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디자인이야기/디자이너/디자인 실기
· ISBN : 9791160036824
· 쪽수 : 153쪽
· 출판일 : 2024-01-05
책 소개
목차
해양교통 시각물과 커뮤니케이션 〈역사와 유래〉 선박의 시각물--------10
항로표지--------------13
〈안전디자인으로서 커뮤니케이션〉 공공디자인으로서 안전디자인-------------------------------20
바다의 안전디자인으로서 항로표지의 커뮤니케이션-------27
조형성 〈해양교통시각물의 조형성〉 조형성, 색상과 형태--------------- 32
〈색 상〉 검은색 ----------------------------- 37
빨간색 -----------------------------39
녹 색 -----------------------------43
노란색 ------------------------------46
2가지 색상의 사용------------------49
〈형 태〉 구------------------------------------69
원뿔---------------------------------71
원기둥-------------------------------75
그 외 특이한 모양들------------ ---78
기호학과 의미화 〈기호학을 통한 의미화 과정〉 퍼스의 기호학 ----------------------90
〈항로표지〉 항로표지의 표시방법----------------94
측방표지------------------------------96
고립장애 표지------------------------107
안전수역 표지------------------------109
신위험물 표지------------------------111
특수 표지-----------------------------113
광파 표지-----------------------------115
〈선박의 시각물〉 선박의 주간과 야간 시각물---------119
항해중인 동력선---------------------120
물에 잠긴 물체를 예인하는 경우----122
터그보트가 배를 예인하는 경우-----124
범선-----------------------------------126
동력식 범선---------------------------127
트롤어선------------------------------128
일반어선------------------------------131
폭발물 작업---------------------------133
이동이 제한되는 경우----------------135
정박(앵커링)한 선박------------------145
좌초선박------------------------------146
〈바다의 인공시설〉 발전시설------------------------------148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도로교통과 산업안전에서의 안전디자인은 공통적으로 빨간색과 노란색을 사용하고, 따로 전문적인 교육을 받지 않아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그림과 적절한 문자의 사용으로 경고와 금지, 행동에 대해 전달하고 있다.
그러나 바다에서 사용되는 부표의 경우 운항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들이더라도 숙지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해양안전심판원 자료에 따르면 항로표지의 가독성과 이해부족으로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음을 고려할 때 표지가 전하는 내용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항로표지는 여러 가지 색상과 특별한 모양을 혼용하고 있어서 이해하기 위해서는 노력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세로방향으로 나타난 빨간색과 흰색의 부표는 위에 구형물체가 있고 어떤 경우에는 가로 방향으로 빨간색과 검은색을 사용하면서 위에 구형물체 2개가 나란히 달려있다.
또한, 노란색만 사용하고 상부에 X표시를 한 경우도 있다.
산업안전과 도로교통에서 사용되는 표지의 빨간색과 흰색의 경고, 금지의 성질과 달리 실제 드러내는 의미는 안전한 수역을 의미하는 경우도 있다.
빨간색-흰색이 안전한 구역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려면 의미화 과정을 통해 찾아볼 필요가 있다.
검은색과 빨간색을 사용한 경우 바다 속의 장애물을 표시하고 있어 색상의 사용은 도로교통과 유사하지만 나란히 붙어있는 2개의 구형모양은 그 의미를 떠올리기 어렵다. 특히 픽토그램이나 문자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표지를 눈으로 봐도 어떤 상황인지 바로 이해할 수 없다.
결국 의미하는 것을 숙지하기 위한 교육과 훈련이 필요한 것이 특징이며 표지의 의미를 숙지하는 과정은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의미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중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