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1109
· 쪽수 : 654쪽
· 출판일 : 2019-05-24
책 소개
목차
감사의 글
서론
제1부 크리스텐덤이란 무엇인가?
제1장 포스트크리스텐덤 시대
1. 크리스텐덤이란 무엇인가?
2. 크리스텐덤의 특징
3. 크리스텐덤 해체의 역사적 과정
4. 크리스텐덤을 어떻게 평가할까?
제2장 한국 사회의 유사 크리스텐덤
세속 국가 조선
1. 크리스텐덤을 꿈꾸다: 초기 내한 선교사의 이상
2. 크리스텐덤의 초석: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
3. 유사 크리스텐덤 시대: 해방 후부터 1970년대 말까지
4. 유사 크리스텐덤의 해체: 1980년대 이후
제2부 포스트크리스텐덤 시대의 성경 읽기
제3장 변방에서 성경 읽기
1. 변방에서 성경 읽기: 두려움과 소망으로
2. 크리스텐덤 시대의 성경 읽기:
웨스트민스터 표준 문서 다시 읽기
3. 크리스텐덤 시대의 성경 읽기 비판
제4장 성령이 성경의 해석자시다
1. 크리스텐덤 시대 성경과 성령
2. 성령이 성경을 해석하신다
3. 성령의 뜻대로 성경을 해석하는 법
4. 성령의 인도를 확인하는 법
5. 성령은 새로운 시대를 여신다
제3부 포스트크리스텐덤 시대의 교회
제5장 포스트크리스텐덤 시대 한국교회의 변화
1. 세상으로 보냄을 받은 교회 367
(1) 선교적 교회 운동과 “하나님의 선교”
(2) 교회 중심주의를 반대한다
(3) 복음과 상황
(4) 성육신의 원리: 참여와 분리
2. 공공신학: 포스트크리스텐덤 시대의 사회 참여
3. 공동체 교회
제6장 포스트크리스텐덤 시대 교회의 변화: 기성 교회
1. 메시지의 변화
2. 하나님의 선교의 교회적 적용
(1) 성도 개인이 세상으로 보냄 받은 선교사
(2) 국내 선교를 통한 선교적 교회
(3) 하나님의 선교로서의 청년 선교
(4) 해외 선교
3. 제도와 습속의 변화
4. 포스트크리스텐덤 시대 교회의 지도자
제7장 포스트모던 시대 교회의 변화: 교회 개척
추수할 것은 많되 일꾼이 적다?
1. 누구를 대상으로 복음을 전할 것인가?
2. 대상에 따른 목회 방식 개발
3. 개척 목회자의 소명
나가는 글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크리스텐덤’(Christendom)은 기독교가 지배하는 국가나 사회라고 간단히 정의할 수 있다. ‘기독교 세계’(Christian World)라는 말과 동의어다. 기독교가 법과 정체, 사회적 이념과 관습 및 문화를 지배하는 사회이자, 또한 국가가 기독교의 교리 및 예배와 선교를 지지해준다. 크리스텐덤은 역사적으로는 기원후 313년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밀라노 칙령에서 시작되었고, 계몽사상(Enlightenment)과 시민 혁명으로 서서히 사라지다가 20세기 말에 와서야 완전한 포스트크리스텐덤이 되었다. 16세기 종교개혁도 크리스텐덤 자체를 무너뜨리지는 않았고, 그 체제 안에서 교회를 개혁하고자 했을 뿐이다.
_제1부 제1장 포스트크리스텐덤 시대 중에서
우리가 성경을 제대로 해석하지 못하는 것은 성경과우리의 문화와 언어가 다르기 때문만이 아니다. 우리 자신의 죄와 욕심이 우리의 눈을 가리는 것이 더 큰 문제다. 어쩌면 이게 본질적인 문제다. 마음은 인격의 중심이고, 지성적 사고와 의지와 태도와 말의 근원이며 도덕과 양심의 자리이기도 하다. 그런데 타락한 후 인간의 마음이 더러워지고 자기중심적인 인간이 되었기에, 마음의 일부분인 지성도 타락했다. 성경을 해석하는 사람들은(주로 목회자와 신학자들) 모두 죄와 욕심에 물든, 그러면서도 자신이 그런 존재라는 것을 잊은 사람들이다. 우리는 성경말씀 가운데 일부를 의도적으로, 혹은 자신도 모르는 채 실수로 (이 둘의 차이는 그렇게 크지 않다) 지나치기 일쑤이고, 때로는 왜곡한다. 죄가 올바른 성경 읽기를 방해하는 것이다
_제2부 제4장 성령이 성경의 해석자시다 중에서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는 포스트크리스텐덤 사회인데 비해 우리의 교회는 크리스텐덤이라는 역사적 배경 아래에서 형성되었다는 사실이 크리스텐덤에 관한 우리 논의의 주제다. 서구 교회의 경우는 말할 것도 없고, 한국에 들어온 복음주의 교회들도 모두 크리스텐덤 시대에 형성된 모습 그대로다. 크리스텐덤은 사라지고 해체되었는데, 크리스텐덤 시대에 형성된 교회가 그대로 그 양상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의 핵심이다. 위기를 맞은 대한민국 교회를 보면서 많은 사람이 우리의 문제가 지엽적인 것이 아니라 근본적인 것이라는 데 동의하고 있다. 나는 그 근본적인 원인 중 가장 중요한 것이 현재 한국교회가 크리스텐덤 시대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크리스텐덤 교회의 형태를 지향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_제3부 포스트크리스텐덤 시대의 교회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