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0607
· 쪽수 : 390쪽
· 출판일 : 2018-05-04
책 소개
목차
서문 
서론
제1부 현상학의 공간 
제1장 현상학과 후설
A. 의식과 세계 
B. 지향성과 구성 작용 
C. 초월론적 구성
D. 생활세계와 지평, 발생적 현상학
E. 신체와 키네스테제 
F. 요약
제2장 하이데거의 공간
A. 들어가는 말
B. “세계-내-존재”와 실존적 공간 
C. 도구의 공간성과 세계
D. 후기 하이데거의 장소 사유
E. 요약
제3장 메를로-퐁티의 공간
A. 지각
B. 신체와 심리 현상의 연속성
C. 고유한 신체의 공간성과 운동성
D. 공간
E. 요약
F. 추가적 논의: 상호주관성
제2부 현상학적 공간 이론의 발전 
제4장 현상학에서 지리학으로
A. 볼노브의 『인간과 공간』
B. 바슐라르의 이미지의 현상학
C. 엘리아데의 종교 현상학 
D. 노베르그-슐츠의 건축의 현상학
제5장 인문지리학의 장소 이론
A. 인문지리학과 “장소” 
B. 투안
C. 렐프 
D. 장소 이론의 발전과 비판
제6장 르페브르와 경제지리학 
A. 사회적 공간 
B. 르페브르의 『공간의 생산』
C. 르페브르와 현상학
제7장 현상학적 공간 이론
A. 장소의 3요소
B. 장소의 진정성
C. 장소의 구성
제3부 누가-행전의 서사 공간 
제8장 서사 분석 도구 
A. 서사 공간 
B. 현상학적 이야기 공간 
C. 누가-행전의 공간 연구
제9장 누가-행전 해석 사례
A. 예루살렘: 누가-행전 서사의 중심
B. 땅끝까지: 중심 이동 
C. 누가-행전의 장소, 통로, 영역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생활세계”(Lebenswelt)란 일상생활에서 언제나 눈앞에 주어져 있어서 직관적으로 경험되는 세계로서 객관적인 사유의 이면에 숨어 있는 근원적인 그리고 아직 이성적 언어로 서술되지 않은 삶의 영역이다. 인간의 모든 경험이 그런 것처럼 우리의 공간 경험도 이성적 언어로 객관화되기 전에 이 생활세계의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우리가 앞으로 다루게 될 하이데거와 메를로-퐁티의 공간 논의는 이 “생활세계” 그리고 “신체를 가진 의식”이라는 개념의 토대 위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_제1장 현상학과 후설
하이데거는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인간 존재를 탐구한다. 인간은 그 존재 안에 이미 세계를 품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세계와 공속 관계에 있는 인간 현존재를 잘 보여주는 말이 “세계-내-존재”(In-der-Welt-sein)다. 이것은 문자 그대로 인간은 세계 “안”에 존재한다는 의미다. 하이데거는 이 어구에서 인간과 세계의 관계를 보여주는 “안”(in)이라는 말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데, 바로 여기에 하이데거의 실존적 공간 개념이 녹아 있다.                            
_제2장 하이데거의 공간
인간이 공간과 관계를 맺는다는 것은, 마치 인간과 공간이 별개로 존재하여 인간이 처음에는 공관과 무관한 상태로 존재하다가 나중에 공간과 관계를 맺게 된다는 그런 뜻이 아니다. 인간의 삶은 근원적으로 공간적인 관계 속에 존재하며 그래서 인간은 생각에서조차 공간과 떨어질 수 없는 존재라는 뜻이다. 그는 이것이 하이데거가 말하는 “내-존재”(Ins-sein), 즉 인간의 존재가 세계와 서로 공속되어 있음을 말하는 방식과 동일한 것임을 확인해준다. 그런 점에서 “공간에 대한 물음은 결국 인간의 선험적 구성 틀에 관한 물음이다.                                                      
_제4장 현상학에서 지리학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