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91161292625
· 쪽수 : 652쪽
· 출판일 : 2023-09-21
책 소개
목차
서문
집필 원칙과 의도
머리말: 시인의 영성을 찾아서
시편 101-150편 양식
101편 / 통치자의 거울: “내가 완전한 길을 주목하오리니”
102편 / 무한자(無限者)를 유한자(有限者)의 세상으로 초청하는 기도: “나의 중년에 나를 데려가지 마옵소서”
103편 / 인자와 경외: “여호와의 인자하심은 자기를 경외하는 자에게”
104편 / 창조주의 지문(指紋): “주의 영을 보내사 지면을 새롭게 하시나이다”
105편 / 하늘의 에너지로 사는 삶: “그가 행하신 기적과 그의 이적과 그의 입의 판단을 기억할지어다”
106편 / 이스라엘의 망각과 하나님의 기억: “그들을 위하여 그의 언약을 기억하시고”
107편 / 지혜 있는 자의 삶: “여호와의 인자하심을 깨달으라”
108편 / 기억과 기대의 변증법인 신앙: “우리가 하나님을 의지하고 용감히 행하리니”
109편 / 역(逆) 저주의 기도: “나는 사랑하나 그들은 도리어 나를 대적하니”
110편 / 곤궁한 자도 살맛 나는 세상: “새벽이슬 같은 주의 청년들이 주께 나오는도다”
111편 / 은혜의 기억을 되살리는 예배: “그의 기적을 사람이 기억하게 하셨으니”
112편 / 행복한 축복의 통로: “그가 재물을 흩어 빈궁한 자들에게 주었으니”
113편 / 가장 높은 곳에서 낮은 곳을 살피시는 하나님: “스스로 낮추사 천지를 살피시고”
114편 / 발악(發惡)하는 인생 vs 발선(發善)하는 인생: “차돌로 샘물이 되게 하셨도다”
115편 / 우상의 유혹을 벗어나 하나님의 품으로: “우상을 의지하는 자들이 다 그와 같으리로다”
116편 / 몸이 하나님을 기억하면: “내 영혼아, 네 평안함으로 돌아갈지어다”
117편 / 우리만의 찬양은 미완성: “너희 모든 나라들아, 여호와를 찬양하며”
118편 / 새로운 깨달음으로 이끄는 고난: “건축자의 버린 돌이 머릿돌이 되었나니”
119편 1-40절 / 토라에 사로잡힌 복된 삶: “내 눈을 열어서 주의 율법에서 놀라운 것을 보게 하소서”
119편 41-88절 / 몸이 기억하고 즐거워하는 토라: “이 말씀은 나의 고난 중의 위로라”
119편 89-128절 / 경외하고 사랑하는 계명: “주의 말씀의 맛이 내게 어찌 그리 단지요?”
119편 129-176절 / 최고의 평안과 진정한 즐거움을 주는 영원한 말씀: “주의 법을 사랑하는 자에게는 큰 평안이 있으니”
120편 / 순례자인 나그네: “나는 화평을 원할지라도”
121편 / 불침번을 서주시는 하나님: “졸지도 아니하시고 주무시지도 아니하시리로다”
122편 / 평화의 기초를 세우는 평화의 일꾼: “네 가운데에 평안이 있을지어다”
123편 / 세상을 이기는 하나님의 은혜: “우리의 눈이 여호와 우리 하나님을 바라보며”
124편 / 상처 속에서 하나님의 라파(치료)가: “여호와께서 우리 편에 계시지 아니하셨더라면”
125편 / 과제인 선물: “선한 자들과 마음이 정직한 자들에게 선대하소서”
126편 / 기억과 기대 사이의 협곡에서: “눈물을 흘리며 씨를 뿌리는 자는 기쁨으로 거두리로다”
127편 / 은혜인 인생: “여호와께서 집을 세우지 아니하시면”
128편 / 하나님의 선물인 행복, 축복, 평강의 삶: “네 자식의 자식을 볼지어다”
129편 / 미래를 여는 감사: “나를 괴롭혔으나 나를 이기지 못하였도다”
130편 / 희망의 기다림: “내가 깊은 곳에서 주께 부르짖었나이다”
131편 / 하나님 앞에서의 겸손한 만족: “젖 뗀 아이가 그의 어머니 품에 있음 같게 하였나니”
132편 / 축복(祝福)이 박복(薄福)한 자에게 흘러들어 만복(萬福)으로: “풍족히 복을 주고 떡으로 그 빈민을 만족하게 하리로다”
133편 / 축복과 생명을 불러오는 연합: “형제가 연합하여 동거함이 어찌 그리 선하고 아름다운고”
134편 / 예배의 축복과 온전한 일상: “시온에서 네게 복을 주실지어다”
135편 / 참된 예배자 vs 우상숭배자: “우리 주는 모든 신들보다 위대하시도다”
136편 / 현재와 미래의 에너지를 충전시키는 감사 찬양: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137편 / 희망을 잉태하는 신앙적인 분노: “네 어린 것을 바위에 메어치는 자는 복이 있으리로다
138편 / 하나님의 오른손: “내 영혼에 힘을 주어 나를 강하게 하셨나이다”
139편 / 신앙의 시력(視力): “주께서 나를 아시나이다”
140편 / 건강한 기도(간구+탄원+희망): “전쟁의 날에 주께서 내 머리를 가려주셨나이다”
141편 / 인격과 신앙의 훈련: “그들의 진수성찬을 먹지 말게 하소서”
142편 / 폭풍 속에서 무지개를 보다: “주께서 내 길을 아셨나이다”
143편 / 주인의 은혜로 사는 비천한 종: “주의 눈앞에는 의로운 인생이 하나도 없나이다”
144편 / 하나님의 복인 무탈(無.)한 일상: “여호와를 자기 하나님으로 삼는 백성은 복이 있도다”
145편 / 모든 피조물이 창조주를 찬양할 때까지: “모든 육체가 그의 거룩하신 이름을 영원히 송축할지로다”
146편 / 약자를 외면하면 악인이다: “여호와께서 나그네들을 보호하시며 고아와 과부를 붙드시고”
147편 / 까마귀를 생각하라!: “우는 까마귀 새끼에게 먹을 것을 주시는도다”
148편 / 우주적 하모니의 완성: “하늘에서 여호와를 찬양하며”
149편 / 찬양의 칼: “이런 영광은 그의 모든 성도에게 있도다”
150편 / 마지막 호흡도 주님 찬양으로: “호흡이 있는 자마다 여호와를 찬양할지어다”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시편에서 대표적인 장르는 찬양시, 탄원시, 감사시다. 첫째, 찬양시는 “방향 설정의 시”(Psalms of Orientation)로서 하나님의 창조질서가 자연 세계와 인간사회에서 오차 없이 작동되는 상태를 전제한다. 둘째, 탄원시는 “방향 상실의 시”(Psalms of Disorientation)로서 하나님의 창조질서가 인간사회와 역사에서 잘 작동되지 않는 상황을 전제한다. 즉 하나님의 현존이 가려진 “하나님의 일식”(eclipse of God)의 순간을 전제로 한다(M. Buber). 셋째, 감사시는 “방향 재설정의 시”(Psalms of Reorientation)로서 길을 잃고 암초에 부딪혀서 헤매던 시인이 다시 길을 찾아 제 자리로 돌아온 이후 부른 시다. 현재 150편으로 구성된 시편은 각기 특정 장르로 구분될 수 있다. 장르 구분이 모호한 시편도 적지 않지만, 시편의 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장르 구분이 필수적이다. 장르를 파악해야 시편의 의도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_“머리말: 시인의 영성을 찾아서” 중에서
1-4절은 찬양의 내용이다. 이 시는 찬양으로 시작하는데, 이는 탄원시의 일반적인 패턴이 아니다. 시인은 하나님을 향해 마음을 확정하였다(1절). 히브리인의 인간 이해에 의하면 “마음”(레브)은 결정의 기관으로서 말과 행동의 근원이 되는 사고와 의지의 자리다. 시인은 확고한 신념을 바탕으로 하나님을 찬양하기로 결단한다. 그는 현재 곤경의 어둠 속에 놓여 있지만, 하나님이 개입하시는 새벽을 내다보고 있다(2절). 새벽은 하나님의 구원 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시간이다.
_108편 “기억과 기대의 변증법인 신앙” 중에서
4-6절은 야웨를 경외하는 자의 일상을 묘사한다. 4절에 동원된 “빛”(오르, 시 27:1; 36:9), “자비롭고”(하눈, 시 111:4; 출 34:6), “긍휼이 많고”(라훔, 시 111:4; 출 34:6), “의로운 이”(차디크)라는 용어는 본래 야웨와 관련된 단어들이다. 그런데 여기서는 의인과 관련된 용어로 표현되고 있다. 흑암 중에 하나님의 빛이 되는 의인은 하나님처럼 자비롭고 긍휼이 많으며 의로운 사람이다. 의인은 하나님을 닮은 삶(imitatio Dei)을 산다.
_112편 “행복한 축복의 통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