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62543979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4-11-29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정치적 변수를 파악하라, 부의 예측은 거기서부터 시작된다
제1장 세계는 정치에서 시작해 경제로 끝난다
경제 안보, 정치와 경제의 상호 침투에서 살아남기
누가 적이고 누가 동지인가? 탈냉전 시대의 복잡성
경제적 수단으로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다
정치는 세계 경제를 어떻게 흔들어놓는가?
정치적 리스크와 진화하는 위기
기회를 읽는 투자자는 무엇이 다른가
제2장 세계 제일 패권국이 사라진다는 두려움_ 미국 대선 리스크
해리스의 개입주의 대 트럼프의 고립주의
트럼프, 공짜 희생은 없다
선택적 개입과 미중 전략 경쟁
바이든, 미국의 존재감을 드러내다
아시아에서 중국을 억지하기 위한 미국의 대응
패권안정론과 쇠퇴하는 패권국
러스트 벨트를 싹쓸이한 트럼프의 귀환
트럼프 2.0 시대, 인플레이션이 온다
더 강력해질 미국 우선주의, 위기와 기회는?
제3장 국가 주도 혁신은 성공할 수 있을까_ 중국 공산당 리스크
시장경제, 중국의 성장 동력이 되다
공산당의 통제는 기업을 살릴까, 죽일까?
중국 경제에 도사린 공산당 리스크
중국식 자본주의 모델이 갖는 한계
정치 논리로 비효율에 빠진 중국 경제
경제통제의 목표는 당의 생존이다
중진국의 함정과 독재자의 딜레마
인도는 중국을 대체할 새로운 시장이 될 수 있을까?
제4장 미중 갈등이 불러올 퍼펙트 스톰_ 강대국 복합 경쟁 리스크
동지에서 적으로, 미중 갈등의 시작
중국의 맹추격과 위기의 미국, 적에서 동지로
미국의 공급망 재편, 득을 보는 자와 실을 보는 자
미래전의 주도권을 차지하기 위한 각축전
세력 전이를 둘러싼 태풍의 눈, 인공지능과 자율무기체계
제5장 부의 원천, 바다를 둘러싼 첨예한 대립_인도·태평양 리스크
경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린 바닷길
해양 패권, 도전하는 자와 지키려는 자
인도양에 쏟아지는 막대한 투자
군함 경쟁이 한국에 가져다줄 기회는?
제6장 대만의 위기가 가져올 나비효과 시나리오_대만해협 리스크
대만을 맴도는 정치적 폭풍우
중국이 대만을 상대로 군사력을 사용한다면?
시진핑에게 집중되는 권력, 불안해지는 대만
대만이 봉쇄될 경우 세계 경제가 입을 타격
제7장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한국의 방위산업_유라시아 리스크
전쟁이 시작되고, 상실과 고통도 시작되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왜 일어나게 된 것일까?
서방 세계, 러시아를 대상으로 에너지 제재를 가하다
전쟁이 식량 인플레이션 위험을 가져오는 과정
유럽 국가들은 왜 대규모 군비 증강에 나설까?
갈등 속에서 급부상한 한국의 방위산업
제8장 중동 무장단체는 무엇을 노리는가_중동 리스크
중동이 지닌 지정학적 리스크의 좌표 가늠하기
지속적인 분쟁은 리스크라 할 수 없다
사우디아라비아-이란, 중동의 양대 패권국
개혁 성향의 대통령 당선이 이란 경제에 가져올 변화
이란-이스라엘의 전면전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중동의 위기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제9장 그들에게 새로운 길은 없었다_북한 리스크
북한 경협 수혜주가 몰락한 배경
북한의 비핵화 협상은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대북 수혜주가 다시 나타나기 어려운 이유
죄수의 딜레마로 이해하는 미국과 북한의 불신 지옥
북한이 자본주의를 감당할 수 없는 이유
투자 기회가 될 개혁개방의 가능성은?
제10장 역사는 경제에 어떤 리스크로 작용하는가_일본 리스크
정치적 무기가 된 반도체 수출 규제 사건
과거사 리스크의 재연 가능성은 있을까?
한일 관계는 대중문화 산업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나오는 글: 지정학, 기회와 위기를 지닌 야누스의 얼굴로 귀환하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재생 에너지, 전기 자동차, 배터리 산업에 집중투자한 바이든 재임 시기에는 태양광, 풍력 발전 등 재생 에너지 기업들이 크게 성장했다. 그러나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는 친환경 산업 분야들이 정치적 리스크를 갖게 될 것이다. 트럼프는 신재생 에너지 분야보다는 기존의 화석 에너지를 중시하기 때문이다. 트럼프는 휘발유 차량을 유지함으로써 미국 자동차 산업을 부활시키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_ 제2장 ‘세계 제일 패권국이 사라진다는 두려움’ 중에서
“중국의 기술 기업에 대한 투자 판단을 하기 위해서는 시진핑 집권기에 이뤄진 중국 공산당의 정책 방향 전환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중국의 개혁개방은 텐센트와 같은 혁신적인 기술 기업들이 출현할 수 있었던 정치적 배경이었다. 개혁개방 이후 민간 기업들에게는 영업 활동의 자유가 보장되었고 이들은 부단한 혁신을 거듭하면서 급격한 성장을 이뤄냈다. 서구 자본의 투자도 활발했다. 그런데 이러한 기조가 시진핑 집권을 기점으로 바뀌기 시작한다. 민간 기업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공산당의 지배력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전환한 것이다.”_ 제3장 ‘국가 주도 혁신은 성공할 수 있을까’ 중에서
“이는 흡사 치킨집을 함께 운영해온 부부가 서로 갈등을 겪는 과정과도 비슷하다. 아내는 치킨을 튀기고 남편은 가게 운영과 배달을 담당하며, 각자의 할 일을 맡아 운영해왔다. 서로 성격이 맞지 않았으나, 함께 운영하는 치킨집으로 상당한 수익을 얻고 있었기 때문에 참으며 결혼 생활을 이어갔다. 문제는 남편이 수익의 상당 부분을 가져가고 아내에게는 일부의 생활비만 준다는 데 있었다. 아내는 이 점이 점점 참기 힘들어졌다. 결국 아내는 치킨 조리 비법을 익혀서 가게 운영과 배달까지 본인이 직접하고, 수익도 모두 가져가겠노라 선언한다. 하지만 남편이 이런 상황을 받아들일 리 없었다. 남편은 아내를 가게에서 몰아내고 직접 치킨을 튀기면서 다른 주방 보조 인력을 구하기 시작했다.” _ 제4장 ‘미중 갈등이 불러올 퍼펙트 스톰’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