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창세기와 빅뱅 우주론이 만날 때 : 반목할까? 화목할까?

창세기와 빅뱅 우주론이 만날 때 : 반목할까? 화목할까?

김강수 (지은이)
렛츠북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창세기와 빅뱅 우주론이 만날 때 : 반목할까? 화목할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창세기와 빅뱅 우주론이 만날 때 : 반목할까? 화목할까?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천문학 > 우주과학
· ISBN : 9791160542813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19-05-27

책 소개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오랜 세월 계속된 성경과 과학의 충돌. 저자는 ‘창세기’와 ‘빅뱅 우주론’이 꼭 지금까지와 같이 서로 반목해야만 하는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목차

머리말 16

제1부 구약성서 저술

1장 저술의 배경

제1절 저술의 주제 39

제2절 이스라엘 배경 40
1. 정사(正史)란? 40
2. 이스라엘의 역사 45

제3절 메소포타미아 배경 53
1. 약사 54
2. 숭배 신 55
3. 유적지 58
4. 유적건물 62
5. 필적유물 64
6. 문학 작품 69

제4절 가나안과 우가리트 배경 84
1. 가나안의 약사 84
2. 숭배신 85
3. 유적지 87
4. 우가리트 문자와 해독 89
5. 우가리트 문헌 90

제5절 이집트 배경 96
1. 이집트의 약사 97
2. 종교 98

2장 근동 문화와 이스라엘 문화의 비교

제1절 종교 104
1. 우주 창조 관념 104
2. 신들의 속성 109
3. 구약의 신 - 다신교와 일신교, 엘과 야훼 110

제2절 문체의 유사점 112
1. 문장 양식 113
2. 신의 묘사 114

3장 오경의 저술

제1절 저술의 주제 117

제2절 배경 119
1. 역사 119
2. 자료의 종류 - 구전과 성문 119

제3절 저자 121
1. 모세 설 121
2. 문헌 가설 123
3. 문헌 가설에 대한 교회의 반응 127

4장 창세기 저술

제1절 저자 131

제2절 요점 132

제3절 주제 134
1. 1-11:29 135
2. 11:30-25:18 136
3. 25:19-36 136
4. 37-50 137

제4절 은폐된 주제 138
1. 6일간의 창조와 7일째의 휴식 138
2. 신들의 집회 139
3. 대홍수 141
4. 바벨탑 151
5. 초고령자 152
6. 모세의 바닷물 가름 154

5장 구약 원본의 대치판

제1절 그리스어 구약 158
1. 칠십인역 구약의 기원 159

제2절 라틴어 구약 161
1. 고대 라틴어 성서 161

제3절 히브리어 구약 165
1. 마소라 원본 165
2. 현존하는 히브리어 구약 문서 166
3. 현대 히브리어 구약 168

6장 현대 번역판

제1절 한국어판 169
1. 개신교 ‘개역개정판’ 169
2. 공동번역성서 169
3. 가톨릭교 170

제2절 영어판 171
1. 새 국제성경(New International Version) 171
2. 킹 제임스성경(King James Version, 또는 흠정판, The Authorized Version) 172
3. 새 생활 번역 성경(New Living Translation) 172
4. 새 미국 성경(The New American Bible) 173
5. 예루살렘 성경(Jerusalem Bible) 173

제2부 신앙과 이성의 관계

1장 신학자들의 견해

제1절 고대 시대 179
1. 성 바오로 179
2. 성 요한 180
3. 성 아우스팅(354~430) 180

제2절 중세기~19세기 184
1. 성 토마스 아퀴나스 184
2. 종교 개혁 190
3. 마틴 루터 197
4. 장 칼뱅 202
5. 임마누엘 칸트 208

제3절 20세기 개신교 신학자 214
1. 칼 바르트 214
2. 루돌프 불트만 218

제4절 20세기 가톨릭교 222
1. 현대 바티칸 공의회의 신학 222
2. 한스 폰 발타자르 225
3. 카롤 보이티와(Karol Wojtyla, 차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1920~2005) 234
4. 요셉 라칭어(차후 교황 베네딕트 16세) 240

제5절 한국 순교자들의 신앙과 이성 245

제6절 결론 248

2장 교회와 과학의 관계

제1절 역사적 관계 251
1. 교부 시대 251
2. 중세기 253
3. 근대 254

제2절 현대의 관계 255
1. 관계의 종류 255
2. 교회와 진화론 257
3. 교회와 빅뱅 우주론 259

제3절 가톨릭교회와 현대 과학 260
1. 가톨릭교회와 진화론 260
2. 가톨릭교회와 빅뱅 우주론 263

제3부 현대 과학

1장 탄생의 배경

제1절 역사적 배경 269

제2절 종교적 배경 271

2장 특징

제1절 기본적 특징 275

제2절 부수적 특징 278

제3절 우발적 특징 279

3장 현대 물리학 이론

제1절 태양계와 지구 생성의 이론 283
1. 태양 283
2. 지구 288

제2절 태양 중심설 293
1. 니콜라스 코페르니쿠스(Nicholas Copernicus, 1473~1543) 294
2. 요하네스 케플러(Johannes Kepler, 1571~1630) 299

제3절 만유인력(중력) 법칙 302
1. 갈릴레오의 중력 법칙 303
2. 뉴턴의 중력 법칙 308
3. 아인슈타인의 중력 법칙 312

제4절 전자기학 법칙 313

제5절 특수 상대성 이론 317

제6절 일반 상대성 이론 319

제7절 양자 역학 법칙 324

제8절 양자 전자기학 이론 331
1. 개발 계기 331
2. 파인만의 약전과 업적 332
3. 이론 개발 336

제4부 빅뱅 우주론

1장 주창의 동기

제1절 우주 팽창 수식 345
1. 아인슈타인의 수식 345
2. 프리드만의 수식과 프리드만 346
3. 르메트르의 수식과 르메트르 348
4. 가모프의 모델과 가모프 351

제2절 우주 팽창 관측 354
1. 은하의 적색 이동 관측과 허블 354
2. 우주학적 적색 이동 357

제3절 우주 팽창이 없는 적색 이동 358
1. 도플러 적색 이동 358
2. 정상(定常) 우주론 359
3. ‘지친(Tired)’ 광선 361

2장 요점

제1절 우주의 시작 363
1. 폭발 363
2. 최초 우주의 크기 364
3. 우주의 팽창 364

제2절 우주의 형성 365
1. 가벼운 원소와 무거운 원소 365
2. 우주 배경 복사선 367

제3절 관측적 증거 368
1. 우주의 팽창 368
2. 우주 원소의 양 측정 368
3. 오래된 별의 나이 370
4. 우주 배경 복사선 371
5. 우주 배경 복사선의 비등방성 377

제4절 우주의 현 상태 382
1. 구성 성분 382
2. 팽창 속도와 나이 387
3. 우주의 형태 389

제5절 문제점과 해결책 393
1. 편평 문제 394
2. 지평선 문제 395
3. 우주의 급팽창 396

제6절 미지 사항 397
1. 암흑 물질(Dark Matter) 397
2. 암흑 에너지(Dark Energy) 399
3. 우주 시작 때의 상태 ? 빅뱅 특이점 401

제7절 결론 404

제5부 창세기와 빅뱅 우주론

1장 두 ‘저서’의 차이점과 유사점

제1절 저술 목적 409
1. 창세기 409
2. 빅뱅 우주론 410

제2절 주제 410
1. 창세기 410
2. 빅뱅 우주론 411

제3절 유효 기간 412
1. 창세기 412
2. 빅뱅 우주론 412

2장 두 ‘저서’의 관계

제1절 반목 : 창세기를 글자 그대로 해석할 때 413
1. 창조 전에 땅과 심연이 존재 413
2. 태양이 생기기 전에 낮과 밤이 있었다 413
3. 태양이 생기기 전에 식물이 자랐다 414
4. 태양과 달과 별이 하루 만에 창조되었다 414
5. 온 우주가 6일 만에 창조되었다 414

제2절 화목 : 창세기를 주제적으로 이해할 때 414
1. 우주에 시작(始作)이 존재 415
2. 시간에 시작(始作)이 존재 416
3. 빛에 시작(始作)이 존재 418
4. 우주의 생성 과정이 질서적 419
5. 인간의 우주 이해 가능성 420

3장 창세기와 빅뱅 우주론의 조화

저자소개

김강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중고등학교를 6년 우등으로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물리학과를 졸업한 후 ROTC를 마치고 도미하여 캘리포니아주립대학(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에서 핵물리학과 고체물리를 공부하였으며 번트 마티아스 지도 교수 밑에서 초전도체를 연구하면서 자기성 불순물을 가진 초전도체의 특성을 발견하고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다음에 남가주대학(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전기 광학을 연구하면서 전기공학 석사학위를 받고 연구 조교수로 지냈다. 그후 보잉회사(The Boeing Company)로 옮겨 우주 관측 및 정찰용망원경 디자인과 제조에 주력하면서 선임 연구원, 책임 연구원, 전기광학과 과장 및 인공 위성 제조 사업 지배인 직책을 맡았으며 30년을 일했다. 핵물리학과 천체 우주학의 밀접한 관련성에 자극을 받아 천체우주학에 흥미를 가지고 망원경, 광학, 핵물리학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10년 이상을 이것의 학습에 바쳤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