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 일반
· ISBN : 9791162995129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19-01-25
책 소개
목차
차례
들어가며 5
PART 1. 기업문화에 대해 알아보자
1 기업문화, 정말 중요한가요? 13
2 기업문화는 무엇인가? 21
3 기업문화는 어떻게 발생하고 전파되는가? 33
4 기업문화는 불변의 영역인가? 39
5 강한 문화는 꼭 성과가 좋을까? 47
PART 2. 기업문화 진단과 변화 관리
1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프로젝트 55
2 기업문화 진단은 해서 어디에 쓰시게요? 61
3 네가 하면 나도 한다 _ 기업문화 관리 및 운영 방향 75
4 성과가 우선이냐, 문화가 우선이냐? 85
5 이 바닥에 전문가가 존재하긴 하는 거야? _ 기업문화 운영 행태 91
6 회사와 직원 간 뿌리 깊은 불신 99
7 도르마무, 거래를 하러 왔다 _ 성과 없이 무한 반복되는 조직문화 프로그램 107
PART 3. 기업문화 이슈들
1 우리가 이 정도밖에 안 되나? _ 갑질 문화 근절 117
2 과도한 의전과 꼰대 문화 127
3 히딩크가 남긴 자산은 어디로 갔을까? _ 수평적 조직문화 vs. 수직적 조직문화 133
4 여성은 왜 남성보다 임금이 낮을까? _ 양성평등 149
5 도시의 밤에는 오징어잡이배가 나타난다고? _ 일하는 방식의 변화 161
6 주인이 아닌데 어떻게 주인 의식을 가지고 일하나요? 173
PART 4. 기업문화의 미래와 과제
1 기업문화 업무의 도전과 미래 181
2 기업문화와 경영 전략의 정렬 191
3 기업문화 세대 갈등 197
4 기업문화, 최신 트렌드를 쫓는 것이 과연 효과적일까? 207
맺음말 213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사 업무는 알겠는데, 기업문화라… 구체적으로 무슨 일 하세요?” 사회생활을 시작하고 기업문화 업무를 맡은 이후 공적인 모임에서 명함을 건넬 때마다 가장 많이 듣는 질문이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그래도 지금은 대기업마다 기업문화팀도 운영하고 언론에서도 다양한 기사를 써 준 탓에 사람들이 많이 알고 있고 익숙한 듯하지만, 실상 그 업무가 어떻게 이뤄지는지 아는 사람은 드물다.
누구나 자신이 직접 경험하고, 생각하는 기업문화는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기업문화와 관련한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해결하려면 더 깊이 이해하고 있어야 하지 않을까? 막연히 회식 자리 안줏거리 정도로 기업문화에 대한 피상적인 이야기를 하고 문제 제기만 하기보다는 기업문화라는 커다란 담론에 대해 더욱더 깊은 이해가 필요한 시기라고 생각한다.
한국 기업들의 위기를 말하면서 약방의 감초처럼 이런저런 원인에 더해 기업문화도 문제라고 이야기한다.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업문화 담당자뿐만 아니라 조직 구성원 및 사회 이해 관계자들이 충분히 이해하고 공감해야 한다. 그래야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해답이 나오기 때문이다. 부디 이 책이 기업문화를 이해하고 개선하는 여정에 디딤돌이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