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0447
· 쪽수 : 1160쪽
· 출판일 : 2017-12-0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약어표
1부 서론
1장 성경신학과 조직신학에서 언약의 중요성
2장 성경적·신학적 체계에서의 언약들: 세대주의 신학과 언약신학
3장 성경의 언약들을 “하나로 종합할” 때 나타나는 해석학적 문제
2부 성경의 언약들에 대한 해설
4장 성경과 고대 근동의 언약 개념
5장 노아 언약
6장 창세기 1-3장의 창조 언약
7장 아브라함 언약(I)
8장 아브라함 언약(II)
9장 이스라엘(모세) 언약: 출애굽기
10장 이스라엘(모세) 언약: 신명기
11장 다윗 언약
12장 새 언약: 서론/이사야서/에스겔서
13장 새 언약: 예레미야서
14장 다니엘서의 일흔 이레 본문에 나타난 새 언약
15장 사랑 안에서 참된 것을 말하라(엡 4:15): 새 언약 공동체의 삶
3부 신학적 통합
16장 “언약을 통한 하나님 나라”: 성경신학적 요약
17장 “언약을 통한 하나님 나라”: 몇 가지 신학적 의미
부록: “베리트”의 사전적 분석
참고문헌: 1부와 3부
2부
인명 색인
리뷰
책속에서
성경신학은 “하나님의 전체 경륜”을 밝히고, “하나님을 따라 그분처럼 생각하고자” 시도한다. 성경신학은 모든 신학과 교리의 기초와 토대를 제공한다. 조직신학은 성경을 삶의 모든 분야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므로 단순히 성경신학을 하는 것 이상의 일을 한다. 따라서 조직신학은 반드시 성경신학에 기초하고 역사 신학에 따라 행해진 신학의 구성과 교리의 형성을 포함한다.
_1장 “성경신학과 조직신학에서 언약의 중요성” 중에서
모든 형태의 세대주의 신학의 핵심에 놓여 있는 것은 “이스라엘-교회” 구분 개념으로 나타난다. 언약신학은 세대주의와 다르게 항상 시대 전체에 걸쳐 펼쳐지는 하나님의 계획의 연속성을 훨씬 더 중요하게 생각했다. 특히 “이스라엘-교회” 관계와 관련해서 말이다. 우리는 중요한 이 지점에서 언약신학과 세대주의 신학 체계의 중요한 차이점, 곧 교회론과 종말론과 관련된 차이점으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언약신학은 하나님이 하나의 구속 계획과 하나님의 한 백성을 갖고 계시고, 언약 공동체로서 이스라엘과 교회의 유사점이 중요하다고 항상 주장했다. 언약신학은 세대주의 신학과 다르게 “이스라엘”을 “교회”로 간주하고, 또 교회를 이스라엘로 간주했다.
_2장 “성경적ㆍ신학적 체계에서의 언약들: 세대주의 신학과 언약신학” 중에서
성경의 각 언약은 먼저 자체의 문맥 속에 위치하고, 이어서 구속사에서 그 이전에 오는 것에 따라 이해되며, 마지막으로 그 이후에 오는 것에 따라 이해되고, 그리고 궁극적으로 전체 정경과 그리스도의 오심에 따라 이해될 것이다. 오직 이 절차를 따를 때에만 우리는 구약성경의 문맥을 자체의 관점에 따라 진지하게 취하고, 구약성경 안의 상호텍스트적인 전개를 밝히며, 이어서 성경의 모든 언약이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어떻게 성취되는지를 발견한다.
_3장 “성경의 언약들을 “하나로 종합할” 때 나타나는 해석학적 문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