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중국
· ISBN : 9791162446386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21-03-31
책 소개
목차
제 1 부 중국공산당의 창당과 혁명의 시대(1921∼1949)
제1장 중국공산당의 성립 배경과 창당
1. 20세기 초 중국에 밀어닥친 도전과 과제
2. 신해혁명의 좌절과 신문화운동의 전개
3. 5?4운동과 마르크스주의 전파
4. 코민테른의 지원과 중국공산당 창당
제2장 제1차 국공합작과 국민혁명
1. 제1차 국공합작과 대혁명의 흥기
2. 북벌 전쟁의 승리와 제1차 국공합작의 결렬
3. 중국국민당과 장제스의 북벌 완성
제3장 토지혁명과 농촌의 도시 포위 전략
1. 난창봉기와 징강산 근거지 건설
2. 혁명운동의 부흥과 국민당군에 대한 반(反)토벌 작전
3. 왕밍의 ‘좌’적 착오와 혁명운동의 좌절
4. 장정 중 쭌이회의에서 마오쩌둥 당권 장악
5. 장정의 종결과 혁명의 성지 옌안
제4장 항일전쟁과 민족통일전선 구축
1. 시안사변과 항일 민족통일전선의 구축
2. 일본군의 침략과 제2차 국공합작
3. 적 후방 전장 구축과 공산당의 독립자주원칙 견지
4. 국공 관계의 악화와 신민주주의론 주창
5. 근거지 건설의 강화와 정풍운동 전개
6. 제7차 당 대회와 마오쩌둥 사상의 확립
제5장 국공내전과 공산당의 승리
1. 제2차 세계대전 후 중국의 진로와 충칭담판
2. 공산군의 전략적 방어와 제2전선의 투쟁
3. 해방군의 전략적 공세와 토지개혁
4. 3대 전투의 승리와 국민당 통치의 쇠멸
5. 7기 2중전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개최
6. 공산당은 어떻게 국민당에게 승리할 수 있었는가?
제2부 중화인민공화국 건립 후 마오쩌둥 시대의 중국공산당(1949∼1978)
제 1장 신국가 건설과 신민주주의 혁명의 완성
1. 중화인민공화국의 설립과 신국가 건설
2. 영토상의 완전한 통일과 경제체제 정비
3. 강력한 대중동원과 신민주주의 개혁
제2장 과도기의 총노선과 제1차 5개년계획
1. 과도기 총노선을 위한 중앙권력의 강화
2. 중앙권력에 대한 가오강과 라오수스의 반당 음모
3. 헌법제정과 국가체제의 정비
4. 제1차 5개년계획 추진의 결과와 당내 이견 대립
5. 스탈린 격하 운동과 대명 대방
6. 제8차 당 대회와 마오쩌둥의 권위 추락
제3장 대약진운동과 급진 ‘좌’경정책
1. 대약진운동과 좌경 모험 지향
2. 루산회의와 노선대립
3. 펑더화이의 실각과 린뱌오의 부상
제4장 조정정책과 노선대립
1. 대약진운동의 실패와 조정정책
2. 조정정책의 성공과 류사오치의 재신임
3. 사회주의 교육운동의 전개와 홍(紅)과 전(專)의 암투
제5장 현대 중국의 암흑시대-문화대혁명
1. 문혁 초기 마오-린 연합으로 당권파 타도
2. 문혁 중기 린뱌오의 부침(浮沈)
3. 문혁 후기 비림비공 운동과 ‘좌’/‘우’경 논쟁
4. 화궈펑의 유훈 정치 및 지도층의 분열과 연합
제3부 개혁개방 시대의 중국공산당(1978∼2021)
제1장 덩샤오핑의 정권 장악과 노선의 대전환
1. 11기 3중전회와 노선의 전환
2. 경제조정과 개혁개방의 시작
3. 화궈펑 잔재의 청소와 개혁개방체제 구축
제2장 후야오방의 개혁 돌파정책과 보수파의 반격
1. 덩샤오핑-후야오방-자오쯔양 중심의 지도체제 강화
2. 』82헌법>의 제정과 국가체제의 정비
3. 전면적인 경제체제의 개혁
4. 개혁의 부작용과 보/혁간의 대립
5. 군 원로들의 2선 퇴진과 불만 고조
6. 민주화 운동의 역풍과 후야오방의 실각
제3장 자오쯔양의 개혁정책에 대한 보수파의 재반격
1. 사회주의 초급단계론의 제기와 개혁의 가속화
2. 자오쯔양-리펑 체제 구축과 보/혁간의 재격돌
3. 6?4 톈안먼사태와 자오쯔양의 숙청
제4장 장쩌민의 권력승계와 덩샤오핑의 』남순강화> 411
1. 장쩌민 총서기 발탁과 개혁정책의 후퇴
2. 덩샤오핑의 』남순강화>와 개혁의 촉구
3. 장쩌민-주룽지 체제의 구축과 개혁의 가속화
4. 장쩌민의 권력 기반 강화
제5장 덩샤오핑의 사망과 장쩌민의 권력 강화
1. 덩샤오핑 이론의 계승과 장쩌민의 확고한 권력체제 구축
2. 장쩌민과 보수파와의 사상투쟁
3. 장쩌민의 ‘3개 대표론’에 대한 공방
제6장 후진타오의 권력승계와 제4세대의 부상
1. 후진타오 체제의 출범과 제4세대로의 권력이동
2. 과학발전관을 지도이념으로 채택
제7장 시진핑의 집권과 제5세대의 등장
1. 시진핑 정권의 출범과 제5세대의 부각
2. 시진핑 사상으로 새로운 발전전략 모색
참고문헌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