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60682731
· 쪽수 : 343쪽
· 출판일 : 2019-05-15
책 소개
목차
소개의 글
1부: 중앙아시아
포스트소비에트 시기 중앙아시아에서의 한인들 - 새로운 도전과 행동 모델 _한 발레리
1. 소연방의 해체: 중앙아시아에서의 새로운 도전
2. 소비에트 이후 우즈베키스탄에서의 한인들
3. 언어 상황
4. 적응과 사회적 지위
5. 고려인 운동. 자신의 정체성 탐색
6. 고려인 직업 구조의 변화와 그 변화의 균형적 발전의 문제
카자흐스탄 한인의 과거와 현재 _명 드미트리
1. 들어가며
2. 소련해체 이후 카자흐스탄 국내정치
3. 문화 다양성의 통합
4. 문화융합
5. 한인의 민족적 근간에 대해
6. 카자흐스탄 언어정책
7. 한국과 카자흐스탄 한인
8. 결론
2부: 러시아
러시아 고려인의 현재와 미래 _송 잔나
1. 서론: 러시아의 현재와 미래
2. 한국-러시아-한국: 이주 과정 150주년
3.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인과 대한민국 출신의 동포
4. 선택의 문제에 직면한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인 청년: 러시아 혹은 한국?
5. 결론
현대 고려인은 누구인가? _보이코
연해주와 사할린 주 한인의 현재와 미래 (1992년~2016년)_트로야코바
1. 머리말
2. 한인들의 러시아 극동지역으로의 귀환
3. 연해주 지역 러시아 한인 단체
4. 사할린 주의 러시아 한인 단체
5. 결론
구술을 통해 본 사할린 한인의 역사와 삶 _홍웅호
1. 머리말
2. 사할린 한인들의 고향과 사할린 입국 형태
3. 조선학교, 그리고 북한에 간 사람들
4. 국적 취득과 대학 입학
5. 사할린에서의 생활
6. 맺음말
3부: 세계 속의 고려사람
세계 각지로 재이산한 ‘고려사람’ _윤상원
1. 머리말
2. 상징적인 예 - 빅토리야 김과 디나 리의 이야기
3. 캐나다 고려인협회와 고려인 디아스포라
4.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