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화민국 리포트 1990-1993

중화민국 리포트 1990-1993

(대만단교회고)

조희용 (지은이)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1개 15,4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화민국 리포트 1990-199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화민국 리포트 1990-1993 (대만단교회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60687019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22-03-25

책 소개

2015년 퇴직하고 지난 36년간 외교관 생활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1990년 부터 3년간 중화민국에서 외교관으로 근무하면서 겪은 경험을 중심으로 당시 상황을 정리한 것이다.

목차

머리말

서론

제1부 중국 업무와의 인연
1. 중국 업무 경험
2. 외무부 동북아2과 근무

제2부 주중화민국대사관 근무(1990년 2월 - 1991년 8월)
1. 한국과 중화민국 관계 개요 (1990년 현재)
2. 주중화민국대사관 부임
3. 부임 초기
1) 부임 초기 인상
2) 중화민국의 역사적 전환기
3) 대사관 업무 개시
4) 1990년도 재외공관장회의
4. 리덩후이(李登煇) 총통 취임
1) 총통 취임식 경축사절 파견 요청
2) 제2차 서울·타이베이 포럼 개최
3) 리덩후이 총통 취임
5. 중화민국의 북방정책에 대한 관심 고조
1) 첸푸(錢復) 외교부장, 한소 정상회담 평가
2) 사우디아라비아, 중화민국과 단교
3) 북방정책 추진 가속화
4) 첸푸 외교부장, 한철수 대사 면담
5) 중화민국, 북방정책의 영향에 주목 시작
6. 양국 인사 교류
1) 한국 국회의원 방문
2) 한국 건설부장관 방문
3) 제23차 한중 경제각료회담 개최
4) 진수지(金樹基) 주한대사 부임
7. 양국 관계 강화방안 각각 수립
1) 한중 민간무역사무소 설치 합의 (10월 20일)
2) 한국·중화민국, 양국 관계 강화방안 각각 수립
3) 1990년 말 양국 국내정세
8. 1991년 1월 - 5월 동향
1) 양국 고위인사 교류
2) 1991년도 외무부 업무보고
3) 이시영 외무부 외정실장 방문
4) 이상옥 외무장관, 첸푸 외교부장 공개 발언
5) 이상옥 외무장관, 중국 류화츄(劉華秋) 외교부부장 면담
6) 1991년도 재외공관장회의
7) 장샤오옌(章孝嚴) 외교차장 비공식 방한
8) 대만 언론의 한국에 대한 부정적 보도 증가
9. 남북한 유엔 동시가입 진전
1) 중국의 대북한 외교 변화
2) 양국 외교당국 간 협의
3) 이시영 외무부 외정실장 재방문
4) 한중 관계 개선에 따른 대중화민국 대응
10. 양국 인사 교류
1) 제24차 한중 경제각료회담 개최
2) 한철수 대사 이임
3) 이상옥 외무장관, 진수지 주한대사 면담

제3부 주중화민국대사관 근무(1991년 8월 - 1992년 8월)
1. 1991년 8월 - 12월 동향
1) 박노영 대사 부임
2) 첫 번째 한중 외무장관 회담 개최
3) 국경일 리셉션 개최 및 쌍십절 특사 방문
4) APEC 각료회의 개최 전후 동향
5) 중화민국 정부 대응
6) 중국의 대대만 선전 및 심리전
7) 1991년 말 중화민국 정세
8) 1991년 말 한반도 주변정세 및 남북한 관계
9) 중국, 한국과 수교교섭 개시 방침 결정
2. 1992년 1월 - 4월 12일 동향
1) 한국 언론, 한중 수교 전망 보도
2) 노태우 대통령 연두기자회견
3) 김종인 청와대경제수석 방문 (1월 26일-29일)
4) 중화민국, 라트비아와 영사관계 수립
5) 노태우 대통령, 중화민국 관계 대응 지시
6) 민관식 대통령특사 방문 (2월 20일-23일)
7) 중화민국, 한국과 외교관계 유지 노력
8) 1992년도 재외공관장회의
9) 서영택 건설부장관 방문
10) 장옌스(蔣彦士) 총통특사 방한 협의
3. 1992년 4월 13일 - 8월 9일 동향
1) 이상옥 외무장관 방중
2) 양안 관계
3) 장옌스 총통특사 방한 (5월 6일-9일)
4) 한중 수교교섭 진전에 따른 한·중화민국 관계 동향
5) 중화민국, 한중 관계에 대한 경계심 고조
6) 대사관, 일상 업무 수행
7) 첸푸 외교부장, 한중 관계 개선 동향 오판
8) 황다저우(黃大洲) 타이베이시장, 외교부 기자단 방한
9) 중화민국·북한 관계
10) 한중 수교교섭 진전과 통보 문제
11) 양안 간 대립과 교류
4. 1992년 8월 10일 - 8월 24일 동향
1) 제25차 한·중화민국 경제각료회담 연기 (8월 10일)
2) 중화민국 외교백서 초안 보도 (8월 17일)
3) 이상옥 외무장관, 진수지 주한대사 1차 면담 (8월 18일)
4) 장샤오옌 외교차장, 박노영 대사 1차 면담 (8월 19일)
5) 장샤오옌 외교차장, 박노영 대사 2차 면담 (8월 20일)
6) 이상옥 외무장관, 진수지 주한대사 2차 면담 (8월 20일)
7) 장샤오옌 외교차장, 박노영 대사 3차 면담 (8월 21일)
8) 이상옥 외무장관, 진수지 주한대사 3차 면담 (8월 21일)
9) 첸푸 외교부장, 박노영 대사 면담 (8월 22일)
10) 첸푸 외교부장, 단교 발표 및 기자회견 (8월 22일)
11) 대사관, 단교 후속 조치 시작
12) 단교 당일 상황 (8월 24일)

제4부 단교 이후(1992년 8월 25일 - 1993년 2월)
1. 박노영 대사 귀국
2. 민병규 공사 체제 공관 운영 시작
3. 민주당 사절단 방문 (8월 26일 - 30일)
4. 비공식관계 수립 협의 개시
5. 고위사절단 방문 (9월 15일 - 17일)
6. 양국, 각각 대사관 철수 (9월 23일)
7. 한국 국회 APPU 대표단 방문
8. 예비교섭단 방문 (10월 19일 - 21일)
9. 대만 관계 대응 방향 건의
10. 한국 대선 전후 양국 동향
11. 새로운 공관사무실 입주 (12월 23일)
12. 김달중 교수 방문
13. 대만 국내동향
14. 재한화교 대만기 게양 문제
15. 이임 (1993년 2월 18일)

제5부 한·대만 간 비공식관계 수립(1993년 7월)
1. 양국 간 교섭 경위
2. 합의 평가
3. 비공식관계 수립 후 양국 관계

제6부 단교를 둘러싼 주요 쟁점 검토
1. 한중 수교 협상 시 ‘하나의 중국’ 원칙 협의
2. 중화민국에의 통보 과정
1) 한중 수교교섭 중 합의사항
2) 단교 통보 사례: 일본, 미국, 사우디아라비아
3) 중국의 대북한 통보
4) 한국의 대중화민국 통보
3. 대안 검토
1) 특사 파견
2) 대통령 친서 전달
3) 단교 전 미래관계 교섭 개시

결론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소개

조희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5년 서울에서 출생하고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였다. 1979년부터 2015년까지 36년간 외무공무원으로 근무하였다. 1980~1990년대에는 주로 일본, 중국 업무를 담당하였다. 일본, 중화민국(대만), 중국(상해, 북경)에서 근무하였다. 중화민국과의 단교, 상해 총영사관 창설, 외교부 중국 담당과장 등 업무를 수행하였다. 2000년대 들어서 미국 참사관, 필리핀 공사, 고려대 외교겸임교수, 동아시아 지역협력대사를 거쳐 외교부 대변인을 지냈다. 2008년부터 스웨덴 겸 라트비아(비상주) 대사, 2012 서울핵안보정상회의 준비기획단 부단장, 캐나다 대사를 역임한 후 2015년 퇴직하였다. 퇴직 후에는 국립외교원 일본연구센터 소장, 일본 리츠메이칸대학 객원교수로 활동하였다. 최근에는 외교사와 국제관계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는 2022년 『대만 단교 회고: 중화민국 리포트 1990-1993』, 2023년 『해적협상노트 2006: 동원호 피랍사건전모』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