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61262406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20-01-30
목차
제1편 정책학이란 무엇인가?
제1장 정책학이란 무엇인가?
1. 정책이란 무엇인가?
1) 어의적 의미의 정책
2) 이론적이고 인식적인 의미의 정책
2. 정책학이란 무엇인가?
1) 정책학의 정의
2) 정책학의 학문적 특성
3) 정책학의 학문적 정체성
제2장 정책학의 방법론
1. 정치 중심 접근방법
1) 군자론 접근방법
2) 엘리트와 집단이론 접근방법
2. 체제접근방법
3. 제도접근방법
4. 정책과정 접근방법
5. 정책분석 접근방법
6. 정책사례 접근방법
제2편 정책학사와 정책사상
제1장 미국 중심의 정책학사
1. 초기(1950~1970년대)의 정책학
1) Harold D. Lasswell의 정책학
2) 정책학운동
3) 정책과정론의 정책학
4) 정책분석론의 정책학
5) 정책학의 독자성과 정책학 교육의 발전
2. 1980년대 이후의 다양한 정책이론
3. 정책학 교육제도
제2장 한국의 정책학사
1. 정책학의 출발
1) 정치학에서 정책학
2) 행정학에서 정책학
3) 기획론이나 의사결정론 등에서 정책학
4) 기타 분야에서 정책학
2. 정책학자군 중심의 정책학
3. 아시아 국가의 정책학사
1) 일본의 정책학사
2) 중국의 정책학사
제3장 정책사상
1. 정책사상의 정의
1) 철학적 사고
2) 이론적 사고
3) 체계적 사고
2. 정책사상사 및 정책철학과의 차이점
1) 정책사상사와의 차이점
2) 정책철학과의 차이점
3. 정책사상의 중요성
1) 정책학의 학문적 중요성
2) 정책의 현실적 중요성
3) 정책사상 연구경향에서 보는 중요성
4. 정책사상의 유형
1) 국가주의
2) 선도(善導)주의
3) 균형주의
4) 현실주의
5) 물아(物我)주의
제3편 정책학의 기초이론
제1장 정책과정론
1. 정책과정 단계
2. 정책의제의 형성
1) 정책의제란 무엇인가?
2) 정책의제 형성전략
3) 정책의제 형성과정
3. 정책대안의 형성과 결정
4. 정책집행
정책사례: 아프리카에 모기장을 보냅시다!
1) 정책집행의 특징
2) 정책집행의 기초이론
3) 정책집행자의 유형
5. 정책평가
1) 정책평가의 특징
2) 정책평가의 유형
3) 정책평가의 기준
4) 정책평가에서 발생하는 현실적 문제점
6. 정책종결
1) 정책종결의 특징
2) 정책종결의 전략과 방법
7. 정책변동이론
1) 정책변동의 특징
2) 정책변동의 원인
3) 정책변동의 유형
제2장 정책분석론
1. 정책분석이란 무엇인가?
2. 정책분석 과정
3. 정책대안의 탐색과 결정이론
1) 합리모형
2) 점증모형
3) 혼합-스캔모형
4) 만족모형
5) 다차원 정책결정모형
6) 쓰레기통 모형
7) 기타의 정책결정모형
4. 정책분석의 방법
1) 정책논증
2) 미래예측
3) 비용-편익 분석
4) 의사결정나무
5) 공공선택론
6) 정책실험
제4편 정책학의 중심이론
제1장 정책과 국가
1. 국가란 무엇인가?
1) 한자문화권에서 국가의 이해
2) 서양 영어권에서 국가의 이해
2. 국가주의
정책사례: 인구정책에서 국가주의
1) 국가중심주의
2) 국가독점주의
3) 국가우월주의
4) 국가개입주의
28 정책학신론
3. 국가주의의 정당성
1) 개인주의 중심의 정당성
2) 사회적 정당성
4. 국가주의와 민주주의
제2장 정책과 정치
1. 정책에서 정치의 이해
정책사례: 세종대왕의 ‘소’ 일만 마리 사건
2. 정책학에서 정치의 이해
3. 정책과 정치의 관계
4. 정책에 공통적인 정치현상
5. 정책학의 대표적인 정치이론
1) Lowi의 정책유형론
2) 정책도메인
3) 정치를 중심으로 하는 정책사례
4) 관료정치론
제3장 정책균형이론
1. 정책균형의 개념적 이해
정책사례: 인구문제에서 정책균형
1) 균형의 개념
2) 정책균형의 개념
2. 정책인과에 의한 정책균형의 실천
1) 정책의 물리적 인과관계
2) 정책의 정신적 인과관계
3) 정책인과에 의한 정책균형
3. 정책균형이론의 특성
1) 세력균형론과의 차이점
2) 일반체제이론과의 차이점
3) 조절이론과의 차이점
4) 코프라티즘과의 차이점
5) 정책조정론과의 차이점
제4장 정책리더십
1. 정책리더십이란 무엇인가?
1) 정책사례에서 이해하는 정책리더십
정책사례: 한국전쟁과 미군의 참전
2) 정책리더십의 정의
2. 정책리더십의 특징
1) 정책리더십의 특징
2) 정책리더십과 정치리더십 및 행정리더십의 차이점
3. 왜 정책리더십이 중요한가?
4. 정책리더십의 연구경향
5. 정책리더십의 유형
1) 정책기업가
2) 정책촉진자
3) 정책창도자
4) 정책자정 리더십
제5장 정책 실천성
1. 정책 실천성이란 무엇인가?
1) 정책실천의 중요성
2) 실천성의 개념적 이해
2. 정책 실천성의 구성요소
1) 정책의 실천지식
2) 정책의 실천지혜
3) 정책의 실천판단
4) 정책의 실천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