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교회, 국가, 공적 정의 논쟁

교회, 국가, 공적 정의 논쟁

클락 E. 코크란, 데릭 H. 데이비스, 코윈 E. 스미트, 로날드 J. 사이더, J. 필립 워거먼 (지은이), P. C. 케메니 (엮은이), 김희준 (옮긴이)
새물결플러스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10% 0원
950원
16,1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교회, 국가, 공적 정의 논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교회, 국가, 공적 정의 논쟁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0072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17-04-20

책 소개

스펙트럼 시리즈. <교회, 국가, 공적 정의 논쟁>은 제목 그대로 교회와 국가의 건강한 관계가 무엇인지에 대해 성서적·신학적·역사적 맥락을 짚어가며 진중하고 날카롭게 토론하는 책이다. 교회와 국가의 관계는 역사적으로 크게 세 가지 변천을 겪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인사말 _P. C. 케메니
서론: _P. C. 케메니

1. 로마 가톨릭 관점 _클락 E. 코크란
논평 : 고전적 분리주의
: 원리적 다원주의
: 재세례파
: 사회정의

2. 고전적 분리주의 관점 _데릭 H. 데이비스
논평 : 로마 가톨릭
: 원리적 다원주의
: 재세례파
: 사회정의

3. 원리적 다원주의 관점 _코윈 E. 스미트
논평 : 로마 가톨릭
: 고전적 분리주의
: 재세례파
: 사회정의

4. 재세례파 관점 _로날드 J. 사이더
논평 : 로마 가톨릭
: 고전적 분리주의
: 원리적 다원주의
: 사회정의

5. 사회정의 관점 _J. 필립 워거먼
논평 : 로마 가톨릭
: 고전적 분리주의
: 원리적 다원주의
: 재세례파

인명 색인

저자소개

로날드 J. 사이더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9년 캐나다에서 그리스도인 형제단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예일 대학교에서 역사학(Ph. D.)을, 예일 신학대학원에 서 신학을 공부했다. 그는 18-19세기 복음주의 전통이 복음 전도와 사회 참여를 결합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 청년 대표로 1966년 휘튼 대회에 참석하여 사회 참여를 강조하는 짧은 표현을 최종 문서에 삽입하기 위해 노력했고, 1968년부터 필라델피아의 메시아 칼리지에서 가르치면서 도심 흑인 교회를 통해 미국 흑인들이 겪는 인종 차별과 가난의 고통을 알게 되었다. 1973년 칼 헨리, 짐 월리스, 사무엘 에스코바 등과 함께 주말 집회를 열어 사회적 이슈들을 집중적으로 다루었으며, 마침내 ‘복음주의적 사회 참여를 위한 시카고 선언’을 탄생시켰다. 또한 이 모임은 1974년 로잔 대회에서 복음 전도와 사회 참여는 동등한 그리스도인의 의무임을 분명히 하는 데 기여한다. 그가 이러한 총체적 복음의 기수로 우뚝 선 것은 바로 1977년 「가난한 시대를 사는 부유한 그리스도인」을 출간하면서부터였다. 이 책은 보수적 개신교 진영에서 많은 비판을 받은 동시에, “크리스채너티 투데이”가 선정한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기독교 도서 100권의 반열에 오르면서 수만 부가 팔려 나갔고, 이후 30년간 복음주의의 사회적 양심을 일깨우는 예리한 목소리가 되어 왔다. 팔머 신학교에서 오랫동안 신학 교수로 재직해 오면서 “사회 참여를 위한 복음주의 운동”(Evangelicals for Social Action)을 창설하여 현재 회장으로 섬기고 있으며, 잡지 “프리즘”(PRISM)을 만들어 발행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금까지 「그리스도인의 양심 선언」, 「물 한 모금, 생명의 떡」, 「이것이 진정한 기독교다」(이상 IVP)등을 포함하여 무려 28권의 책을 저술하고 100편이 넘는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클락 E. 코크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텍사스 공과대학교의 정치학 교수로서 1981년 가톨릭교회의 부제로 임명되었고, 텍사스 주 럽복에 있는 세인트 존뉴먼 가톨릭교회를 섬기며, 럽복 교구의 부제 교육 프로그램의 책임을 맡고 있다. Character, Community, and Politics(1982), Religion in Public and Private Life(1990) 등의 책을 저술했고, 다양한 사회과학 저널에 글을 기고했다.
펼치기
데릭 H. 데이비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메리 하딘-베일러 대학교의 인문대학 교수다. 그는 Original Orient: Chief Justice Rehnquist & the Course of American Church-State Relations(1991) 등 16권의 책을 저술했고, 다양한 방송 매체에 출연했으며, 저널과 간행물에 135편이 넘는 글을 기고했다.
펼치기
코윈 E. 스미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캘빈 대학교 정치학 교수이자 폴 헨리 연구소의 책임자다. 그는 Religion as Social Capital and Evangelicalism: The Next Generation(2003), Pulpit and Politics(2004) 등을 포함하여 저자, 편집자, 공저자로서 10권 이상의 책을 출간했으며, 다양한 저널에 글을 기고했다.
펼치기
J. 필립 워거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워싱턴 D.C.에 있는 파운드리 연합감리교회의 원로 은퇴 목사다. 웨슬리 신학교 전 총장이었고, 그곳에서 1966 년부터 2002년까지 기독교 윤리학을 가르쳤으며 미국 감리교 대총회의 대표자다. Christian Ethics: A Historical Introduction(1993) 등을 포함 한 13권 이상의 책을 저술했다.
펼치기
P. C. 케메니 (엮은이)    정보 더보기
펜실베이니아에 있는 그로브시티 대학교 의 종교학?인문학 교수다. 그는 Princeton in the Nation’s Service: Religious Ideals and Educational Practice, 1868-1928(1998)의 저자이고, American Church History: A Reader(1998)를 공저했다. 그는 미국의 역사?종교에 관한 다양한 학술 단체로부터 연구 지원을 받고 있다.
펼치기
김희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횃불트리니티 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목회학 석사를 받았다. 미국 미시간 주 그랜드래피즈에 있는 캘빈 신학교에서 공부했으며(Th. M.), 현재 토론토 대학교에서 조직신학 박사 논문을 준비하고 있다. 토론토 새로운교회에서 찬양 인도와 중고등부 사역으로 섬기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가톨릭 사회 교리가 인지하고 옹호하는 국가-정치의 긴장 관계는 일반 그리스도인의 삶에 이질적이지 않다. 실제로 기독교 신앙의 핵심 교리에는 “긴장” 관계가 가득하다. 기독교 신앙이 가진 다양한 역동성 사이의 긴장에 대한 이해는 교회와 국가의 경계 위에 놓인 삶에 대한 가톨릭적 접근을 특징짓는다. 자비와 정의가 하나님 안에서만 온전히 가능한 것처럼, 구제를 위한 임무와 정의를 수호하는 임무는 이 땅에 삶에서는 완전히 일치할 수 없다._1장 로마 가톨릭 관점 중에서


교회와 국가의 분리에 관한 고전적 견해는 종교개혁과 종교를 공적 문제라기보다는 사적 양심의 문제로 생각하는 인식의 부산물인 종교 다원주의에서 기인했다. 사람들은 중세와 종교개혁 시기에 벌어진 잔혹한 행위로 수십만 명이 목숨을 잃은 것은 정부가 종교 문제에 대해 너무 과도한 권한을 가진 것에서 비롯된 결과라고 생각했다. 개인의 권리에 대한 진보는 14세기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적어도 서구 사회에서 인간이 만든 정부가 개인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역할을 지지하면서 사람들이 단 하나의 공동의 신앙을 따를 것을 강요하는 정부의 이전 역할을 포기하도록 이끌었다._2장 고전적 분리주의 관점 중에서


그리스도인은 공적 생활에 참여하도록 부름을 받는다. 그리스도인은 이웃에 대한 그들의 의무와 책임을 저버려서는 안 된다. 또한 그들의 정치적 책임도 거부해서는 안 된다. 인간 생활의 다른 분야와 같이 정치의 영역도 타락 때문에 영향을 받지만, 하나님은 모든 생명에 대해 여전히 주권을 가지고 있고 모든 창조 질서를 구속하길 원하신다. 여전히 그리스도인은 공적 생활에 참여할 때, 정치적 겸양으로 행동하고, 그들이 반대하는 사람들에 대해서 관용을 베풀며, 공동선을 이루기 위해 다른 이들과 협력하고, 원하는 정치적 결과물을 획득하기 위한 노력이 목표의 성취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타협하도록 부름을 받는다._3장 원리적 다원주의 관점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