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60682700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19-05-15
책 소개
목차
소개의 글
1부: 이주(1863~1937) 시기 러시아지역 한인의 이산과 정주
한인의 극동 이주와 한인마을의 형성: 수청(水淸) 지역을 중심으로 _반병률
1. 머리말
2. 제정러시아 시기
3. 러시아혁명 이후 시기
4. 맺음말
러시아혁명과 연해주해방전쟁 그리고 한인 _윤상원
1. 머리말
2. 연해주해방전쟁과 대한의용군
3. 한인부대의 활약과 연해주해방전쟁의 종결
4. 나오며
내전 후 연해주에서 사회주의 건설과 한인 _윤상원
1. 머리말
2. 내전의 종결과 한인 빨치산부대의 해산
3. 연해주 한인들의 사회주의 건설로의 전화
4. 내전 후 연해주 한인사회 정치지형의 변화
5. 맺음말
2부: 정착(1937~1991) 시기 러시아지역 한인의 이산과 정주
강제이주 직후 카자흐스탄 고려인 사회 _홍웅호
1. 머리말
2. 콜호즈
3. 학교
4. 고려극장
5. 문화
6. 맺음말
소련 사회주의 건설에 있어 중앙아시아 고려인 콜호즈들의 역할 (1937~1991) _명 드미트리
1. 들어가는 말
2.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콜호즈의 발전
3. 카자흐스탄의 경제 발전에서 고려인 콜호즈의 역할
4. 노동군대 내 고려인들
5. 생존수단으로써의 고려인 ‘고본질’
6. 결론
소련 한인 가족의 사회화 (1937~1991) _송 잔나
1. 들어가는 말
2. 소련에서의 한인가족의 사회화 (1937~1938)
3. 결론
3부: 재이산(1991~현재) 시기 러시아지역 한인의 이산과 정주
독립국가연합에서 고려인의 사회적 지위와 역할 : 우즈베키스탄 고려인을 중심으로 _한 발레리
1. 들어가며
2. 1989년 경제부문에서 우즈베키스탄 고려인의 현황
3. 고려인이 우즈베키스탄 농업 발전에 끼친 공헌
4. 고려인이 공업, 금융업 및 다른 경제 부문의 발전에 기여한 공헌
5. 학문, 교육, 문화
6. 스포츠
7. 국가권력 기관
8. 선거에 앞서
오늘날 극동 러시아의 한인 디아스포라: 발전 상황과 경향 _트로야코바
1. 들어가며
2. 한인 디아스포라의 특징
3. 용어의 선택 : 러시아 한인 또는 러시아어권 한인
4. 연해주 언론 보도에서의 한인 디아스포라
5. 결론
20~21세기 아시아 방면 러시아의 한인: 이주와 사회·문화적 위상의 특수성(서시베리아, 크라스노야르 변방) _보이코
1. 알타이의 한인들
2. 노보시비르스크의 한인들
3. 톰스크의 한인들
4. 크라스노야르스크의 한인들
5. 결론
러시아의 새로운 구상 속의 한인 : 정치, 이념, 실천 _부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