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 이야기
· ISBN : 9791161508894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24-09-19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혼자 알기 아까운 유럽 미술관으로의 초대
Part 1 프랑스
오르세 미술관 | 오랑주리 미술관 | 루브르 박물관 | 로댕 미술관
Part 2 영국
앱슬리 하우스 | 존 손 경 박물관 | 켄우드 하우스 | 월리스 컬렉션 | 코톨드 갤러리 | 내셔널 갤러리
Part 3 스페인
프라도 미술관 | 국립 레이나 소피아 왕비 예술센터 | 티센 보르네미사 국립미술관
Part 4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암스테르담 국립미술관 | 암스테르담 시립미술관 | 크뢸러 뮐러 미술관
Part 5 네덜란드 헤이그
마우리츠하위스 미술관 | 쿤스트 뮤지엄 헤이그 | 보르린덴 미술관 | 메스다흐 파노라마 뮤지엄 | 로열 델프트 뮤지엄
Part 6 덴마크
덴마크 국립미술관 | 신 카를스베르크 글립토테크 박물관 | 아르켄 현대미술관 | 루이지애나 현대미술관
에필로그 1 미술을 전공하는 딸을 유학 보내기까지
에필로그 2 세계 최고의 옥션 하우스에 입사하기까지
리뷰
책속에서
작품의 내면을 들여다보기 위해서는 시대적 배경을 공부해야 하고, 작가가 처한 환경과 주변 인물을 알아야 했다. 작가의 상황은 작품에 그대로 나타났다. 작가의 주변 탐색이 끝나면 작가가 생계 걱정에서 벗어나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준 사람을 찾아보았다. 과거에는 대부분의 작가가 가난했다. 운이 좋으면 일찍이 능력을 인정받고 돈벌이가 되는 자리를 얻는 경우도 있었지만, 후원가가 없었더라면 생계 문제로 작품 활동을 이어 나가기는 어려웠을 거다. 작가의 작품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하면 작품의 진면목을 알아보고 구매해 주는 이가 있었다. 한두 점 구매해 주는 마음씨 좋은 부자 말고 당대의 최고 수집가의 눈에 띄어야 했다. 그래야 작품이 대대로 상속되면서 대저택이나 미술관에 보관될 수 있었다.
--- 프롤로그 「혼자 알기 아까운 유럽 미술관으로의 초대」 중에서
오르세 미술관은 들어서면서부터 가슴이 설렌다. 너무 많은 작품이 있어서 어디서부터 봐야 할지 정하지 못하고 허둥댈 수 있지만 다니다 보니 생긴 효율적으로 관람하는 노하우를 공유한다. 오전에 최상의 컨디션으로 도착하면 무조건 5층으로 올라가서 오르세의 상징인 벽시계 앞에서 사진부터 찍는다. 사람이 북적이지 않는 아침 시간에 여유롭게 인증 샷을 남긴 후에 5층에 몰려 있는 인상파 그림부터 보기 시작한다.
--- Part 1 「프랑스」 중에서
이 즈음에 유럽 국가들은 왕실의 컬렉션을 국유화하며 대중에게 공개하는 추세였다. 바이에른 왕실 컬렉션, 메디치 가문의 컬렉션, 프랑스의 왕실 컬렉션의 경우에는 왕실에서 수집한 최고 수준의 컬렉션을 국립미술관에 기증했다. 이렇듯 로열 컬렉션이 국가에 기증된 많은 유럽 국가와는 달리 영국의 로열 컬렉션은 개인(왕실)의 컬렉션으로 구분되어 있었고, 내셔널 컬렉션이라는 것은 따로 없었다. 영국 왕실은 로열 컬렉션을 공공 미술관에 넘기지 않았고, 정부는 대중을 위한 미술관 설립에 무척 보수적으로 접근했다. 그 결과 영국 정부는 훌륭한 작품 수집 기회를 여러 번 놓치는 우를 범하게 된다.
--- Part 2 「영국」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