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청소년활동론

청소년활동론

안명선, 박선희, 김상범, 박주현, 천정웅 (지은이)
양성원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000원 -0% 0원
660원
21,3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청소년활동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청소년활동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91161264233
· 쪽수 : 347쪽
· 출판일 : 2022-08-26

책 소개

청소년활동이 우리나라 청소년업무의 태동과 발전을 견인하여 오늘날 학교교육과는 차별화된 중요한 독자적 정책영역임을 확인하면서 활동의 목표와 과정 및 결과의 중심에 청소년을 두는 것을 청소년업무 실천의 핵심적 모습으로 전제한다.

목차

PART1 청소년활동의 이론적 기초

Chapter 01 청소년활동 이해의 기초
1. 청소년활동의 개념과 특성
2. 청소년활동과 학교
3. 청소년활동의 주요 영역
4. 청소년활동 관련법과 제도

Chapter 02 청소년개발과 청소년활동
1. 청소년개발에 대한 이해
2. 청소년 역량개발
3. 청소년 인성개발

Chapter 03 청소년활동의 이론과 구성요소
1. 청소년활동의 의미
2. 청소년활동과 경험학습이론
3. 청소년 자율참여와 활동몰입이론
4. 청소년활동의 구성요소

PART2 청소년활동의 요소와 안전

Chapter 04 청소년활동시설의 설치와 운영
1. 청소년활동시설의 개념
2. 청소년활동시설의 목적 및 특징
3. 청소년활동시설의 유형
4. 청소년활동시설의 설치 및 현황
5. 청소년활동시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Chapter 05 청소년단체·기관의 이해
1. 청소년단체
2. 청소년활동지원기관
3. 청소년복지기관
4. 청소년복지시설

Chapter 06 청소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1. 청소년 프로그램 개발의 이해
2. 청소년 프로그램 개발이론과 모형
3. 청소년 프로그램 개발 과정
4. 청소년 프로그램 사례

Chapter 07 청소년활동과 전문인력
1. 청소년활동과 전문인력의 중요성
2. 청소년 전문인력의 역할과 직무
3. 청소년 전문인력의 자질과 가치
4. 청소년 전문인력의 역량과 경력개발

Chapter 08 청소년활동과 안전
1. 청소년활동 안전 및 안전사고의 개념
2. 청소년활동 안전사고의 원인과 유형
3. 청소년활동 안전사고의 관련 법령과 정책
4. 청소년지도자의 안전의식과 청소년활동 안전교육

PART3 청소년활동과 지속가능발전

Chapter 09 청소년수련활동
1. 청소년수련활동의 개념과 중요성
2. 청소년수련활동과 학교교육과정
3. 청소년수련활동 프로그램
4.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
5. 청소년수련활동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Chapter 10 청소년참여활동과 지역사회 청소년활동
1. 청소년참여의 개념
2. 청소년참여활동의 유형
3. 청소년참여의 정책영역별 활동
4. 지역사회 청소년활동의 운영

Chapter 11 청소년교류활동
1. 교류의 개념적 전제
2. 청소년교류의 개념
3. 청소년교류의 유형
4. 청소년교류활동의 종류
5. 청소년의 국제교류활동
6. 지속가능한 청소년교류활동

Chapter 12 사회적경제와 청소년활동
1. 청소년의 경제활동
2. 사회적경제와 청소년
3. 청소년 중심 협동조합
4. 청소년 경제와 청년창업 제언

Chapter 13 청소년활동과 지속가능발전목표
1.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개념
2. 청소년과 지속가능발전교육(ESD)
3. 청소년과 2030지속가능발전 의제
4. 지속가능발전 청소년 국내 사례
5. 지속가능한 청소년활동을 위한 제언

저자소개

천정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캔사스대학교(The University of Kansas)에서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한국 중앙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기획조정실장, 한국청소년학회 사무총장, 미국 아이오와 대학교(University of Iowa) 방문학자, 미국 캔사스대학교(University of Kansas), 사회정책분석연구원 Research Manager 등으로 일한 바 있다. 현재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대구다문화가족지원센터 협회장 등을 엮임했다. 대구가톨릭대학교의 주요보직은 국제다문화대학원장, 다문화교육원장, 청소년복지연구소장, 사회복지학과장, 대학원 사회복지학과장 등이 있으며, 강의과목은 학부와 대학원 석 ․ 박사 과정에서 청소년복지론, 청소년인권과 참여, 청소년활동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행정론, 지역사회복지론, 고급통계자료분석론, 사회복지조사론, 질적연구방법론, 사회복지법제론, 국제사회복지론, 국제이주와 사회통합, 영성과 사회복지 등이다.1980년대 중반 이후 30여 년간 청소년학, 사회복지 및 영성복지 등과 관련한 이론과 실천, 양적/질적 연구방법론 등에 관한 연구, 강의 및 저작활동에 진력해오고 있다. 한국전통사상에 관해 특별한 관심을 갖고 있으며, 청소년복지분야(청소년참여론, 적극적 관점의 청소년개발, 청소년복지론, 다문화청소년활동론, 청소년인권과 참여, 글로벌청소년정책론), 사회복지분야(사회복지개론,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행정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복지윤리와 철학) 연구방법론 분야(질적연구방법: 총론, 사회복지연구방법론, 사회복지조사론), 다문화 분야(다문화사회교육론, 이민다문화가족복지론, 현대사회와 문화다양성이해), 그 밖에 “지구환경레짐의 정치경제학”, “자원봉사론” 등 50여 권의 저서와 “청소년영성발달과 유교적 영성의 ‘효’: Ken Wilber의 통합이론과 긍정청소년개발 모델의 적용”, “청소년참여의 유형화 연구”, “청소년정책의 발전적 특성연구”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또한, “Best practices in community-basedprevention for youth substance reduction”,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service outcomes and satisfaction, service utilization,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path analysis” 등 단독저자로서 SCI, SSCI 등재 영문저널에 게재된 여러 편의 영문논문이 있다.2003년 미국에서 “세계청소년학 아카데미(World Academy for Youth Studies)”를 창립했으며 2006년에는 한국 청소년복지의 발전을 위한 “청소년학 월드포럼(World Forum on Youth Studies)”을 제안하여 세계 주요 국가를 순회하면서 국제컨퍼런스를 개최하고 있다. 2015년 6월에는 대구가톨릭대학교에서 “Homo Nomad &Young People”을 대주제로 제4회 월드포럼 국제학술대회를 11개국의 참가자들과 함께 개최한 바 있다.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편집위원장, 글로벌청소년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청소년연구 편집위원 등으로 활동했으며, 최근에는 국제사회복지학회 회장, 글로벌청소년학회 회장을 맡아하고 있으며, 한국시민청소년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펼치기
박선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가톨릭대학교에서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역량에 관한 영성지능과 인권태도의 구조관계 분석”으로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에서 조사방법론, 논문연구방법론, 사회복지법제론, 다문화 글로컬 생활세계 등을 강의하였다. 현재 성운대학교 미래휴먼사회복지학부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사회복지에서 영성을 활용한 실천과 접근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탐색해 왔으며 청소년 정신건강, 중독문제와 영성 등에 관한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다. 또한, 다문화와 관련하여 사회통합, 다문화 수용성, 다문화 역량 및 국제사회복지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다문화청소년과 외국의 청소년이슈 등을 주제로 국제학술대회와 세미나 등에서 발표하였다. 대표논문으로 “프랑스 청소년의 삶과 정책”(2013),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발달에 관한 종단연구”(2014), “청소년의 영적안녕감이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2014), “범분야 이슈와 Post-2015(2016)”, “청소년의 사회자본이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2016), “대학생의 다문화역량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2018), “청소년지도자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2019), “긍정적 부모양육태도, 친구관계, 스마트폰의존, 자아존중감이 청소년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매개효과”(2021) 등이 있으며, 저서로 『다문화글로컬 생활세계』(2015), 『지역사회복지론』(2016), 『사회복지개론』(2016), 『청소년문제와 보호』(2017), 『사회복지조사론』(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2019), 『사회복지윤리와 철학』(2019),「청소년문화론」(2021), 「청소년활동론」(2021) 등이 있다.
펼치기
김상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가톨릭대학교에서 「청소년의 외상 후 성장과 인지정서조절전략, 성장적 반추, 사회적 지지 간의 구조관계 분석」으로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대구한의대학교, 계명문화대학교, 영진사이버대학교 등에서 청소년활동론, 청소년문화론, 청소년지도방법론, 청소년육성제도론, 청소년복지론, 중독융합연구방법론, 평생교육연구방법론 등을 강의하고 있다. 또한 사회복지사, 청소년지도사, 청소년상담사의 자격을 갖추고 10여 년간 (재)대구청소년지원재단의 청소년쉼터에서 상담, 생활지도, 사례관리 등을 통해 가정 밖 청소년들의 복지증진과 성공적인 자립을 위해 노력했으며, 대구아름청소년성문화센터에서 청소년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청소년과 학부모 및 청소년지도사를 대상으로 성교육과 상담 및 지도활동을 통해 청소년의 건강한 문화 형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대구광역시청소년 상담복지센터 및 대구동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의 청소년복지실무위원, 청소년문화의집 방과후아카데미 지원협의회위원, 한국청소년성문화센터협의회 운영위원 등을 맡아 활동하며 청소년 시설의 효과적인 운영과 청소년 지원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해 기여하고 있다. 대표 논문으로는, 「청소년의 성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2014), 「청소년의 성비행과 자극추구성향, 또래동조성, 비행친구접촉의 경로분석(2017), 「중학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2017) 등이 있다.
펼치기
안명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가톨릭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대구한의대교에서 청소년학 석사를 취득하였다. 2005년도부터 창원문성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김해대학교, 포항선린대학교 등에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인간관계론, 인간과 사회심리, 아동복지론,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사례연구 등을 강의했다. 현재는 비영리민간단체 해맑음문화활동센터 센터장, 사회적기업 (주)해맑음 대표, 지속가능미래연구소 대표,경남범죄피해자지원센터 상담분과위원, 창원시자원봉사센터 운영위원, 경남사회적기업심의위원, 창업육성기업심의위원, 창원시 탄소중립마을만들기심의위원 등을 맡아 활동하고 있다. 대표논문으로, 「한국의 공적개발원조(ODA) 평가와 청소년국제교류 활성화의 과제」(2015), 「현실요법적 놀이치료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공격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2008), 「협동조합 실태분석 및 정책실효성에 관한 연구」(2017),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2019), 「청소년의 주관적웰빙, 가족강점, 자기결정성의 구조관계연구」(2020), 「사회적 경제에 관한 일 연구: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중심으로」(2020),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청소년활동: 동향과 과제」(2021)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역량중심의 청소년 지도 설계』(2013), 『청소년지도방법론 적극적 관점』(2017), 『자원봉사론』(2020) 등이 있으며, 2018년부터는 개발한 지속가능발전목표 보드게임으로, 『SDGs in Action 1,2』, 『Let,s SDGs』,『Youth SDGs Play』, 『SDGs 타운』 등이 있다.
펼치기
박주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 대구가톨릭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 박사과정을 취득하였다. 10여년간 통영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와 (재)경상남도청소년지원재단의 상담복지센터와 활동진흥센터에서 청소년과 학부모, 지도자들을 대상으로 상담과 교육 및 지도활동을 하였으며, 특히 다양한 분야의 청소년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학교폭력예방, 인터넷중독예방, 외상후스트레스장애, 또래상담, 국제교류, 자원봉사활동, 청소년박람회 등의 업무를 담당하여 청소년들의 문제예방과 활동증진을 위해 노력하였다.또한 경상남도병무청으로부터 위임받아 공익근무요원 상담을 담당하며 후기청소년에 대한 지원에 관심을 가지기도 하였다. 현재는 대구지속가능미래연구소 소장으로 UN이 인류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시한 지속가능발전목표에 근거하여 연구하며, 공공기관, 학교, 기업체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대구가톨릭대학교, 영남이공대학교 등에서 사회복지학 및 청소년학을 강의하고 대구지속가능발전협의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석사학위논문인 빈곤아동지원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2007)와 청소년글로벌리즘에 관한 연구(2017), 전문직 정체성의 연구용례와 동향: 청소년분야의 함의(2017),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2019)”, “청소년지도사의 직무와 양성체계(2019)”, “청소년복지 전문인력의 직무만족에 관한 인권의식과 직업윤리의식의 구조관계분석(2021) 등이 있으며, 저서로 「인간행동과 사회환경」(2018), 「학교사회복지론」(2020), 「청소년문화론」(2021), 「청소년활동론」(2021), 「청소년육성제도론」(2022),「청소년지도방법론」(2023)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