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0036732
· 쪽수 : 369쪽
· 출판일 : 2023-12-15
책 소개
목차
< 서 론 > 모세오경의 아브라함 언약 연구
1장 아브라함의 언약
1절 서론, 아브라함 언약에 대한 서론적 이해
2절 여호와와 아브라함의 언약체결(창12-13장)
3절 ‘제사’를 통한 언약체결식(창14-15장)
4절 자손을 대표하여 체결한 ‘할례언약’(창16, 17장)
5절 ‘베라카(축복함)’로서의 반응을 촉구하는 ‘방문언약’(창18, 19장)
6절 언약의 완성과 승계로서의 ‘이삭 번제 언약’ (창20-22장)
7절 결론 : 아브라함 언약에 대한 요약적 이해
2장 아브라함 언약의 승계, 시내산 언약
1절 서론 : 시내산 언약의 서론적 이해
2절 ‘아브라함 언약’의 일환, ‘출애굽’(1-18장)
3절 시내산 언약의 제안과 합의 (출19장)
4절 언약체결의 현장에 나오신 여호와
5절 시내산 언약의 본문
6절 제사를 통한 ‘시내산 언약’의 체결 (출24장)
7절 ‘시내산 언약’의 성취로서의 ‘성전’ (출25-28장)
8절 언약의 위기와 극복 9절 시내산 언약의 결론
3장 시내산 언약의 속편, 모압 언약
1절 서 론 : 모압언약의 본질 이해
2절 언약의 전문 (1:1-4)
3절 역사적 서언 (1:5-3:29)
4절 언약 제안(4:1-44) : “이스라엘 앞에 둔 율법”
5절 언약의 내용: ‘두 번째 율법’에 대한 설명과 해설 (4:45-11:32)
6절 구체적인 언약의 내용: 구체적인 율법 설명 (12:1-26:19)
7절 모압 언약의 목적 (신 26:17-19)
8절 모압 언약 체결예식 (27:1-10)
9절 모압언약의 마음의 할례에 대한 예언 (신29:1-30:20)
10절 결 론 : 모압언약이 갖는 의미
< 결 론 > 각 언약에 나타난 신학적 이슈들
저자소개
책속에서
기독교 신앙은 아브라함의 언약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 예수께서는 이 언약을 성취하기 위해 오셨다. 기독교 신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브라함의 언약을 반드시 이해하여야 한다. 이 언약의 성취자로서의 예수 그리스도이시기 때문에, 모든 기독교인들은 바로 이 아브라함의 언약에 그 신앙의 기반을 두어야 한다. 그런데, 놀라웁게도 아브라함의 언약은 우리를 하나님께 바치는 행위로 그 방향을 설정하고 있다. 그것이 바로 이삭 번제의 사건이었다.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도 그것의 일환으로 십자가를 자신 것이다. 이 아브라함의 언약은 시내산언약을 통해서 고스란히 이스라엘 민족에게 승계되며, 그것은 이스라엘의 제사제도로 자리잡는다. 따라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구체적인 모습은 시내산 언약의 제사제도 속에 있다. 이것은 출애굽기를 통해서 잘 설명이 되고 있다. 모세는 이 시내산 언약에 미흡한 것이 존재하였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것을 보완하는 것이 신명기의 모압언약이었다. 이 모압언약은 장차 올 '그 선지자'가 각 사람에게 마음의 할례를 부어서 그 언약을 성취한다고 결론을 맺고 있다. 이렇게 아브라함의 언약-시내산언약-모압언약이 곧 모세오경의 언약신학이다. 그리고 이것이 고스란히 예수 그리스도에게 이전되는 것이다. 기독교 신학은 이렇게 아브라함 언약의 발전과정을 말하고 있다. 기독교 신앙,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이렇게 언약을 기반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 언약이 우리 몸에 기도로서 체득되어 우리의 삶에 반영되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