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2908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4-10-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그리스도교에 대한 과학의 도전
1. 철학과 과학철학
2. 문예부흥과 인문주의
3. 과학혁명과 자연주의 및 과학주의
제2장 과학과 과학기술의 본질
1. 과학과 철학의 관계와 과학철학
2. 과학지식의 상대성과 가변성
3. 과학적 사고의 본성
4. 과학적 방법의 다양성
5. 과학의 목적과 한계
6. 과학기술의 본성과 인간에 대한 도전
제3장 그리스도교 신학의 특성
1. 종교와 그리스도교 그리고 과학
2. 그리스도교 교회와 그리스도교 신학
3. 성경과 창조론과 계시 및 섭리
제4장 과학 및 과학기술과 그리스도교 신앙의 화해
1. 하나님의 작품 자연과 성경
2. 그리스도교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과 환경생태학
3. 과학과 과학기술 시대의 그리스도교 신앙
참고문헌
책속에서
“Science only goes so far, then comes God”(과학의 역할은 여기까지, 그다음은 신의 차례다). 영화 「노트북」(The Notebook)에 나오는 대화의 한 구절이다. 자기 아내가 죽기 하루 전 아내의 치매를 더 이상 낫게 할 수 없다는 의사의 설명을 들은 남편이 한 말이다. 자막은 “과학 영역 밖에는 신이 계신다”지만, 과학 너머 과학자가 하지 못하는 것은 신이 할 수 있다는 말이리라. 그런데 이 대화 구절을 곰곰이 따져보면 전지전능하고 영원한 하나님을 폄훼하는 말로 들릴 수도 있다. 종교와 과학의 영역과 기능이 분명하게 구분되며 과학이 발달할수록 과학의 영역은 넓어지고 그만큼 하나님의 역할이 줄어든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 저자들은 믿는다. 우리의 무소부재하고 자비한 사랑의 하나님은 홀로, 자유로이, 직접 세상의 모든 것을 창조하였고, 지금도 그 모든 것 안에서 모든 것이 되고자(고전 15:28) 창조하고 있으며, 종말에 우리를 하늘나라로 데려갈 때까지 창조를 이어가 새 하늘과 새 땅의 종말론적인 창조를 이룰 것이다.
_“머리말” 중에서
신의 의미는 철학·신학·과학과 함께 변해왔다. 과학과 신학은 하나님의 존재에 대한 가정을 전제로 종교와 과학간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신학에서는 신 존재 증명(proofs for the existence of God) 방법으로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1724-1804)도 거론한 우주론적 논증, 도덕적 논증, 목적론적 논증, 존재론적 논증을 해설한다. 칸트는 순수이성 비판에서 기존의 신 존재 증명을 비판하면서 실천이성 비판에서 도덕론적 신 존재 증명을 제시하고, 판단력 비판에서는 우주론적 증명을 긍정한다.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4?-1274)는 신 존재 증명 방법으로 운동, 능동인, 우연과 필연, 완전성, 설계를 적용한 다섯 가지 길을 제시하였다. 그리스도교 신학에서는 신 존재 증명 방법을 이성, 경험, 신앙에 의거한 방법으로 분류하며, 『가톨릭 교회 교리서』(한국천주교주교회의)에서는 그것을 ‘일관성과 설득력을 가진 논증’이라는 의미의 ‘하느님의 존재 증명’이라고 부른다. 리지 헨더슨(Lizzie Henderson)과 스테프 브라이언트(Steph Bryant)는 그들의 저서 『하느님과 과학에 대한 101가지 질문』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하느님이 있다는 가장 확실한 증거라고 밝힌다.
_제1장 “그리스도교에 대한 과학의 도전” 중에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근대 과학 이전까지 현대적 의미의 과학으로 볼 수 있는 자연철학은 제1장에서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제2장에서는 현대의 과학자들과 과학철학자들 특히 실증주의자들이 규정한 과학의 본성에 관해 기술한다. 실증주의자들이 밝히는 과학관에서 종교적·신학적 관점을 배제하고, 신앙으로부터 중립적 입장에서 그들이 제시한 과학의 본성을 기술한다. 한편 오늘날 하나님 보기에 좋게 만든 지구의 오염과 환경 파괴 및 그에 수반되는 기후 위기와 같은 문제는 인간의 생존과 생명의 존엄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권위에 도전하고 있다. 이러한 생태적 문제는 순수과학보다 과학기술에 의해 야기되고 있기 때문에, 이 장에서는 과학의 본성과 더불어 과학기술의 본성에 관해서도 기술한다.
_제2장 “과학과 과학기술의 본질”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