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91161263069
· 쪽수 : 482쪽
· 출판일 : 2020-09-05
목차
Part Ⅰ 코칭: 이해와 실제
chapter 01 코칭의 역사, 정의 및 필요성
1. 사회 변화와 코칭
가. 사회 규범의 변화와 코칭
나. 급격한 기술변화와 기업, 그리고 코칭
다. 리더십 패러다임의 변화와 코칭
라.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의 변화와 코칭
2. 코칭의 역사
가. 코치의 기원
나. 스포츠와 코칭
다. 비즈니스와 삶, 그리고 코칭
3. 코칭의 정의와 분류
가. 코칭의 정의
나. 코칭의 분류
다. 커리어 코칭
라. 코칭과 리더십
4. 코칭 철학
가. 코칭 철학의 중요성
나. 국제코치연맹(ICF)의 코칭 철학
다. 파워 웰빙 코칭 철학
chapter 02 코칭의 특징과 구성요인
1. 코칭의 특징
가. 코칭의 특징
나. 코칭과 다른 서비스 사이의 차이점
2. 코칭의 구성요인
가. 코칭의 구성요인: 코칭의 구성삼각형
나. 코칭고객
다. 코치의 역할, 정의 및 역량
라. 코칭 시스템
마. 코칭 모델과 코칭의 핵심가치: ‘ABCDE 코칭 모델’
바. 코칭 기술
3. 코칭 효과
가. 코칭 효과
나. 코칭 효과 측정의 중요성과 현실
다. 코칭 효과 측정의 체계화
chapter 03 핵심 코칭 기술(Ⅰ): 경청과 피드백
1. 경청의 정의와 중요성
가. 코칭의 시작과 경청
나. 듣기와 경청의 차이
다. 경청의 정의와 중요성
2. 경청의 종류와 방법
가. 경청의 종류
나. 바람직한 경청 방법
다. 경청을 방해하는 장애물
3. 피드백
가. 피드백의 정의
나. 피드백의 내용
다. 피드백의 종류
라. 바람직한 피드백 방법
chapter 04 핵심 코칭 기술(Ⅱ): 질문
1. 질문의 중요성과 힘
가. 질문의 중요성
나. 질문의 힘
2. 질문의 종류
가. 개방 질문과 폐쇄 질문
나. 확대 질문과 특정 질문
다. 미래 질문과 과거 질문
라. 긍정 질문과 부정 질문
3. 바람직한 질문의 특징과 방법
가. 바람직한 질문
나. 바람직하지 못한 질문
다. 바람직한 질문 방법
라. 질문과 학습 코칭
chapter 05 코칭대화 프로세스
1. 일반대화와 코칭대화의 차이
가. 일반대화와 코칭대화
나. 코칭대화에서 필요한 것들
2. 코칭대화 프로세스의 정의와 종류
가. 코칭대화 프로세스의 정의
나. 코칭대화 프로세스의 종류와 절차
다. 코칭대화 프로세스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
3. iCAN 코칭대화 프로세스의 특징과 내용
가. iCAN 코칭대화 프로세스의 특징
나. iCAN 코칭대화 프로세스의 단계별 내용
다. 코칭대화 프로세스를 잘 진행하는 방법
chapter 06 코칭 진행과 코치 되기
1. 코칭 프로세스
가. 코칭 프로세스의 정의
나. 코칭 전에 할 일: 사전 코칭
다. 코칭 진행: 본 코칭
라. 코칭 후에 할 일: 사후 코칭
2. 코칭 스타일
가. 코칭 스타일과 성격유형
나. 코칭과 성격유형의 측정
다. 체질 이론과 성격 유형론
라. 코칭 스타일 활용에 있어 유의할 점
3. PCSI 코칭 스타일
가. PCSI 코칭 스타일 검사 도구
나. PCSI에 따른 코칭 스타일 분류
4. 코치 되기
가. 코치의 태도와 연습의 중요성
나. 코칭 패러다임으로 전환
다. 코치가 되기 위한 자기 관찰
라. 코치의 강점 발견과 역량 강화
마. 코치가 되기 위한 교육과 훈련
바. 코칭 마이크로 트레이닝
사. 코칭 윤리
아. 코치 자격증 취득
Part Ⅱ 경력개발: 이해와 실제
chapter 07 진로설계와 자기 이해
1. 진로계획의 중요성
가. 청년 시절과 진로
나. 진로계획의 수립
다. 진로 탐색
2. 진로설계와 직업설계
가. 진로설계의 의미와 준비
나. 직업설계의 의미
다. 직업설계를 위한 코칭 질문
3. 자기 이해의 중요성
가. 자기 이해와 사회생활
나. 자기 이해를 위한 출발
다. 자기 이해를 위한 도구
라. 자기 이해를 위한 코칭 질문
chapter 08 자기 탐색과 이해의 실제
1. 성격 탐색과 자기 이해
가. 성격의 정의와 특성
나. 성격검사의 종류
다. 성격 이해와 진로
2. 적성 탐색과 자기 이해
가. 적성의 정의
나. 적성검사의 실제
다. 적성 이해와 진로
3. 흥미 및 가치관의 탐색과 자기 이해
가. 흥미의 정의와 흥미검사
나. 가치관의 정의와 가치관검사
다. 흥미 및 가치관의 이해와 진로
4. 강점 및 역량 탐색과 자기 이해
가. 강점의 정의와 강점검사
나. 역량의 정의와 역량검사
다. 강점 및 역량 이해와 진로
5. 자기 이해를 통한 나 표현하기
6. 자기 탐색과 이해를 위한 코칭 질문
chapter 09 직업탐색과 직업 세계의 변화
1. 직업선택의 중요성과 직업 세계의 이해
가. 직업선택의 중요성
나. 직업 개념의 변화와 직업 세계
다. 기업의 인재상과 채용방식의 변화
2. 직업정보의 탐색과 활용
가. 직업정보의 탐색
나. 직업정보의 활용
3. 직무특성에 관한 이해
가. 직무특성 이해의 중요성
나. 분야별 직무 구분
4. 환경 변화와 새로운 직업의 탄생
가. 환경의 변화와 직업
나. 새로운 직업의 출현
다. 새로운 직업에 대한 자기 의견 정리
5. 직업과 미래 변화 예측을 위한 코칭 질문
chapter 10 개인 진로설계서 작성
1. 진로 로드맵의 이해
가. 진로 로드맵의 정의
나. 진로 로드맵을 작성할 때 유의할 점
2. 자신에 대한 SWOT 분석
가. SWOT 분석의 이해
나. SWOT 분석방법
다. SWOT 분석을 통한 전략 수립
3. 개인 진로설계서 작성
가. 개인 진로설계서 작성의 의미
나. 개인 진로설계서의 작성
다. 실행 계획 수립
4. 개인 진로설계서 작성과 실행을 위한 코칭 질문
chapter 11 목표설정과 시간 관리
1. 목표설정의 의미와 방법
가. 목표의 정의
나. 목표를 세우지 않는 이유
다. 목표설정 방법
2. 진로목표의 설정
가. 실현 가능한 목표 수립
나. SMART 규칙과 진로목표 설정
3. 목표 달성을 위한 시간 관리
가. 시간의 특징
나. 시간 관리의 정의와 의의
다. 시간 관리 방법
라. 진로와 시간 관리
4. 목표설정과 시간 관리를 위한 코칭 질문
chapter 12 경력 개발과 취.창업
1. 경력 개발과 대학 생활
가. 경력개발의 정의와 필요성
나. 경력개발의 기초
다. 경력 로드맵 제작
라. 경력개발 전략 수립
마. 활용 가능한 다양한 제도
바. 경력개발 실행
사. 대학 생활 점검과 계획
2. 취업 준비와 실행
가. 취업 준비 전략
나. 이력서 작성
다. 자기소개서 작성
라. 포트폴리오 제작
마. 명함 제작
바. 면접 준비
3. 진학 준비와 실행
가. 국내 대학원 진학 준비와 실행
나. 해외 유학 준비와 실행
4. 창업과 기업가정신
가. 환경 변화와 창업
나. 창업의 정의와 장.단점
다. 창업의 핵심요소
라. 창업절차와 기업가정신
마. 창업 준비와 진로
5. 경력개발 실행과 취.창업을 위한 코칭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