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초등 자녀
· ISBN : 9791163461036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20-11-30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Part 1. 자기주도성의 비밀
엄마 도움 없이도 공부를 잘하려면?
01. 잔소리 없이 공부하게 할 수는 없을까 : 긍정적인 질투의 힘
02. 숙제는 왜 미루고 싶을까 : 공부 욕구를 높이는 방법
03. 공부 스케줄은 어떻게 짜야 할까 : 효과적인 공부 스케줄 만들기
04. 숙제는 많을수록 좋을까 : 과도한 숙제의 덫
05. 초인지(메타인지)는 왜 중요할까 : 나의 공부 수준 파악하기
06. 연습만이 능사일까 : 공부 효율과 재미를 모두 챙기는 방법
07. 자기평가는 효과가 있을까 : 학습 동기의 중요성
08. 전교 1등만의 특별한 복습법이 있을까 : 학습 효율을 극대화하는 복습 방법
09. 예시가 풍부할수록 좋을까 : 효과적인 예시 활용 방법
10. 스스로 기한을 정하면 마감률도 높아질까 : 자유와 관여의 적정 비율
Part 2. 집중력의 비밀
집중할수록 높아지는 학습력과 창의력
01. 지저분한 책상에서 공부가 잘될까 : 정리 정돈과 집중력의 상관관계
02. 왜 채점은 빨간색으로 할까 : 빨간색이 가진 집중의 힘
03. 집중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 집중할 때 일어나는 신체의 변화
04. 음악을 들으며 공부해도 될까 : 소리와 집중력의 상관관계
05. 몰입하면 누가 업어가도 모를까 : 몰입의 즐거움
06. 뇌 전체를 사용할 방법은 없을까 : 시를 통해 두뇌와 감성 깨우기
07. 딴생각하는 아이는 행복할까 : 정신적으로 방황하는 아이 지도하기
08. 위약 효과, 학습에서도 유효할까 : 위약 효과가 학습에 끼치는 영향
09. 이미지 트레이닝 효과가 있을까 : 학습력을 높이는 이미지 트레이닝 방법
10. 오랫동안 기억할 방법은 없을까 : 분산 연습을 통한 장기기억법
Part 3. 공부 습관의 비밀
뇌과학이 알려주는 올바른 공부 습관
01. 왜 아침형 인간이 되어야 할까 : 아침 공부가 좋은 이유
02. 실수해도 정말 괜찮을까 :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아이 만들기
03. 여자아이는 정말 수학에 약할까 : 고정관념 탈피하기
04. 아이를 성장시키는 피드백은 어떻게 해야 할까 : 따뜻한 말 한마디의 위력
05. 공부하기에도 모자란 시간, 운동은 사치일까 : 운동으로 높아지는 학습력
06. 엄마 목소리를 들으면 왜 편안해질까 : 아이의 스트레스를 날리는 엄마 목소리
07. 독서는 왜 해야 할까 : 독서와 뇌 발달
08. 토의에 토의를 거치면 정답과 가까워질까 : 협력할 줄 아는 아이들의 동반 성장
09. 능력자의 보고서는 무엇이 다를까 : 탁월한 보고서 만들기
10. 음악가는 공간에 더 밝을까 : 음악과 공간지각 능력의 상관관계
Part 4. 자존감의 비밀
행복하고 똑똑한 아이를 위한 건강한 자존감
01. 칭찬은 무조건 좋을까 : 좋은 칭찬과 나쁜 칭찬
02. 행복하면 성적이 좋을까 : 외로움과 지능의 상관관계
03. 기대만으로도 아이는 성장할까 : 긍정적 기대가 아이를 성장시킨다
04. 좋은 기운은 전염될까 : ‘나’의 성장은 ‘우리’의 비타민
05. 수학을 좋아하게 할 수는 없을까 : 수학과 친해지는 방법
06. 바른 자세는 왜 중요할까 : 자세에 따른 마음가짐의 차이
07. 발표 불안,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 내 이야기를 하는 것의 즐거움
08. 나이가 들면 뇌도 굳을까 : 도전하는 뇌는 한계가 없다
09. 시험 불안, 어떻게 벗어날 수 있을까 : 불안을 알아차리는 힘
10. 신념은 지킬 수 있을까 : 올바른 신념을 갖게 하는 교육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열정과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축구 선수 박지성과 발레리나 강수진의 발 사진을 수업 시간에 보여주었다. 아이들은 처음에는 매우 놀란 얼굴이었는데, 자극을 받아서인지 쉬는 시간에도 열심히 공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것이 흔히 말하는 긍정적인 질투, 즉 선망의 힘일까?
우리의 뇌는 시샘(부정적 질투)과 선망(긍정적 질투) 중 어떤 것에 더 능할까? 싱어(Singer) 교수팀은, 아쉽게도 시샘의 손을 들어주었다. 컴퓨터 게임을 하는 아이들의 뇌를 들여다본 결과, 상대가 돈을 잃었을 때는 쾌락을 담당하는 뇌 영역이 활성화되고,돈을 땄을 때는 고통에 반응하는 뇌 영역이 반짝이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상습적으로 숙제를 하지 않는 아이는 어디나 있다. 한두 번은 그렇다 쳐도 교사로서 매일 과제를 해오지 않은 아이를 보고 있자면 마음이 답답하기도 하고, 집안에 무슨 일이 있는 건 아닌지 오만 가지 생각이 들곤 한다.