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60682694
· 쪽수 : 435쪽
· 출판일 : 2019-05-15
책 소개
목차
소개의 글
1부: 이주(1863~1937) 시기 제정러시아와 소련의 한인정책과 대응
제정러시아의 원동정책과 한인의 대응 _반병률
1. 머리말
2. 제정러시아 시기 원동정책 담당자와 정책의 변화
3. 연해주 한인마을의 형성과 제정러시아의 대응
4. 국제정세의 변화에 따른 원동정책의 변화와 한인의 대응
5. 맺음말
민족자결의 원칙과 소비에트러시아 민족정책의 변화 _홍웅호
1. 머리말
2. 소비에트러시아에서의 민족자결의 원칙
3. 소비에트러시아의 민족정책 변화
4. 맺음말
1937년 강제이주를 둘러싼 소련의 변경정책과 한인정책 _윤상원
1. 들어가며
2. 근본적 문제-소련의 민족정책 변화와 한인정책
3. 원인(遠因)-농업집단화와 연해주 한인
4. 근인(近因)-소련의 변경정책과 연해주 한인
5. 나가면서-꼬리가 흔들린다고 몸통을 베다
1910~1930년대 고려인과 러시아 : 서시베리아에서 공동체의 삶과 운명 _보이코
1. 머리말
2. 러시아의 아시아 지역으로 한인의 이주 원인과 특수성, 옴스크-1925년까지 서시베리아 한인의 수도
3. 1920년대 말에서 1930년대 한인들의 서시베리아 이주
4. 알타이의 한인들
5. 맺음말
2부: 정착(1937~1991) 시기 소련의 한인정책과 대응
중앙아시아 각 공화국의 한인에 대한 정책과 태도 _명 드미트리
1. 서론
2. 극동으로부터 중앙아시아로의 한인이주 역사
3. 소련의 사회-정치적 상황에서 한인의 위치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부흥에 소비에트 한인의 참여
5. 결론
러시아의 민족정책 : 역사적, 정치적, 법적 측면 _체시코
1. 러시아 제국의 민족 정책
2. 러시아 제국에서 포스트소비에트 러시아까지
3. 소련의 민족 정책 결과
4. «페레스트로이카» 시기의 민족 «동원»
5. «페레스트로이카» 시기의 민족 문제와 민족 정책
3부: 재이산(1991~현재) 시기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각국의 한인정책과 대응
한인의 극동 귀환과 러시아 중앙정부 및 지방당국의 정책과 태도 _트로야코바
1. 역사적 양상들
2. 동방에서의 변화와 새로운 도전들
3. 결론
오늘날 중앙아시아 각국의 민족정책과 한인의 대응 _한 발레리
1. 민족정책으로서의 민족중심주의
2. 민족 이주
3. 노동 분야에서의 변화
4. 고려인 조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