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사진 > 사진 실기
· ISBN : 9791162752722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18-09-08
책 소개
목차
Prologue
Prologue 1. 사진의 실력은 결국 기본기
Prologue 2. 나는 내 카메라와 친한 사이일까?
Prologue 3. 현실과 사진에서 달라지는 5가지
Prologue 4. 이 책의 구성
제1강 화각과 초점거리
Lesson Ⅰ. 화각과 초점거리
1. 화각 (Angle of View)
2. 초점거리 (Focal Length)
3. 초점거리와 피사체초점거리
4. 초점거리와 화각의 관계
5. 렌즈의 초점거리 이해하기
5.1 풀바디와 크롭바디
5.2 35mm 환산초점거리
Lesson Ⅱ. 광각렌즈, 망원렌즈 제대로 알고 쓰자
1. 광각렌즈는 사진을 넓게만 담는 렌즈가 아니다
2. 망원렌즈는 피사체를 가까이 당기기만 하는 렌즈가 아니다
Lesson Ⅲ. 사진의 프레임 (Frame)
1. 프레임에 대한 이해
2. 사진은 뺄셈이다
3. 대표적인 프레이밍 (Framing) 방법
3.1 선택과 의미부여
3.2 프레임의 분할
3.3 프레임 속 프레임 (Frame in Frame)
제2강 명암 (측광, 노출)
Lesson Ⅰ. 조리개, 셔터 속도, 감도 (ISO)
1. 조리개와 셔터 속도의 관계
2. 감도 (ISO)
Lesson Ⅱ. 측광 (測光)과 노출 (露出)
1. 측광의 과정과 원리
1.1 노출계와 적정노출
1.2 무엇을 어떤 밝기로 담는가
1.3 적정노출의 문제점
2. 측광의 여러 가지 방법
2.1 평가측광 (니콘 : 멀티패턴측광)
2.2 스팟측광
2.3 기타 측광
Lesson Ⅲ. 사진 촬영 모드 (평가측광 기준)
1. Auto Mode
2. P (Program) Mode
3. Av (Aperture Value) Mode
3.1 일반적인 촬영방법
3.2 노출브라케팅 (AEB)
3.3 노출고정 (AEL)
4. Tv (Time Value) Mode
5. M (Manual) Mode
5.1 M 모드를 알아야 하는 이유
5.2 촬영순서의 차이 (Av 모드 vs M 모드)
5.3 촬영 중 노출계 동작의 차이
5.4 촬영 사례를 통한 설명
5.5 M 모드에서 노출보정과 노출고정
Lesson Ⅳ. 스팟측광
1. 반사율에 대한 이해
1.1 반사체와 광원
1.2 명암과 색상
2. 평가측광과 스팟측광의 차이
2.1 사례#1
2.2 사례#2
2.3 사례#3
2.4 사례#4
3. 스팟측광으로 촬영을 해 봅시다
3.1 조리개우선 모드 (Av 모드)로 촬영하는 경우
3.2 M Mode로 촬영하는 경우
제3강 심도 (Depth of Field)
Lesson Ⅰ. 심도에 대한 이해
1. 심도 (Depth of Field)란 무엇인가?
2. 착란원과 허용착란원
3. 사진에서 심도의 역할
Lesson Ⅱ. 심도를 조절하는 방법
1. 심도가 달라지는 4가지 방법
2. 피사체에 가까이 들이댈 경우
3. 망원으로 (또는 줌으로) 피사체를 당길 경우
4. 조리개를 열면 열수록 심도가 얕아지는 이유
5. 심도 미리보기
6. 심도에 대한 정리
Lesson Ⅲ. 심도를 이용한 보케 (Bokeh) 만들기
제4강 색 (White Balance)
Lesson Ⅰ. 색, 그리고 색온도
1. 색상환
2. 색온도 (Color Temperature)
3. 색온도가 사진에 미치는 영향
Lesson Ⅱ. 화이트밸런스 (White Balance)를 설정하는 방법
1. 카메라의 화이트밸런스 메뉴
1.1 프리셋 (Preset) 기능을 사용할 경우
1.2 태양광으로 설정할 경우
1.3 AWB로 설정할 경우
1.4 K값을 직접 설정할 경우
2. 화이트밸런스 설정에서 주의해야 할 것
2.1 형광등처럼 보이는 조명은 모두 4000K일까요?
2.2 조명이 여러 가지 있는 장소에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3. Custom White Balance
3.1 Custom White Balance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3.2 Custom White Balance를 잡는 기본 원리
3.3 Custom White Balance 실습
Lesson Ⅲ. 화이트밸런스 (White Balance) 응용
1. 태양광으로 설정하는 경우
2. 의도적으로 색온도를 높이거나 낮추는 경우
제5강 시간 (Movement)
Lesson Ⅰ. Movement 표현을 위한 4가지 방법
1. 피사체 고정, 배경 고정
2. 피사체 움직임, 배경 고정 (장노출)
3. 피사체 고정, 배경 움직임
4. 피사체 움직임, 배경 움직임
Lesson Ⅱ. 실전 촬영요령
1. 촬영 모드 (Camera Mode)
2. 피사체고정, 배경고정 촬영
3. 장노출 (Long Exposure)
3.1 야간장노출
3.2 주간장노출
4. ING 삼총사
4.1 Panning
4.2 Tilting
4.3 Zooming
Epilog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