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91160160840
· 쪽수 : 64쪽
· 출판일 : 2022-05-08
책 소개
목차
1. 아미타경 종요 4
2. 사경의 공덕 10
3. 사경할 때 유의사항 14
4. 불설아미타경 사경 18
5. 연지대사 왕생극락 발원문 사경 54
6. 회향문 62
저자소개
책속에서
『아미타경』의 강종綱宗은 무엇입니까? 우익蕅益대사께서 가장 잘 말씀하셨습니다. 근대 정종의 대덕이신 인광印光대사께서는 우익대사께서 쓰신 『미타요해彌陀要解』에 대해서, “『요해』는 아미타경의 모든 주해 중에서 가장 훌륭한 것으로 석가모니부처님께서 직접 오셔서 주해하셔도 이를 뛰어넘을 수 없을 것이다.” 말씀하셨습니다.
소본(아미타경)의 종요는 신원지명信願持名, 즉 믿음과 발원으로 명호를 집지하는 것입니다. 소본을 연구할 때 우리는 우익대사를 따라갈 것입니다. 우익대사께서는 소본의 강종은 「신원지명信願持名」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믿음ㆍ발원ㆍ지명행(信願行)을 삼자량三資糧이라고 합니다. 집을 나서서 여행하려면 돈을 준비해야 하는데, 이것이 노잣돈(資)입니다. 식권을 휴대해야 하는데, 이것이 식량(糧)입니다. 휴대가 간편한 건조식품은 훨씬 더 확실한 식량입니다. 믿음ㆍ발원ㆍ지명행, 이 셋은 생사의 바다를 건너는데 있어 없어서는 안 되는 자량입니다.
※ 사경할 때 유의 사항
1. 사경하기 전에는 과식을 하지 않습니다. 배불리 먹으면 집중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만사가 귀찮아지고 졸음이 오게 됩니다.
2. 세수를 하고 양치질을 합니다. 그리고 깨끗하고 단정한 옷으로 갈아입습니다. 잠옷이나 체육복, 반바지 등 불경(不敬)한 옷차림은 하지 않습니다.
3. 방과 책상 주변을 깨끗이 치우고, 핸드폰이나 TV 등은 끕니다.
4. 사경용 전용 펜을 준비하여 앞으로 그 펜만 계속 사용합니다.
5. 자세를 바르게 한 후 몇 분간 입정(入定)을 합니다.
6. 사경하기 전에 정구업진언(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을 세 번 낭독한 후, 나무상주시방불ㆍ나무상주시방법ㆍ나무상주시방승을 역시 세 번 합니다. 그런 후 불상이나 불경을 향해 절을 세 번 올립니다.
7. 이제 쓰기 시작합니다. 바른 자세로 앉아 한 자 한 자 또박또박 정성을 들여 써 나갑니다. 쓰는 것을 눈으로 보고 마음속 또는 입으로 한 번 읽습니다.
8. 하루 분량을 마치기 전에 중간에 화장실에 가거나 전화통화를 하거나 대화를 하지 않습니다.
9. 하루 분량을 다 쓴 후 나무아미타불ㆍ나무관세음보살ㆍ나무대세지보살을 세 번 하고 회향게(원이차공덕 보급어일체 아등여중생 당생극락국 동견무량수 개공성불도)를 세 번 봉독합니다.
10. 자기가 쓴 사경집에 절을 세 번 올립니다. 이로써 모든 것이 끝납니다.
11. 100일 또는 한 달을 정해서 하는 경우 이 기간 동안엔 하루도 빠짐없이 사경합니다.
12. 다 쓴 사경집은 가정에서는 가장 청정한 장소에 봉안하고 인연이 닿으면 절의 탑이나 불상(佛像)의 복장(腹藏)에 봉안합니다. 함부로 불에 태우거나 집에 방치해서는 안 됩니다. 평생토록 집에 두고 있어도 좋고 남에게 선물해도 좋습니다.
13. 다 쓴 후 회향문에 자신의 발원이나 회향하려는 내용을 직접 써 넣습니다.
14. 사경할 때에는 참회하는 마음, 불보살님과 모든 존재에게 감사하는 마음, 극락에 왕생하고자 하는 마음을 강하게 품습니다.
15. 다른 분들에게도 부처님 명호나 정토경전 사경하는 것을 많이 권하시길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본 사경집을 많은 분들에게 선물하십시오. 교도소나 군부대, 요양원, 학교 등지에 법보시를 하시면 불가사의한 공덕을 짓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