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61265599
· 쪽수 : 383쪽
· 출판일 : 2023-12-05
목차
Ⅰ 공교육의 ‘현장성 위기’ 진단과 처방
1장 ≫ 전국단위 교육질서의 실재와 그 전환 12
가. ‘현장성 위기’에 대한 문제제기 논리 / 12
나. 전국단위 교육질서의 모순 구조 / 17
다. 전국단위 교육질서가 산출하는 교육체제의 성격 / 20
라. 교육질서 전환의 향방 / 27
마. 교육질서 전환의 방법론 탐구 / 31
Ⅱ 공교육체제 전환의 이론적 기저
2장 ≫ 人材교육의 이론적 논거 40
가. 문제제기: 人才가 아닌 人材 교육으로 / 40
나. Dewey의 人材교육론의 윤곽 / 42
다. ‘근본’ 교육질서의 숙고 / 60
라. 마무리 / 63
3장 ≫ 人材교육론으로서 Dewey의 경험철학 66
가. 문제제기 / 66
나. 인간의 존재방식 / 67
다. 인간경험의 힘에 대한 신뢰 / 71
라. ‘삶의 주체’ 교육론 / 74
마. 마무리 / 77
4장 ≫ 근·현대 공교육 역사 개관 81
가. 문제제기 / 81
나. 전국단위 교육질서의 고착 / 83
다. 새로운 교육질서의 역사적 요청 / 104
라. 새로운 교육질서의 정립: 단위학교와 현장교사의 교육과정 기획의
확대 / 109
5장 ≫ ‘교육적 타당성 물음’으로 교육문제에 접근하기 112
가. 문제제기 / 112
나. 접근방식의 전환: ‘교육적 타당성 물음’ / 114
다. 교육체제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숙고 / 120
라. ‘교육적 타당성’에 정합하는 교육의 성격: 교사 필수권한-책임 교육 / 125
마. 마무리: 책임교육의 실천 / 133
6장 ≫ 공교육체제 개혁 정책 프레임 135
가. 문제제기 / 135
나. 접근방식의 전환 / 137
다. 교육체제 개혁: 교사 책임교육체제 형성 / 142
라. 교육과정 이력과 전공교육목적을 지표로 삼는 가능성의 세계 / 153
마. 마무리: 향후 과제 / 158
7장 ≫ 지식기반사회에 대응하는 교육적 방식 161
가. 문제제기 / 161
나. 지식기반사회와 새로운 인간형 / 163
다. 지식기반사회와 교육적 방식: 접근의 메타언어 / 171
라. 시대적 요구에 대응하는 교육적 방식의 실천 / 177
마. 마무리 / 193
Ⅲ 교육체제 전환을 위한 제도적 대응책
8장 ≫ 경쟁시스템과 선발시스템의 전환 198
가. 문제제기 / 198
나. 이론적 가정 / 200
다. 경쟁시스템의 전환 / 202
라. 선발시스템의 전환 / 207
마. 마무리 / 217
9장 ≫ 교육과정 정책: 교육과정 자율과 교육과정목표 완성 219
가. 문제제기: 과정 관리 책임교육 / 219
나. 교육과정 자율 / 220
다. 교육과정 활동의 수준 / 227
라. 교육과정 완성에 대한 평가 / 241
마. 책임교육체제의 정립 / 243
10장 ≫ ‘학교 교육력’의 개념과 작동 원리 246
가. 문제제기 / 246
나. ‘학교 교육력’ 개념의 이론적 기저 / 247
다. 학교 교육력의 구성요소: 삼자(三者)의 분립과 통합 / 253
라. 학교 교육력 구조의 작동 원리 / 257
마. 마무리 / 263
11장 ≫ 주제몰입의 교육적 경험의 프로그래밍 265
가. 문제제기 / 265
나. 시대적 요구와 ‘교육적 관점’의 재인식 / 266
다. 주제몰입 경험의 이론적 배경 / 270
라. 주제몰입 경험의 실천적 프로그래밍 / 280
마. 마무리 / 290
12장 ≫ 교사의 지성적 대응: 가르치는 자의 헌신성과 전문성 292
가. 문제제기 / 292
나. 교사의 존재방식과 헌신성 / 294
다. ‘교육기획력’ 개념과 그 실질 / 301
라. 교육활동 기획의 전문성 / 307
마. 교육활동 기획의 전문성 발휘의 조건 / 318
Ⅳ 책임교육체제 정립
13장 ≫ 교사 책임교육을 지속가능케 하는 교육정책 324
가. 문제제기 / 324
나. ‘교사 책임교육’의 개념화 / 327
다. 책임교육에 대응하는 교사의 교육활동 / 342
다. 마무리 / 347
14장 ≫ 지역단위 교육질서의 정립: 관치교육이 아닌 교사 책임교육으로 350
가. 새로운 교육질서의 정립: ‘교육의 과정’의 성찰 / 350
나. 새로운 교육질서가 필요한 이유 / 352
다. 대안으로서 ‘지역단위 교육질서’의 체제화 / 359
라. 교육사의 근간으로서 책임교육체제 정립 / 366
마. 실천이성의 요청 / 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