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63283478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1-09-10
책 소개
목차
PART I 미래사회와 교육
CHAPTER 01 최근 한국사회 변화의 진단
CHAPTER 02 현대사회를 설명하는 개념과 이론들
1. 1970년대
2. 1980년대
3. 1990년대
4. 2000년대
5. 2010년대
6. 2020년대
CHAPTER 03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예측
1. 산업연구원(2015). 『미래산업을 둘러싼 메가트렌드와 우리 산업에의 시사점』
2. 과학기술정책연구원(2017). 『글로벌 트렌드와 한국: 과학기술적 대응역량 진단』
3. 클라우스 슈밥(2016).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CHAPTER 04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상과 역량, 교육의 방향 그리고 첨단기술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성찰
1.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상(像)과 역량
2. 미래사회 교육의 방향과 첨단기술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성찰
PART II 미래사회와 학교교육
CHAPTER 01 학생 핵심역량의 배경 및 그 의미와 특성
1. 학생 핵심역량 논의의 배경 -대학을 중심으로-
2. 역량의 개념
3. 역량 이해를 위한 전제 조건
4. 역량에 대한 접근 및 역량 구성요소
CHAPTER 02 외국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혁 동향: 캐나다 퀘벡 주, 호주 빅토리아 주, 뉴질랜드
1. 캐나다 퀘벡 주 교육과정
2. 호주 빅토리아 주 교육과정
3. 뉴질랜드 국가 교육과정
CHAPTER 03 국내의 초 ? 중등학교 및 대학의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 사례
1. 핵심역량기반 초ㆍ중등교육의 필요성과 사례
2. 핵심역량기반 대학교육의 필요성과 사례
3. 국내 대학의 핵심역량기반 대학교육 사례
CHAPTER 04 국외의 초ㆍ중등학교 및 대학의 핵심역량기반 교육과정 사례
1. 국외의 핵심역량기반 초ㆍ중등교육 사례
2. 국외의 핵심역량기반 대학교육 사례
PART III 미래사회와 자기교육
CHAPTER 01 미래사회와 자기교육
1. 미래사회란
2. 미래사회를 위한 준비과정으로서의 '자기교육'
3. 자기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인간성과 자기주체성 회복
CHAPTER 02 자기교육의 3가지 기본요소와 그 실천원리
1. '자기이해'의 의미와 그 실천원리로서의 반성적 사고
2. 자기발견의 의의와 그 실천방법
3. 자기계발을 위한 신경과학적 접근
CHAPTER 03 자기교육의 실천방법과 교육실습
1. 자기교육 실행을 위한 다양한 이론적 접근
2. 자기이해와 자기발견을 촉진하는 교육방법과 실습
3. 자기계발을 위한 교육실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