13. 백 석의 詩 - <멧새 소리> / 183
14. 유몽인의 詩 - <熟刀鳥(숙도조)> / 191
15. 서거정의 詩 - <취조(물총새)> / 197
16. 홍세태의 詩 - <들판의 메추라기> / 202
17. 서거정의 詩 - <白頭鳥(백두조)> / 207
18. 차좌일의 詩 - <효조명체(效鳥名體)> / 210
19. 이익의 詩 - <戲賦鳶鸛爭巢(희부연관쟁소)> / 214
20. (1) 허난설헌의 詩 - <봉명조양(鳳鳴朝陽)> / 218
(2) 정지용의 詩 - <불사조> / 222
(3) 김삿갓의 詩 - <황새가 봉황의 깊은 뜻을 어찌 알꼬> / 225
제2장 금수강산 품에 안긴 텃새
1. (1) 김지연의 詩 - <우리 참새> / 239
(2) 이제현의 詩 - <사리화를 보면서> / 242
(3) 성간의 詩 - <황작가(黃雀歌)> / 244
2. (1) 한하운 詩 - <부엉이> / 249
(2) 조언유의 詩 - <야문휴류(夜聞鵂鶹)> / 251
(3) 유몽인의 詩 - <휴류조(鵂鶹鳥)> / 253
3. (1) 이양연의 詩 - <백로(白鷺)> / 258
(2) 정몽주의 어머니 詩 - <백로가(白鷺歌)> / 261
(3) 이규보의 詩 - <蓼花白鷺(요화백로)> / 264
4. (1) 이규보의 詩 - <원앙희작(鴛鴦戲作)> / 271
(2) 김시습의 詩 - <원앙> / 273
5. (1) 정수강의 詩 - <희작(喜鵲)> / 278
(2) 김정희의 詩 - <까치집> / 280
(3) 조경의 詩 - <작탁빙(鵲啄氷)> / 288
(4) 권태응의 詩 - <따가새> / 291
(5) 이옥봉의 詩 - <까치우는 아침> / 293
6. (1) 김구주의 詩 - <앵무곡(鸚鵡曲)> / 299
(2) 한용운의 詩 - <농산의 앵무새> / 301
(3) 이규보의 詩 - <鸚鵡(앵무)> / 303
7. (1) 유등공 (2) 유몽인 (3) 장유 - 정소(鼎小) / 309
8. (1) 김희연의 詩 - <바다 위 갈매기> / 314
(2) 김삿갓(김병연)의 詩 - <白鷗時(백구시) 갈매기> / 316
(3) 최치원의 詩 - <海鷗(바다 갈매기)> / 317
9. (1) 류경근의 詩 - <종달새> / 322
(2) 정지용의 詩 - <종달새> / 324
(3) 윤동주의 詩 - <종달새> / 326
(4) 이명환의 詩 - <샛별지자 종다리 떳다> / 330
10. (1) 정약용의 詩 - <봄날 꿩우는 소리><매조도(매화병제도)> / 335
(2) 이학규의 詩 - <치기사(雉機詞)> / 338
(3) 채제공의 詩 - <백치행> / 341
11. (1) 박효관의 詩 - <뉘라서 까마귀> / 347
(2) 이 직의 詩 - <오로시(烏鷺詩)> / 350
(3) 김락행의 詩 - <탐라오(耽羅烏)> / 352
(4) 김수장의 詩 - <가마귀 열 두 소리> / 355
12. 이양연의 詩 - <탁목(啄木)> / 358
13. (1) 김희연의 詩 - <평화의 상징 비둘기> / 363
(2) 정지용의 詩 - <비듥이> / 365
14. 조언유의 詩 - <호응(豪鷹)과 산진응(山陳鷹)> / 370
15. 박인로의 詩 - <대승음(戴勝吟)> / 374
16. 이 익의 詩 - <천아행(天鵝行)> / 378
17. 윤곤강의 詩 - <올빼미> / 384
18. 장 유의 詩 - <직박구리(稷粥)> / 392
19. 권 벽의 詩 - <공작새(詠日本國使臣所獻雙孔雀)> / 398
20. 유 숙의 詩 - <할미새(鶺鴒: 척령)> / 402
제3장 鳥類 옛시조 읊기, 鳥類 전래 동요, 鳥類 근대 동요 부르기
1. 鳥類 옛시조 읊기 / 406
2. 鳥類 전래 동요, 鳥類 근대 동요 부르기 / 412
제4장 새(鳥類)와 함께한 임금, 왕비 온 백성
1. 왕비가 키운 새들 이야기 / 422
2. 길조(吉鳥)와 흉조(凶鳥) 이야기 / 424
3. 남도민요 - 새타령 / 429
4. 굿거리장단 - 새타령 / 433
5. 경기소리 - 제비가(鷰子歌) / 437
6. 경기소리 - 鳥類 잡가(휘몰이 잡가) / 440
7. 전래 민요 / 441
8. 천연기념물 - 새(鳥類)에 관한 현황 / 443
9. 새(鳥類)에 관한 漢字語, 四字成語 / 445
10. 새(鳥類)에 관한 속담 / 450
11. 새(鳥類)에 관한 꿈 해몽 / 454
12. 한국의 國鳥 및 각국의 國鳥 / 466
13. 우리 땅 백두산, 독도에 서식하는 鳥類 / 470
14. 한라산국립공원 조류의 서식지 / 472
15. 텃새, 철새, 나그네새, 길잃은 새 / 483
16. 다른 새 둥지에 알 낳아 양육 떠넘기는 托卵鳥(Brood parasitism) / 489
17. 장끼전 / 493
18. 이동 철새의 이정표가 돼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민간인 통제구역 / 495
갈무리 글 / 499
참고문헌 / 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