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국제관계와 글로벌정치

국제관계와 글로벌정치

(제3판)

앤드루 헤이우드, Ben Whitham (지은이), 김계동 (옮긴이)
명인문화사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국제관계와 글로벌정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국제관계와 글로벌정치 (제3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61930909
· 쪽수 : 612쪽
· 출판일 : 2024-08-26

책 소개

제3판은 세계정치(World Politics), 국제정치(International Politics), 글로벌정치(Global Politics)라는 용어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시작하여 글로벌정치의 중요한 개념, 논쟁 및 문제를 다루고 있다.

목차

간략목차
1장 글로벌정치의 소개
2장 글로벌정치의 역사
3장 글로벌정치의 전통이론
4장 글로벌정치의 비판이론
5장 글로벌 시대의 경제
6장 글로벌 시대의 국가, 개인과 외교정책
7장 글로벌 시대의 사회
8장 글로벌 시대의 민족과 민족주의
9장 정체성, 차이, 문화의 글로벌정치
10장 권력과 21세기 세계질서
11장 전쟁과 평화
12장 대량살상무기의 글로벌정치
13장 테러리즘
14장 인권과 인도적 개입
15장 국제법
16장 빈곤, 개발, 불평등
17장 글로벌 환경이슈
18장 글로벌정치에서 여성, 젠더, 성
19장 국제기구와 유엔
20장 글로벌거버넌스
21장 지역주의와 글로벌정치
22장 누구의 글로벌정치인가?

세부목차
도해목차
저자소개
역자소개
제3판 서문
1장 글로벌정치의 소개
‘국제’에서 ‘글로벌’로?
국가 중심주의에서 혼합 행위자 모델과 상호의존성으로?
국내적/국제적 분열에서 초국가주의로?
국제 무정부상태에서 글로벌거버넌스로?
글로벌화와 그 함의
글로벌화의 정의와 논쟁
반글로벌화 정치
글로벌주의, 세계화 그리고 세계주의: 글로벌정치의 상상
글로벌정치를 관찰하는 렌즈
전통적 관점
비판적 관점
글로벌정치의 연속성과 변화
2장 글로벌정치의 역사
글로벌세계의 형성
최초의 인류에서 ‘문명’으로
식민주의와 자본주의의 세계 재창조
산업화와 제국주의
‘짧은’ 20세기: 1914-90년
대중사회와 사회운동의 여명기
제1차 세계대전
제2차 세계대전
제국주의의 종말
냉전의 등장과 종식
1990년 이후의 세계
‘새로운 세계질서’?
9/11: 역사의 회귀?
다극체제의 귀환
3장 글로벌정치의 전통이론
이론이란 무엇인가?
이론의 유형
이론의 구성요소
국제관계이론의 탄생과 1919년의 ‘신화’
전통적 서술
현실주의
고전적 현실주의
국가통치술과 국가이익
무정부상태와 그 함의
극(polarity), 안정성과 세력균형
현실주의의 평가 및 수정
자유주의
상호의존적 자유주의
공화주의적 자유
현실주의/자유주의 분열의 마감?
신자유주의적 제도주의
자유주의의 평가
글로벌하게 생각하기
상호연결성의 도전
세계주의
4장 글로벌정치의 비판이론
비판으로서의 이론
비판이론에서의 ‘비판’
비판이론과 국제관계
반식민지론, 탈식민지론, 비식민지론
탈식민지 상태
반식민주의 실천
탈식민지 세계질서의 이론화
페미니즘이론
페미니즘 국제사상의 미시사회적 근원
페미니즘과 국제관계
페미니즘 사상을 이용한 국제관계의 이론화
마르크스주의, 신마르크스주의, 탈마르크스주의이론
마르크스주의와 국제관계
마르크스주의의 종류
후기 구조주의이론
후기 구조주의와 국제관계
구성주의이론
구성주의와 국제관계
국제체제의 구성주의, 갈등, 변화
글로벌정치에서 비판이론의 미래
주요 이론 내의 긴장과 시너지 효과
새로운 위기와 새로운 불공정에 대한 새로운 비판이론?
5장 글로벌 시대의 경제
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
자본주의의 비전과 모델
기업자본주의
사회자본주의
국가자본주의
인종자본주의
신자유주의의 ‘승리’
신자유주의의 함의
경제 글로벌화
경제 글로벌화의 동인
어떻게 경제생활이 글로벌화되는가?
위기의 글로벌 자본주의
부흥과 쇠퇴에 대한 설명
대폭락의 교훈
현대 위기와 ‘연쇄확산’
아시아 금융위기
2007년의 대폭락, 글로벌 금융위기와 대침체
민족주의의 부활과 글로벌 금융위기의 장기적 영향
6장 글로벌 시대의 국가, 개인과 외교정책
국가와 국가사회
국가와 주권
국가와 글로벌화
국가전환
행동경제학과 ‘넛지(Nudge)’국가
포스트모던 국가
국가의 회귀
국가정부에서 다층거버넌스로
정부에서 거버넌스로
다층 거버넌스
외교정책
외교정책의 종식?
외교정책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7장 글로벌 시대의 사회
사회적 연결: 두터움에서 얇음으로
산업화에서 후기 산업주의로
신기술과 ‘정보사회’
위험성, 불확실성과 안보불안
글로벌화, 소비주의와 개인
사회를 통한 글로벌 이해
글로벌화의 사회·문화적 함의
글로벌화하는 소비주의
개인주의의 등장
글로벌 시민사회
글로벌 시민사회의 의미
초국가적 사회운동과 비정부기구
아래로부터의 글로벌화
8장 글로벌 시대의 민족과 민족주의
민족주의와 세계정치
민족주의에 대한 이해
민족국가의 세계
민족주의, 전쟁과 분쟁
이주시대의 민족
움직이는 세계
초국가적 공동체와 디아스포라
민족주의의 부활
21세기 민족주의의 부활
문화 민족주의의 부활
9장 정체성, 차이, 문화의 글로벌정치
정체성과 정치
정체성과 문화
글로벌 정체성, 글로벌 불평등
차이와 글로벌 사회갈등
다문화주의의 종말?
종교의 부흥
종교와 정치
근본주의자들의 증가
정체성, 문화 및 경쟁적 세계질서
문화적 헤게모니: 미국에서 중국의 세계질서로?
‘서양’ 대 ‘나머지’?
‘아시아적 가치’
10장 권력과 21세기 세계질서
권력이론과 글로벌정치
능력으로서의 권력
국가권력의 원천
관계적 권력
구조적 권력
변화하는 권력의 특성
‘우월적 권력’으로부터 ‘협력적 권력’으로
냉전의 양극체제와 그 여파
냉전의 양극체제
냉전의 종식
‘신세계질서’와 그 운명
단극체제: 미국의 패권과 세계질서
패권의 부상
‘테러와의 전쟁’과 그 결과
자비로운 패권인가, 악의적인 패권인가?
다극적 세계질서?
신흥강대국의 부상
국가중심의 세계질서 모델을 넘어서
다극의 질서 또는 무질서?
11장 전쟁과 평화
전쟁의 성격
전쟁의 유형
왜 전쟁이 발생하는가?
변화하는 전쟁의 국면
‘과거의’ 전쟁으로부터 ‘새로운’ 전쟁으로?
‘하이브리드’전쟁 및 사이버공격
전쟁의 정당화
현실정치
정당한 전쟁론
평화주의
12장 대량살상무기의 글로벌정치
대량살상무기의 정의
고전적 정의
현대적 정의
핵확산
핵무기의 본질
냉전시대의 핵확산
탈냉전시대의 핵확산
핵 군비통제와 군비축소
군비통제와 확산방지 전략
핵무기가 없는 세계?
13장 테러리즘
테러리즘의 이해
테러의 정의
‘새로운’ 테러의 등장?
테러의 중요성
테러의 글로벌화
테러에 대한 대응
국가안보의 강화
군사적 대응
정치적 타협
14장 인권과 인도적 개입
인권의 정의
글로벌정치에서의 개인
인권의 유형
글로벌정치에서 인권의 의미
인권레짐
유엔
비정부기구
국가
인권에의 도전
철학적 반론
탈식민주의의 비판
인도적 개입
인도적 개입의 등장과 쇠퇴
인도적 개입과 ‘신세계질서’
인도적 개입과 ‘테러와의 전쟁’
인도적 개입의 조건
‘보호를 위한 책임’(R2P)?
인도적 개입의 효과
15장 국제법
국제법의 본질
법이란 무엇인가?
국제법의 원천
왜 국제법은 준수되는가?
국제법의 변화
국제법에서 세계법으로?
전쟁법의 발전
국제재판소와 국제형사재판소
16장 빈곤, 개발, 불평등
빈곤과 개발의 이해
빈곤의 정의와 측정
개발: 경쟁적인 비전
보다 불평등한 세계?
글로벌 불평등성에 대한 이해
글로벌 불평등의 상황
글로벌화, 빈곤, 불평등
글로벌 불평등이 중요한가?
개발과 원조의 정치
구조조정프로그램
국제원조와 개발윤리
채무면제와 공정무역
17장 글로벌 환경이슈
녹색정치의 등장
글로벌이슈로서의 환경
녹색정치: 개혁주의 또는 급진주의?
기후변화
기후변화의 원인
기후변화의 결과
기후변화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왜 국제협력은 달성하기가 그렇게 어려운가?
자원안보
자원, 권력, 번영
18장 글로벌정치에서 여성, 젠더, 성
페미니즘, 젠더, 그리고 글로벌정치
페미니즘 사상과 운동
글로벌정치에 대한 ‘젠더렌즈’
젠더화와 퀴어화되는 글로벌정치
젠더화된 국가와 민족
젠더와 안보, 전쟁, 무력분쟁
젠더, 글로벌화, 개발
젠더화된 글로벌정치의 퀴어링과 탈식민화
19장 국제기구와 유엔
국제기구
국제기구의 등장
국제기구는 왜 창설되는가?
유엔
국제연맹에서 유엔으로
유엔의 구조
평화와 안보의 증진
평화유지에서 평화구축으로
유엔 평화유지와 평화구축은 작동되고 있는가?
경제와 사회개발의 촉진
유엔의 미래 : 도전과 개혁
20장 글로벌거버넌스
글로벌거버넌스
어떤 것이 글로벌거버넌스이고, 어떤 것이 아닌가
글로벌거버넌스: 신화 또는 현실
글로벌경제 거버넌스: 브레튼우즈체제의 전개
브레튼우즈체제의 수립
브레튼우즈체제의 운명
글로벌경제 거버넌스의 평가
국제통화기금
세계은행
세계무역기구
브레튼우즈체제의 개혁?
글로벌경제 거버넌스와 2007-2009년의 위기
‘베이징 합의’?
21장 지역주의와 글로벌정치
지역과 지역주의
지역주의의 본질
왜 지역주의인가?
지역주의와 글로벌화
아시아의 지역주의
아프리카의 지역주의
아메리카의 지역주의
유럽의 지역주의
22장 누구의 글로벌정치인가?
‘글로벌’의 쇠퇴?
글로벌 빌리지의 긴장
글로벌의 종말인가, 아니면 글로벌주의의 종말인가?
글로벌정치의 질서 재편
글로벌 미래에 대한 경쟁적 비전
국경 없는 세계?
민주주의의 세계?
중국의 세기?
국제공동체의 성장?
글로벌 사우스의 부상?
다가오는 환경재앙?
지구 밖의 글로벌정치?
알 수 없는 미래?
누구의 글로벌 미래?

참고문헌
찾아보기
도해목차

도표
1.1 글로벌정치의 차원
2.1 1700년 이후 세계인구의 증가
3.1 현실주의의 핵심 명제와 두 가지 주요 접근법
6.1 다층 거버넌스
8.1 전 세계 난민, 지역별 통계
10.1 하드, 소프트, 스마트 파워
10.2 인도 GDP, 2000-2020년
12.1 미국과 소련이 축적한 핵탄두, 1945-90년
12.2 핵무기 보유국의 탄두 수, 2020년 (배치 및 미배치 핵무기 추정)
16.1 매슬로우의 욕구의 위계
16.2 중국 내 절대빈곤층 비율의 감소를 나타내는 세계은행 자료
22.1 세계 군사비 지출


6.1 지방화 사례\
10.1 영향력 확대 정책\
14.1 인권의 3세대\
16.1 인간개발지표(HDI) 순위 상위 10개국과 하위 10개국
18.1 성불평등지수비교 일람표, 상위 10개국과 하위 10개국
19.1 국제기구에 대한 자유주의와 현실주의의 관점
20.1 글로벌정치의 대립적 모델
21.1 세계 주요 지역기구

지도
10.1 브릭스(BRICs) 신흥강국

개념
개인주의
거버넌스
경제 글로벌화
국가
국가이익
국제기구
국제레짐
국제법
국제원조
군비경쟁
권력
글로벌 시민사회
글로벌거버넌스
글로벌화
다극체제
다문화주의
다자주의
단극체제
대량학살
문화
문화 글로벌화
민족
민족국가
민족성
보충성
상호성
상호의존
생태학
서양
세계정부
세력균형
소비주의
신보수주의
신자유주의
실패국가
연방주의
외교정책
유교
이상주의
인권
인도적 개입
‘인종’, ‘인종차별주의’, ‘인종화’
자유민주주의
자유방임
자유주의적 국제주의
저개발
정부간주의
정치 글로벌화
제3세계
제국주의
젠더
종교
종교적 근본주의
주권
지역주의
지정학
집단안보
초강대국
초국가적 공동체
초국가주의
카오스이론
퀴어이론
타자화
탈물질주의
테러
통치성
패권
평화구축
평화유지
포드주의와 후기 포드주의

주요인물
(성 - 가, 나, 다 순)
마하트마 간디(Mohandas Karamchand Gandhi, 1869-1948)
휴고 그로티우스(Hugo Grotius, 1583-1645)
조셉 나이(Joseph S. Nye, 1937년생)
제임스 로즈나우(James Rosenau, 1924-2011)
한스 모겐소(Hans Morgenthau, 1904-80)
장 모네(Jean Monnet, 1888-1979)
존 미어샤이머(John Mearsheimer, 1947년생)
헤들리 불(Hedley Bull, 1932-85)
아담 스미스(Adam Smith, 1723-90)
조셉 스티글리츠(Joseph Stiglitz, 1943년생)
임마누엘 월러스타인(Immanuel Wallerstein, 1930년생)
마이클 월저(Michael Walzer, 1935년생)
케네스 월츠(Kenneth Waltz, 1924-2013)
우드로 윌슨(Woodrow Wilson, 1856-1924)
노암 촘스키(Noam Chomsky, 1928년생)
E. H. 카(E. H. Carr, 1892-1982)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1724-1804)
존 케인스(John Maynard Keynes, 1883-1946)
로버트 코헤인(Robert Keohane, 1941년생)
로버트 콕스(Robert Cox, 1926-2018)
칼 클라우제비츠(Karl von Clausewitz, 1780-1831)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1926-84)
토마스 홉스(Thomas Hobbes, 1588-1679)
프랑시스 후쿠야마(Francis Fukuyama, 1952년생)

글로벌 행위자
20개국 그룹(G20)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구글
국제사법재판소
국제앰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
국제통화기금
무슬림형제단
미합중국(미국)
비정부기구
세계무역기구
세계은행
여성운동
유럽연합
유엔
이라크와 시리아의 ‘이슬람국가’ (ISIS)
인도
중국
초국적기업

분석적 접근
2020 글로벌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개발
국가
국제기구
국제법
국제정치경제
글로벌경제 거버넌스
냉전의 종식
민족주의
사회
사회구조와 행위성
세력균형
인간의 본성
인권
자연환경
전쟁과 평화
정체성
젠더
테러

주요 연표
고대 문명의 발달
세계사, 1900-1945년
탈냉전시대
전쟁과 경기변동
현대 글로벌 자본주의의 위기
정보와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전
아랍-이스라엘분쟁
구유고슬라비아의 분쟁
주요 핵무기 군비통제 협정
주요 국제인권 문서
인도적 개입의 주요 사례
국제 공법의 기초
주요 개발 구상
환경에 관한 주요 국제구상
유엔의 창설
유엔의 발전
GATT/WTO 협상 라운드

논쟁
냉전은 불가피했나?
도덕적 의무는 인류 전체에게 확대되는가?
경제 글로벌화는 모든 사람들에게 번영과 기회를 제공하는가?
국가주권은 구시대의 개념인가?
글로벌화는 글로벌 단일문화를 형성하는가?
민족주의는 본질적으로 공격적이고 억압적인가?
미국은 글로벌 패권국가로 유지될 것인가?
국가 사이의 전쟁은 과거의 일인가?
핵무기는 평화와 안정을 촉진하는가?
테러에 대응하기 위해서 인권과 기본적 자유를 제한하는 것이 정당한가?
인도적 개입은 정당한가?
국제형사재판소는 질서와 정의를 유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인가?
국제원조는 효과가 있는가?
급진적 행동만이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모계사회가 보다 평화로울 것인가?
유엔은 쓸모없고 불필요한가?
자유무역은 번영과 평화를 보장하는가?
지역주의의 발전은 글로벌질서와 안정을 위협하는가?

초점
글로벌정치의 정의
베스트팔렌 국가체제
히틀러의 전쟁?
아프가니스탄 침공: 역사로부터의 학습?
신현실주의의 안정이론: 숫자의 논리?
민주적 평화의 명제
‘가짜 뉴스’: 탈진실 세계질서?
중국의 경제모델?
‘워싱턴 합의’
‘지식경제’에서 글로벌 ‘긱’경제로?
러시아의 부활?
국제이주: 사람들은 당겨지는가 또는 밀려나는가?
두 민족주의: 선과 악?
민주주의 확산: 찬성 또는 반대
선제공격
패권안정이론
공격적 또는 방어적 현실주의?
균형 또는 편승?
‘새로운’ 전쟁으로서 이라크전쟁?
정당한 전쟁의 원칙
21세기 국가의 화학 대량살상무기 사용
북한: ‘불량’ 핵국가?
미국: ‘불량국가’?
북-남 분열
공유지의 비극?
지속가능 개발: 성장과 생태학의 조화?
인류세
풍요의 역설: 자원의 저주?
인간안보: 개인은 위험에 처해 있는가?
‘트랜스젠더 배제’ 또는 ‘비판적 젠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개혁?
G7/8: 포기된 프로젝트?
브릭스와 신개발은행: 브레튼우즈의 대안?
아시아의 지역주의: 유럽 경험의 복제?
인종차별 프로젝트로서의 유럽?
EU는 어떻게 작동되는가?
위기 이후의 위기: EU가 살아남을 수 있을까?

글로벌정치의 실제
9/11과 글로벌안보(불안)
베를린 장벽의 붕괴
파리평화회담 1919-20
부채와 긴축 시대의 서방
팔레스타인의 국가성 추구
유럽의 이주 ‘위기’?
아랍의 봄과 그 유산
21세기 중미관계
‘정당한 전쟁’으로서 아프가니스탄전쟁
리비아에 대한 인도적 개입
새천년개발목표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로
파리협정
국제기구에 대한 반론
글로벌경제 거버넌스의 붕괴 이후
EU의 동쪽으로의 확대

저자소개

앤드루 헤이우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정치학과 국제관계를 공부하는 학생들의 요구를 충족시켜 주는 프리랜서 저술가이다. Politics (2019), Key Concepts in Politic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2015), Political Ideologies (2012), Political Theory를 포함한 그의 베스트셀러 교과서는 전 세계 수십만 명의 학생들이 사용하고 있으며, 2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25년 이상 정치학을 가르친 Heywood는 크로이던(Croydon) 대학의 부총장을 역임했으며, 수년 동안 정부 및 정치 분야의 A-레벨 대학입시 수석 시험관이었다. 그는 현재 콘월(Conwall)에 살고 있다.
펼치기
Ben Whitham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글로벌정치에 대해 연구하고 가르치고 논문을 쓴다. 그는 드 몽포르 대학교(2016-2021)를 거쳐 현재는 런던대학교의 SOAS 칼리지(2021-현재)에서 국제관계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의 연구 접근방식은 정치사회학과 비판적 사회이론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신자유주의의 이론과 실천부터 이슬람 혐오, 긴축정책, 인종자본주의의 역동성에 이르기까지 글로벌 차원에서 교차하는 불평등 및 문화정치와 관련된 분야를 연구한다. 그의 연구는 주요 학술지에 게재되었고 책으로 편집되었다. Ben은 2015년에 레딩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고등교육아카데미(FHEA)의 펠로우이며, 2019년에 영국정치학회의 버나드크릭 우수 교수상을 수상했다. 그는 브라이튼에 살고 있으며 중국 전통무술의 열정적인 수련생이다.
펼치기
김계동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졸업 옥스퍼드대 정치학 박사 현 건국대 안보·재난관리학과 초빙교수 연세대 교수 국가정보대학원 교수(교수실장)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 외교부 국립외교원 명예교수 한국전쟁학회 회장/한국정치학회 부회장/국가정보학회 부회장/국제정치학회 이사 국가안보회의(NSC)/민주평통 자문회의/국군기무사/군사편찬연구소 자문위원 연세대, 고려대, 경희대, 성신여대, 국민대, 숭실대, 숙명여대, 동국대, 통일교육원 강사 역임 [주요 논저] Foreign Intervention in Korea (Dartmouth Publishing Company) 『남북한 체제통합론: 이론, 역사, 정책, 경험, 제2판』 (명인문화사) 『남북한 국가관계 구상』 (명인문화사) 『북한의 외교정책과 대외관계: 협상과 도전의 전략적 선택』 (명인문화사) 『한반도 분단, 누구의 책임인가?』 (명인문화사) 『한국전쟁, 불가피한 선택이였나』 (명인문화사) 『현대유럽정치론: 정치의 통합과 통합의 정치』 (서울대학교출판부) “다자안보기구의 유형별 비교연구: 유럽통합과정에서의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한반도 분단·전쟁에 대한 주변국의 정책: 세력균형이론을 분석틀로” (한국정치학회보) “한미동맹관계의 재조명: 동맹이론을 분석틀로” (국제정치논총) “남북한 체제통합: 이론과 실제” (국제정치논총) “북한의 대미정책: 적대에서 협력관계로의 전환모색” (국제정치논총) “국제평화기구로서 유엔역할의 한계” (국제정치논총) “강대국 군사개입의 국내정치적 영향: 한국전쟁시 미국의 이대통령 제거 계획” (국제정치논총) 외 다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